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6/06

6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6/06/27
    지난주에 받은 이메일
    눈물나무
  2. 2006/06/25
    바람과 함께라면
    눈물나무
  3. 2006/06/24
    기억과의 마주침
    눈물나무
  4. 2006/06/21
    살림, 살려내는 것
    눈물나무
  5. 2006/06/20
    대추리를 향해 걷고 또 걸으면서..
    눈물나무
  6. 2006/06/17
    타로점을 봤는데..(2)
    눈물나무

지난주에 받은 이메일

We Condemn the Korean Government's Police and Military Operations to Violently Evict Civilian Residents in Order to Expand U.S. Armed Forces

- Farmers can live without a military, but a military cannot survive without farmers


Summary

On May 4, 11,500 officers, 2,800 soldiers, and 600 private contractor workers performed an operation titled 'Hwangseool of Dawn' in Daechu-ri and Dodu-ri, Pyungtaek, Korea. 'Hwangseool' is a field area where the U.S. armed forces in Korea are planning to expand their military bases. The targets of the operation were farmers - most of them are over 60 years old - who wanted to remain and continue their livelihoods in Pyungtaek, and about 1,000 civilians who were supporting the farmers' efforts. The soldiers entered the area in early morning, fenced in the paddy fields and dry fields with barbed wire, and tied up farmers who tried to resist their operation.
Armed with clubs and shields, the police forces and contractor workers discriminately cracked down on the civilians who were gathered in Daechu Elementary School, a symbol of peace in the village. In less than ten hours, 500 people were taken into police custody and 200 were injured.
Among the injuries suffered were broken noses, cracked skulls, and severed fingers; those who did not suffer palpably visible injuries were not even counted among the injuries. It was the first time in 26 years that the Korean military had performed an operation against civilians; the military had not once used force against civilians since the country's 'democratization.' Those who were in the villages on May 4 have testified that the atmosphere was close to martial law. The police continued to search the village till past sunset looking for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demonstrations, and arraigned civilians who were returning home without notice or warrants. Police forces continue to perform surprise searches at the village entry and military soldiers are now constantly guarding the barbed wire fence.


Background

At the beginning of World War II, the Japanese military built a military base in Pyungtaek, a small city about a 90-minute drive away from Seoul.
The military facilities, spreading over 245acres, were greatly expanded aft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took over control from the Japanese.
There is now a 3,708acres U.S. military base in Pyungtaek, occupied by 12,000 U.S. soldiers (1/3 of all U.S. forces in Korea). In the process, a number of the civilian residents of Daechu-ri and Dodu-ri have had their land repeatedly taken by Japanese and U.S. forces. The residents of these villages have long suffered from the waste oil flowing from the military base, which has polluted the land and water, and have also suffer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injuries from the explosive sounds coming from the military operations on the base. Unable to lodge complaints to the Korean government, the residents maintained their difficult farming livelihoods for over fifty years, resorting to measures such as securing new land by blocking out sea water. Now the residents are at a new risk of losing their land as a result of a reallocation plan between the Korean and U.S. governments to move U.S. bases in northern cities and Seoul, South Korea to Pyungtaek, expanding the Pyungtaek base to 4,084acres.

Since 2003, the residents of Daechu-ri and Dodu-ri have tried to inform Korean citizens of the injustice of this reallocation plan. They held candlelight vigils every night, and many Korean citizens traveled to Pyungtaek to join them. But the Korean government, which had entered the re-allocation plan without any consultation with the local residents, continued to refuse the residents' demand for dialogue. At a hearing held by the Ministry of Defense for the local residents, the government went as far as bringing in police forces to forcibly remove those residents who opposed the plan. In January 2005, the Ministry of Defense announced that it would complete land acquisition within 2005 and began forced expropriation. The remaining residents and citizens supporting them strove to keep their land fixing and inhabiting abandoned houses. Artists decorated the closed Daechu Elementary School and village fences with paintings and poetry, in an effort to turn Pyungtaek into a land of peace rather than of war. The government, however, persisted in refusing to hear the residents'
stories and, in February 2006, the residents requested a meeting with the mayor of Pyungtaek, burning and returning their Resident Cards in protest. But, the mayor didn't come out to meet the residents.

Since March, when the Ministry of Defense began its forced expropriation procedures, the residents of Daechu-ri and Dodu-ri have had to spend every day in a war-like situation, always looking out for forcible military expropriations. Every time it became known that an expropriation was planned in Pyungtaek, the news was communicated by phone and internet to students, workers, and civil society groups, who rushed to Daechu-ri in solidarity. The residents and their supporters would stand guard all through the night in anticipation of police entry into the village, and tied themselves to the Daechu Elementary School in opposition to the police takeover of the school. One elderly woman resident laid herself down in front of a crane running over a paddy field. But the police and military, armed with clubs and shields, continued to crack down on the residents' peaceable demonstration efforts. The police and military destroyed the village: they poured cement into farming waterways, fenced in farmland that was just beginning to grow new crops, destroyed the elementary school that the residents had built by selling their farm produce, and even left their food waste lying around the village.

The residents had a simple wish when they began their fight, a fight they did not expect would last for four years. They only wanted to spend what little was left of their lives on their own lands. The government and the conservative press have accused the residents of trying to secure monetary compensation, or of having been manipulated by anti-American organizations. These accusations only hurt the village residents even more. To them, their land is worth more than monetary compensation; their land is like children to them. The only reason the residents have begun not only to oppose the army base expansion but also to suspect the existence of U.S. armed forces itself has been because of the Korean government's lies and its unilateralism. The fight, made more difficult by the fact that these residents are in their sixties and seventies, looks to be an indefinite one.
Having taken the elementary school and fields, the Ministry of Defense has now ordered to the residents to leave their residential areas by June 30, and has announced that in October it will force them out of their residential areas. The residents therefore must now await another fight.
Their wish to live in peace is small, but in order to achieve it they must and withstand severe pain and an almost unbearable wait.


Reference

What is the agreement between U.S. and Korea?

The current Pyungtaek U.S. armed forces expansion plan is part of the Bush administration's Global Posture Review (GPR), an effort to adjust the U.S. forces, previously concentrated in west Europe and northeast Asia to respond to the post-World War II cold war situation, to the new needs of combating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terrorism. Specifically, on March 29, 2002, the U.S. armed forces in Korea and the Korean Ministry of Defense entered an agreement for the U.S. to return to Korea a total of 33,605acres of U.S. armed forces land (55.3% of the total land currently provided to the U.S. armed forces), while the Korean government would newly provide 1,257acres of land in the Pyungtaek area for the U.S. armed forces. However, in the Future of the Alliance conference held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July 2004, the countries agreed to increase both the returning land to 42,207acres (64% of the total land currently provided to the U.S. armed forces) and the newly provided land to 2,957acres. As a result, the U.S. armed forces in Korea will now be provided a total of 2,850acres of land in its reallocation of bases in Seoul and two other cities to Pyungtaek.

U.S. armed forces have thus far justified their presence in Korea by the purported need to protect South Korea from North Korea. But with the reallocation, the U.S. armed forces in Korea have now become part of the so-called 'Asia-Pacific Swift Mobilization Forces,' preparing for swift and aggressive intervention in the wars and conflicts of other countries. Indeed, on January 19, 2006,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greed to grant the U.S. armed forces so-called 'strategic flexibility,' or the ability to intervene in conflicts in other northeast Asian or foreign countries.
According to the current plans of the U.S. armed forces and the Korean Ministry of Defense, in a few years 10% of Pyungtaek will become a northeast Asian military focal point in which 90% of the total U.S. armed forces in Korea are based.


Action Requested

Send letters to South Korean government and urge the authorities to:

- Release human rights activists and citizens.
- Stop attempts to evict residents in Daechu-ri, Pyungtaek.
- Renew consultation with the locals so their concern can be addressed in a peaceful and humanitarian manner.
- Re-consider stopping military base expansion in Pyungtaek, for the sake of the elderly villagers and peace in the land of Korea.

* Send letters to:

President Roh Moo-hyun
Blue House
1 Sejongno Jonno-gu
Seoul, South Korea (110-820)
Fax : (82) 2 770 4943
E-mail : webmaster@president.go.kr

* Send copies to:

Minister of Defence, Yoon Kwang-woong
Ministry of Defence
22 Itaewon road, Yongsan-gu
Seoul, South Korea (104-701)
Fax: (82) 2 748 6026
E-mail: cyber@mnd.go.kr


------------------------------------------------------------------------------
President Roh Moo-hyun
Blue House
1 Sejongno Jonno-gu, Seoul
South Korea (110-820)

20 June 2006

Your Excellency,

We are writing to express our concern with your Government's police and
military operations to evict civilian residents in Pyungtaek to expand the
U.S. military base.

We believe that Koreans are peace-loving people. Recently on 15-17
June, a summit gathered Nobel Peace Prize winners from around the world was
hosted in Gwangju. This showed your country's commitment and hope for
peace-building and a better global human rights situation. We also
appreciate the efforts your Government put for the reconciliation with North
Korea.

However, we found these contradict the recent violent operations in
Pyungtaek to take over the farmer's homeland for an expansion of the U.S.
military base as well as the national policy regarding the presence of U.S.
military. It is ridiculous to see your hospitality to the Nobel Peace Prize
winners, on the other hand prosecution against local human rights advocates.
It is also not a government's role to kill local farmers' livelihoods, but
to protect them. Furthermore, we believe that a true peace will never be
achieved with the presence of foreign military.

Thus, we request your Government to:

- Release all human rights activists and citizens without charge.
- Stop attempts to evict residents in Daechu-ri, Pyungtaek.
- Renew consultation with the locals so their concern can be
addressed in a peaceful and humanitarian manner.
- Re-consider stopping military base expansion in Pyungtaek, for the
sake of the elderly villagers and peace in the land of Korea.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and we look forward to your positive response.

Yours sincerely,

International Movement of catholic Students
(IMCS) Asia Pacific

Cc Minister of Defence, Yoon Kwang-woong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바람과 함께라면

나무에게 도시는 낯설었다.

새로운 공간에 다시 뿌리를 내리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늘 자신이 있는 자리를 지키는 것을 좋아하던 나무는 겁이 났다.

그 무렵이었다.

한줄기 바람이 불었다.

나무는 바람에게서 위안을 얻고 기운을 받고 용기를 내었다.

다시 뿌리를 내릴 수 있을 것만 같았다.

 

나무는 다시 뿌리내린 그곳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

감추어진 현실의 아픔들을 알아가면서 나무는 점점 성숙해갔다.

감수성이 많은 나무는 상대방의 아픔까지 끌어안느라 지칠 때가 많았다.

마음이 힘들어질 때면 늘 바람이 불어오곤 했다.

여전히 나무는 바람에게서 위안을 얻고 기운을 받고 용기를 내었다.

 

 

나무는 다짐했다.

언젠가 다시 나의 자리를 찾아서 떠나야할 때, 그곳은 도시가 아니어야한다고.

도시에서 나무의 역할도 중요하겠지만

나무는 모든 생명과 함께 살아가고 싶은 마음이 컸다.

하지만 여전히 낯선 곳에 가서 다시 뿌리를 내려야한다는 것은 두려움이었다.

바람이 생각났다.

바람과 함께라면 어느곳이라도 괜찮을 것 같은데.

 

 

바람은 오늘도 나무를 스쳐지나간다. 

바람을 기다리던 나무는 오늘도 눈물을 흘린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기억과의 마주침

나무는 길을 지나가다가 순감 깜짝 놀라고 말았다.

낯익은 사람 둘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지하철역 근처 동네 분식점에서 만두를 먹고있는 두 사람,

바로 나무와 바람이었다.

 

바람이 김치만두를 입에 넣으며 말했다.

"나와서 먹었던 것중에 이게 제일 맛있는거 같아"

나무는 말없이 웃으며 오랜만에 먹는 만두의 맛을 음미해보았다.

'우리가 함께 먹었던 많은 것들 중에 정말 이것보다 더 맛있는 게 없었나?'

나무는 일부러 먹는 속도를 늦추고 만두 두개를 바람 앞에 가져다놓았다.

나머지 만두를 바람은 맛있게 먹었고, 나무는 아직 배가 고팠지만 기분은 괜찮았다.

 

요즘 나무는 종종 이렇게 예전 자신의 모습을 다시 보곤 한다.

특별히 기억에 남았던 일도 아닌데, 특별한 장소도 아닌데

일상 속에서 문득문득 혼자가 아니었던 자신의 모습들이 나타난다.

 

그래서 나무는 오늘도 눈물을 흘린다.

바람이 그리도 싫어했던 눈물을 흘린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살림, 살려내는 것

요즘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집안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자취를 하는 나는 평소에도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집안일을 해야했지만

아무리 해도 얼마 후면 다시 하기 전의 상태를 되찾는 모습을 보면서 집이 가진 원래의 모습이란 것이 그런건가 하는 생각마저 했었다.

 

며칠 청소를 하지 않으면 머리카락과 먼지가 쌓인다.

밥을 해먹고 설거지를 하지 않으면 다음에 밥을 해먹을 때 힘들어진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빨래를 자주 하지 않으면 젖은 빨래에서 냄새가 난다.

쓰레기를 격일로 버리지 않으면 특히 음식물쓰레기는 바로 썩어버린다.

냉장고가 안에 있는 음식들의 상태를 무기한 보장해주지 않기 때문에 확인해야한다.

쌀과 야채를 비롯한 재료들이 떨어지지 않았는지 수시로 체크한다.

그리고... 기타등등

 

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야하는 일.

내가 살아가는 일 바탕에 나의 손과 나의 노력이 있다는 확인.

나의 삶이 직접적인 나의 노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구체적인 증거.

 

그래서 살림은 살려내는 것이다.

 

만약에 내가 하고싶은 일에 대부분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그 대가로 다른 사람의 노동력을 살 수 있는 경제적인 여유가 주어진다고 해도

나는 나의 삶을 '간접적'으로 채우고 싶지는 않다.

이미 내가 살고있는 집도, 내가 먹는 쌀도, 야채도, 내가 쓰고 있는 컴퓨터도, 내가 보는 티비도, 내가 쓰는 볼펜 하나도 나의 손과 노동력이 담겨있지는 않다.

이렇게 요리하고 치우고 청소하고 정리하는 것이라도 직접 참여해야하지 않을까?

이미 많은 사람들의 도움으로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좀더 직접적인 나의 삶을 살고 싶기 때문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대추리를 향해 걷고 또 걸으면서..

2006년 6월 18일 일요일.

날씨는 햇빛이 쨍쨍, 종종 불어오는 바람이 시원하긴 했으나 뜨거운 햇살을 어찌할 수는 없었다. 아직도 내 팔과 목과 귀(캡모자의 단점.. 오로지 얼굴만 가려줌)는 빨갛고 약간 뜨겁고 시렵다.. -_-;

 

약 8시간을 걸었다.

뛰기도 했다.

발이 푹푹 빠지는 논둑길을 건너기도 했다.

그늘 한점 없는 땡볕 아래 가만히 앉아있기도 했다.

그래도 대추리가 보이는 곳까지 갔다.

옥상 위의 주민들이 흔드는 손과 깃발이 보였다.

철조망과 군인에 가로막혀 더이상 갈 수 없어서 소리도 지르고 파도타기도 했다.

어디서 본건 있어가지고 군인들에게 '군인이기 이전에 인간입니다. 당신들은 부당한 명령에 거부할 수 있는 권리가 있어요' 라고 소리질렀다.

 

 


 

 

 

모두들 성공적이라고 했다. 3천명 정도의 사람들이 모였고, 우리가 갈 수 있는만큼 최대한으로 간거라고 했다. 몸은 힘들었지만 그래도 뿌듯한 날이었다.

 

하지만 내가 좋아하지 않는 시위문화 몇 가지..

전경들에게 욕하고 건들여서 폭력을 유발하는 것. 전경도 우리와 똑같은 사람인데..

여성을 운동의 주체에서 배제하는 것. 지나치게 남성 중심적이다. 특히 폭력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 '남성동지들 앞으로, 여성동지들은 뒤로 빠지고'라는 말이 너무 싫다. 폭력적인 상황이 만들어지는 상황에 대해서 모르는 것도 아니고, 그럴 경우 남자들의 힘이 더 필요하다는 것도 안다. 일단은 폭력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것 자체가 싫을 뿐더러 그런 상황에서 나는 꼭 운동의 주체가 아니라 객체가 되어버리는 느낌이다. 그리고 결국 폭력은 세상을 바꿔내지 못한다는 믿음이 크기 때문이겠지..

성공을 위해서 수단을 가리지 않는 것. 내가 생각하는 운동은 과정 그 자체인데 말이다. 잘못하면 수단 때문에 목적 자체가 흔들려버릴 수도 있지 않을까.

좁다란 논둑길을 빨리 뛰지 못하는 사람을 욕하는 모습이나, 전경들과의 싸우는 과정에서 벼가 자라고 있는 논은 밟아도 괜찮다는 듯한 말이나.. 내가 보기에 안타까운 모습들.

우리가 밟아서 무너져버린 논둑은 지금쯤 어떻게 되었을까.

 

 

나는 대추리에 가고싶었고, 대추리의 주민들을 만나고 싶었다.

평택에서 자라나는 벼와 들꽃을 보고 싶었다. 

평택의 드넓은 들판에서 햇볓을 쬐고 바람을 쐬고 싶었다. 

 

다음에는 집단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가보고 싶다.

아.. 아직도 피곤해 =.=

 

 

 

 



오전 11시, 평택역에 도착해서 밖으로 나왔는데 사람들이 별로 없었다. 내가 속한 소규모 그룹(7명)은 그저 사람들이 많이 가는 쪽으로 갈 계획이었는데 잠시 당황.

역 앞에 서서 역에서 나오는 사람들 중에 외부에서 온 사람 같고 복장이 집회에 가는 것 같은 사람을 파악하기로 했다. 역시나 집회에 가는 사람들은 딱 봐도 티가 난다ㅋㅋ

시외버스터미널로 가서 버스를 타고 둔포에 갔다.

아저씨가 둔포라고 해서 내렸는데 너무나 조용하고 사람이 거의 없는 동네.. 물어물어 둔포농협을 찾아갔는데 아무도 없었다. 아무리 경찰을 따돌렸다고는 하지만 정말 이상했다. 

그때가 11시 45분이었는데 혹시 우리 모르게 시간이 연기된건지, 장소가 바뀐건지, 둔포 들어오는 길이 아예 차단된건지 별 생각을 다하며 기다리다가 주변을 찾아보기로 하고 다시 길을 나섰다. 돌아다니던 중 주변에 삼삼오오의 무리들이 우리에게 길을 물어봤다. 둔포농협이 어디냐고. 길을 찾는 사람들과 합류하여 모이는 장소를 찾는데, 진짜 집결 장소였던 둔포농협 서부지소까지 찾아가는 길에 농협을 3개나 봤다.. 이런 -_-;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타로점을 봤는데..

그냥 어쩌다가 인터넷에서 타로점을 봤다. 이유는 별로 없음.

질문이 너무 거창하긴 했지만 어떻게 보면 맘에 드는 내용이라서.

 

 

 

질문 : 하늘이 정해준 사명은 무엇인가?

 

20. 선고(LE JUGEMENT/THE JUGEMENT) - 소외되고 과소평가되며 붇혀있던 것들에 대해 새로운 관심과 재평가의 움직임을 불러모아 생명력을 갖게 하는 일입니다. 특히 개혁과 진보, 혁신, 새로운 개념의 창시와 실현, 혁명 등 모두가 필요로 하고 간절히 원하는 시대적인 흐름이지만, 성공하지 못했거나 시도해볼 생각을 못했던 일들을 개시하고 착수하는 선도자, 처음 시작하는 사람으로서의 역할이 있군요.

 

선고 아르칸은 기나긴 절망과 자포자기의 시간 끝에 비춰진 한 줄기 희망의 빛이며 부활을 상징합니다. 급격한 변화의 움직임은 놀랍고도 갑작스럽지만 간절히 바라던 소망이 이루어지는 절차이므로 영감이나 느낌을 존중하여 따르고, 미래지행적이고 진보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라는 메세지를 전합니다. 선고 아르칸이 긍정적으로 해석될 때는 재활, 부활, 초월적 의식으로의 상승, 계시, 예언, 기도, 치유, 생명력 회복, 진보, 향상, 정보, 발명, 광고, 통신, 음악, 언론, 대중매체, 인터넷, 선각자, 미래학자, 발병가, 기자, 묘지, 수양소, 음악실, 공항, 비행기 등을 뜻하지만 부정적으로 해석될 때는 동요됨, 지리멸렬, 심판, 재앙, 잘못된 현실인식, 실망, 이혼, 날벼락 같은 소식, 선전포고, 돌발상황, 절연, 절도 등을 뜻합니다.

 

 

질문 : 행복의 요소는 무엇인가?

 

14. 시류(LA TEMPERANCE/TEMPERANCE) - 혼자 독단적으로 작업하거나 행동하지 않고 주위의 마음 맞는 친구, 동료와 함께 하는 것, 자신의 이상과 적절히 일치하는 집단에 속해 있는 것, 대중적인 감각과 여론에 대한 의식을 잃지 않는 것 등이 행복을 찾는 지름길이 되겠군요. 참고로 행복을 부르는 마스코트나 사물은 물병, 술병, 전화기, 통신기기, 천사상, 천사모양의 인형 등입니다.

 

시류 아르칸은 개인에서 집단으로, 미시적 관점에서 전체적 관점으로 나아가는 평등하고 공정하며 미래지향적인 의식을 상징합니다. 하나의 물방울이 모여 거대한 물결의 흐름을 만들어내듯, 개개인이 모인 거대한 대중심리와 단체의식, 인류애에 큰 의미를 싣고 있기 때문에 의사의 교류, 전달, 개인이 속해있는 조직, 사교모임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라고 합니다. 시류 아르칸이 긍정적으로 해석될 때는 평형, 안정, 상호이익, 내적순환, 조화, 커뮤니케이션, 개혁성과 보수성의 조화, 미래지향적인 흐름, 중용, 사교성, 친절, 홍보, 완벽한 합병, 인터넷, 통신시설 등을 뜻하지만, 부정적으로 해석될 때는 무관심, 불안정, 불화, 의견 충돌, 타인에 대한 몰이해, 단체에 묻힌 개성, 친한 사람들 사이에서 고립됨 등을 뜻합니다.

 

 

질문 : 행운이 따르는 일은 무엇인가?

 

17. 별(L'ETOILE/THE STAR) - 꽃, 식물, 나무 동물 등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가까이 하거나 좋아하는 음악을 듣고 영화나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등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일들이 행운을 부르는군요. 헤어스타일을 바꾸거나 아름답게 가꾸는 일, 정원을 만들고 새를 기르는 일, 수영하기, 목욕이나 샤워하기, 약수나 샘물을 마시는 일도 행운을 가져오는 계기로 작용합니다.

 

별 아르칸은 세상의 모든 아름다움과 사랑과 희망을 상징합니다. 음악과 문학, 미술 등 예술로 승화되는 창조적인 영감을 불어넣어주는 여신이면서 사랑에 빠진 사람이 그러하듯 세상을 애정의 시선으로 보게 만드는 사랑의 여신입니다. 행복과 사랑이 무르익음을 전달하면서 한편으로는 피로가 누적되거나 금전의 유출이 계속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별 아르칸이 긍정적으로 해석될 때는 사랑, 우아함, 평화, 조화, 여성다운 기질, 아름다움, 순결, 밝고 선명한 미래에 대한 예감, 성공의 가망성, 기회, 낙관적인 앞날, 통찰력, 간파력, 소원성취, 사랑에 빠진 사람, 예술가, 모델, 미용사, 영매, 화랑, 식물원, 자연보호지역 등을 뜻하지만, 부정적으로 해석될 때는 실망, 비관주의, 불운, 기회의 결여, 에너지를 허비함, 과로, 지속되는 자금유출 등을 뜻합니다.

 

 

 

어떻게 보면 누구에게나 해당하는 이야기이겠지만

요즘의 나에겐 이런 의미부여도 필요한거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