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요약]아름다운 노.농연대-자급.자치의 관점으로

[요약]아름다운 노.농연대-자급.자치의 관점으로
(천규석/ 녹색평론 통권 91호)

 

-노.농연대의 직거래가 대안이다
1. 도농 직거래: 지역 농민단체 또는 마을 공동체와 도시공장의 노동조합이 연대하여 농어촌마을의 농축수산물로 직거래로 지역적이고,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차원의 노농연대사업으로서의 직거래
2.학교급식: ‘친환경 우수농산물’에서 ‘친환경 지역농산물의 직거래’로 조례 개정운동.

 

-전북 정농의 실패, 교훈
1. 학교측과 생산자 측의 사전 논의나 통보없이 임의로 이루어짐, 사전계약재배가 아니였다는 사실. (도의 재정지원으로도 되는 것이 아니며, 재고의 문제, 농산물 때깔의 문제가 있으며, 조례 개정이 된다고 해도 불안정한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2. 사후 일들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사전 대비없이 전북도 보조금 3억 5천만원, 농민들의 쌈지돈 1억 5천을 보태어 5억 짜리 물류센터를 지은 것부터 망조. (비근한 예는 많다. 안동가농의 ‘우리농한생명 운동’ : 확고한 비전, 전망도 없이 ‘물량화와 규모화의 경제’에 빠져 단명했다.)
반대로 한 살림은 20년이 다 되어서야 물류센터를 지었다: 오랜 활동기간에 쌓여온 절실한 내부적 요구와 자기능력의 축적에 따라 거의 자력갱생을 이뤄냈다.(일단 ‘하자’가 아니라 ‘하다가 하자’)

 

-재정지원 받는 물량주의 운동은 반드시 망한다
1. 사회문제의 궁극적인 책임을 정부에 묻고 재정보조의 문제해결이 최종 열쇠인냥 주장한다. 다시 말해 재정지원 받는 사회운동은 이미 운동이 아니다.(모든 운동의 총망라, 물론 한계와 결론을 지어 놓고 우리의 역할은 여기까지 라며 자기 스스로 해산한 거의 단체는 없었다. 사업 전환만 있을 뿐이지)
2. 어떤 사회단체는 정부가 마땅희 해야 할 일을 정부가 안하기 때문에 자신들이 대신 해주고 최소한으로 받는 재정수령이 왜 나쁘냐고 반문할 것이다. 정부에 기생하는 관변단체의 변명 또는 곧 그렇게 될 단체의 자기합리화다.
3. 재정지원이 없다고 우리가 하던 일이나 해야 할 일들을 자꾸 정부에게 하나하나씩 떠넘기고 정부가 해주기를 요구 하니까. 우리의 자주와 자치는 사라지고 수탈기구로서의 정부는 날로 막강해진다. 정부에 요구, 의존하는 운동은 국가주의의 체 바퀴를 못 벗어난다.
4. 정부에 대해 아무것도 요구하지 말고 가능한 세금도 안 내는데 있다.

 

-기아차 노조와 구례농민회의 연대
1. 05년 11월 11일 광주 기아자동차 노조와 전남 구례농민회 노농연대 하나를 하더라도 제대로 하자. 더디게 가더라도 그렇게 하자. 쌀 1000포 구입과 설 특판 사업, 노농경작단 출범 등등.
2. 노농연대의 궁극적인 목적은 산업문명체제의 대안을 전망하는 데 있다. 그 전망은 ‘자급적 관점’ 스스로 주인되는 자급적이고 지속가능한 삶의 관점은 귀농적 삶뿐이다. 귀농적 비전 없는 노농연대는 성공해봐야 지금의 현상을 유지, 개선 정도이다.
 -하나를 하더라도 제대로 확실히 하자. 열가지 밍숭맹숭 하는 것보다 훨씬 낫다.

 

-대구․경북지역 노․농연대 직거래운동의 현주소
1. 센터라는 이름의 집중과 규모의 경제와 효율을 추구하겠다면 기존 시장의 유통에 맡기면 될 것이지 우리가 새삼 직거래 운동의 이름으로 또 하나의 시장 기구를 복제해 낼 필요는 없지 않은가
 →학교의 직거래 실무자, 책임자들과 함께 농민의 살림과 그 직거래 의미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인식 공유의 선행이 먼저다.
2. 학교 또는 사내식당의 짜여진 식단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식단에 따라 식재료를 구입하지 말고 생산 공동체의 공급가능 품목에 따라 식단을 꾸리는 자기 변화, 혁신없이는 직거래 운동의 성공은 어렵다. 노농연대의 진정한 새로운 공동체 혁명은 없을 것이다. (우리는 이런 철저한 문제 인식과 고민 그리고 대안은 아니더라도 자존심은 지키는 운동의 원칙을 가지고 있는가 묻게 된다.)

 

-‘기구’보다는 사람의 사이의 관계변화가 먼저다
1. 지역물류체계의 구축에서 벗어나 쌀부터 시작해서 축적하여 품목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물류체계의 구축이란 지역에 사는 인간관계의 새로운 구축의 다른 말이다.
2. 물량조절의 어려움→ 개인이나 작은 공동체 당사자 간의 계약으로 생산한 물량은 과부족의 폭은 그리 크지 않다. 스스로 조절이 가능하다.(소규모화) *계약, 협약은 물량의 계약아 아니라 농산물을 수확한 만큼 소비한다는 ‘소비약속’이다.
3. 지역식량기구의 대안은 시장과 국가를 동시에 넘어서는 민중 스스로의 자치와 자율로 서는 자립적인 지역공동체 세상이다→ 상품에 종속된 소비가 아닌 그러니까 제도로 통한 일방적 계획보다는 협동적 인간관계 변화운동으로 서야 한다. 작은 실천과 동시에 인간관계 변화와 자급자치적 관점에 서지 않고서는 결코 노농연대 운동은 성공을 기약하지 못한다.
4. 권력투쟁이나 계급투쟁에 대한 미련이 조금이라도 남은 사람들은 이 운동으로부터 일찌감치 떠나야 한다. 공동체에 그런 기득권은 없다. 만일 없던 기득권이 다시 생기면 그것은 이미 공동체가 아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