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여성인권을 위한 활동가와의 인터뷰

Name  
   류은숙  (2004-12-16 13:59:16, Hit : 1191, Vote : 52)
Subject  
   여성인권을 위한 활동가와의 인터뷰
'국경없는 친구들' 2004년 3-4월호

인권활동가 Myo와의 인터뷰
(Rangoon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는 학생이었던 Myo는 88년에 버마-타이 국경을 넘었다. 현재는 버마인권교육연구소를 세워 활동하고 있다.)

"전세계 여성은 성에 대한 편견으로 차별받고 있다. 버마 출신 여성들은 군사정권의 문화로 인해 더욱 억압받고 있다. 또한 난민 여성은 난민이라는 지위 때문에 더욱 주변부화된다"

나에게 Myo는 난민이라는 것 이상이다. 7년 전에 방콕의 이주자 수용시설 앞에서 그를 처음 만난 이후로 그는 나의 오랜 친구였다. Myo는 88년에 결성된 버마학생민주주의전선 출신의 학생활동가였다. Myo는 국제 행사에서 버마 전통 춤을 잘 추는 댄서여서 박수갈채를 받곤 한다. 현재 그는 여성을 위한 인권활동가이다. 흔히 볼 수 없는 유형의 활동가...

2000년에 Myo는 '버마인권교육연구소'를 세웠다. 인권교육가를 위한 훈련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인권교육훈련을 하는 조직이다. 최근에, 이 조직은 성문제, 여성의 권리, 평화건설에서의 여성의 역할 등에 관한 여성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우리 집에서, 아버지는 모든 것이고 나머지 식구들은 아버지를 따라야 한다. 다른 가족들이나 학교나 대학, 일터도 마찬가지다. 예전에는 그것이 차별이라는 것을 몰랐다. 단지 뭔가 옳지 않다는 것을 알았을 뿐이다. 나는 권위주의 체제 속에 성차별 문제가 있다는 것을 몰랐다. 당연하다는 듯이 성차별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러분이 인권에 관한 일을 하고 싶다면, 성인지적 관점을 갖고 해야만 한다. 우리가 인권침해나 권력남용에 대해 얘기할 때면 그것은 당연히 권력자가 힘이 없는 사람들에게 행사하는 일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성차별은 한 집단의 권력을 강화하고 다른 집단에게는 권력을 박탈하는 구조를 만든다."

"우리가 조직하는 어떤 인권교육훈련에서이든지 성문제와 여성의 권리는 필수사항이어야 한다. 더욱이 적어도 40%의 여성 참가자들이 참여해야만 한다. 여성이 남성만큼 자질을 갖추고 있지 못할지라도, 그것은 남성이 대개는 더 많은 기회와 경험을 가졌기 때문인 것이다. 우리는 여성에게 공간을 제공하고 의사결정을 할 힘을 주어야 한다..."

"...처음에는 상당수 남성참가자들이 이렇게 생각했다. 여성의 권리에 대해 얘기한다는 것은 남성이 여성에게 행사할 권력을 전부 포기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했다. 이것은 미신이다. 실제로 우리가 얘기하고 있는 것은 공동의 협력이다. 사실상, 성인지적 관점은 남성과 여성이 더불어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증진하는 것이지, 모든 것을 남성 탓으로 돌리자는 얘기가 아니다."

"...아니다. 나는 성차별이 문화나 종교의 잘못 때문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문화나 종교가 본래 나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여성을 불행하게 만드는 관습을 볼 때면 문제삼아야 한다. 일부 문화적 관습 속에 있는 성차별의 진정한 요인은 사회의 신념 체계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다. 우리는 모든 사람에게 공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우리의 문화를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내가 경험한 가장 인상적인 일이 뭐냐고 묻는다면, 나는 여성의 총명함에 대해 말하고 싶다. 여성은 보통 약하고, 감정적이고, 지적이지 않은 것으로 묘사된다. 하지만 나는 여성에게 단지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여성은 침묵을 강요받았다. 여성들은 가슴으로 생각하고 거기서 일상을 배우고 살아간다. 그래서 여성은 매우 실천적이다. 반면에 남성은 머리-즉 지식-을 우선에 둔다. 남성이 더 많이 알지 모르나 실천하려는 동기가 부족하다. 그래서 종종 나는 인권문제에 대해 남성보다 여성들이 훨씬 더 잘 대처하는 것을 본다. 여성의 힘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나는 여전히 민주주의를 위해, 버마가 살만한 곳이 되기 위해 일하고 있다. 우리는 여성의 권리가 제외된 인권을 존중하는 나라를 건설해서는 안된다. 우리가 목표하는 민주주의는 모든 사람의 참여를 의미한다. 그래서 민주주의, 평화, 인권을 먼저 얘기하고 나중에 여성을 얘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들은 모두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전체가 하나의 이슈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