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앉아서' 캄보디아를 여행하던 중, 킬링필드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캄보디아는 우리에게 생소하고, 과거 크메르왕국의 유산인 앙코르와트라는 아이콘으로 기억되는 곳이다. 역사에 좀 더 관심 있는 사람은 1970년대 후반 약 200만 명의 국민들이 처참하게 살해되었다는 '킬링필드'를 언급하기도 한다.

 

나 역시 캄보디아를 여행하던 중, 킬링필드 박물관에 들르게 되었는데 문득 어떻게 1/3에 달하는 국민들이 희생될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생겼다. 흔히 정치적 탄압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상식적으로 일반 국민들은 어떤 정권이 들어서는지에 대해 큰 관심이 없는 걸 감안하면 (인종이나 종교도 아니고) 정치적인 이유로 200만 명씩이나 살해되었다는 건 납득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킬링필드를 알리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건 1984년작 영화 '킬링필드'이며, 근래의 여행객들은 현지의 유명한 박물관인 툴슬렝 박물관에서 그 역사의 잔혹성을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어디에도 왜 200만 명 씩이나 죽었는가에 대해 자세한 답을 얘기해주는 곳은 없다. 역사적으로 내막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대량학살이 어디 한 두 건이겠냐마는 캄보디아는 생소하기 때문에 호기심이 더 발동했는지 모르겠다.

 

친구에게 이 얘길 했더니 '아시아의 기억을 걷다' (유재현, 그린비)란 책을 추천해주었다. 이 책은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을 비롯하여 동아시아에 드리운 아픈 역사를 기록한 여행 에세이다. 식민지 지배와 내전의 역사를 겪은 건 우리를 포함하여 많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숙명이었다. 그래서인지 동아시아의 현대사를 보는 것은 낯설지 않다.이 책에 킬링필드에 대한 내용이 있어 정리해보았다. 

 

 

(질문1) 원리공산주의자라고 알려진 폴포트가 집권한 1975~1978년까지 사망한 캄보디아인 : 약 200만 명 추정. 그 수치의 진실은?

 

(답) 이 수치는 영국 학자 키너가 당시 난민촌 1,5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조사에서 나온 수치이다. 그런데 이 수치에는 문제가 있다. 1998년 인구조사 결과 캄보디아 인구는 1142만명인데, 1979년 학살이 지난 후 인구를 560만 명으로 추산하면(75년에는 710~780만으로 추정. 3년간 약 150만~200만명 사망) 약 20년간 인구증가율은 100%에 가깝고, 79년 인구를 610만명으로 추산할 경우 증가율은 87%에 가깝다. 이는 남한의 베이비붐시대 1955~1974년까지의 유례가 없던 인구 증가율 61.3%과 비교했을 때, 1979~1991년까지 전쟁 상태에 있던 캄보디아에서 이런 인구 증가율이 나온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다시말해, 사망자 수를 과장했다고 볼 수 밖에 없다.

 

(질문2) 그렇다면 사망자들은 어떻게 죽었는가?

 

(답) 결론부터 얘기하면 식량난으로 인한 아사자가 대부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75년 인구를 750만명으로 추정한다면, 1인당 하루 150그램의 쌀을 기준으로 필요한 식량은 41만 톤인데, 당시 자급률이 20%선에 불과하였고, 해외에서의 지원도 턱없이 모자랐다. 때문에 대규모의 아사자가 발생할 가능성은 예견된 것이었다. 

 

(질문3) 식량난이 발생한 원인은 무엇인가?

 

(답) 2차 인도차이나전쟁(1960~1975년 베트남전쟁) 때 북베트남에 보급로를 지원한 라오스와 캄보디아는 미군의 비밀스러운 폭격에 시달렸는데 국제사회의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다. 미국이 캄보디아를 대상으로 1960년대 말 실시한 비밀폭격은 무려 23만 회 출격에 폭격지는 113,716곳에 이르고 투하된 폭탄의 양은 275.6만톤이었는데 이는 2차 세계대전 때 사용되었던 양과 맞먹는 양이다. 곡창지대를 중심으로 투하된 폭탄으로 인해 식량 수출국이었던 캄보디아는 오히려 식량을 수입해야 하는 처지가 되었고, 폭격으로 인해 죽은 사람과 유실된 농토가 얼마인지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이후 캄보디아의 식량 자급률은 20%대로 떨어졌고, 캄보디아에 세워진 미국의 괴뢰정권이 물러간 1975년 이후 미국의 식량 지원이 끊겨 대량 아사자가 발생할 것임은 쉽게 예측할 수 있는 일이었다.

 

(질문4) 그렇다면 우리가 보는 킬링필드의 진실은 무엇인가?

 

(답) 킬링필드 학살에 관한 이미지는 베트남이 심어놓은 것이다. 베트남은 통일 이후 캄보디아를 침공하였는데 당시 국제사회의 지지를 거의 받지 못했다. 그 때 베트남이 펼친 전술은 킬링필드의 학살을 대대적으로 보도함으로써 자신들의 침공을 정당화할 명분을 세우는 것이었는데, 학살과 고문의 대표적인 박물관인 툴슬렝 박물관 역시도 당시 베트남이 설립한 것이다. 

 

을씨년스럽게 서 있는 건물은 당시 상황을 자세히 설명하는 글이 없이 사진이나 고문기구, 해골과 같은 이미지로 채워져있고, 이는 박물관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에게 자연스럽게 이성에 앞선 놀라움과 증오를 안겨주는 장치로 베트남의 전략은 성공적이었다.

 

(결론)

 

물론 당시 캄보디아의 폴포트 정권이 저지른 만행은 사실이고, 정당화될 수 없는 것이지만 정확한 역사적 관계를 알지 못하면 원인 분석에 오류가 발생한다. 원인 분석의 오류는 끔찍한 역사로부터 교훈을 얻기를 방해하고, 다시 그런 역사가 반복될 여지를 남긴다. 즉, 역사를 바로 아는 것은 잘못된 원인으로 잘못된 결과를 끌어내는 악순환의 고리를 처음부터 제거하는 것이기에 무척 중요하다.

 

킬링필드의 진실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우리가 흔히 아는 대량학살, 정치적 탄압만이 진실은 아니며, 그것은 일면일 뿐이다. 이런 결론으로 인해 이득을 보는 세력을 경계하고, 생각이 균형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3/29 23:54 2010/03/29 23:54
Tag //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caopp/trackback/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