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아시아는 어디에 있는가?

pressian, [김명인 칼럼]여수의 비극과 한류 사이에서 

 

 여수 출입국사무소의 불법체류자보호소 화재로 그곳에 '보호'되고 있던 불법체류 외국인 아홉 명이 죽고 열여덟 명이 부상을 입는 참사가 발생했다. 그들은 가까이는 중국, 멀리는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에서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한국을 찾은 아시안 이주노동자들이다. 그러나 아시아의 새로운 기회의 나라 대한민국이 가난하고 힘없는 그들에게 준 것은 결국 비참하게 죽을 기회뿐이었다.
  
  언론은 사건 이후 연일 보호시설의 열악한 인권실태와 가혹한 불법체류 이주노동자대책을 비판하고 있지만 획기적인 대책은 여전히 난망이고 죽은 이들은 영원히 돌아오지 않는다. 사건은 곧 닥칠 추방의 운명에 지레 절망한, 한 재중국동포의 자포자기적 자해 방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마도 그의 영혼은 육체적 죽음 이전에 이미 절망과 고통으로 먼저 질식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죽은 이들 모두 그 점에서는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여수에서의 절망과 이 땅의 아시아 담론
  
  아시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 나라에는 아시아 담론이 꽃을 피우고 있다. 세계사의 피해자, 아시아의 지정학적 희생자라는 사실을 특권화하면서 오랜 일국적 피해망상과 과대망상 사이를 왕복하던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 결엔가 아시아를 자연스럽게 입에 올리는 형편이 되었다. 세계화와 개방화의 덕이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우리가 아시아를 입에 올릴 때는 세계를 입에 올릴 때와는 다른 뉘앙스가 있다. 세계는 아직도 따라잡지 못한 어떤 것으로서 여전히 선망을 수반하는 대상인 데 반해, 아시아는 우리와 대등하거나 우리에 못 미치는, 혹은 우리가 이미 앞질러버린 것에 대한 우월감을 수반하는 대상인 것이다.
  
  그것은 이제 좀 먹고 살만해졌다는 것, 한국자본주의의 초과이윤 획득 혹은 이윤보전에 대한 욕망이 아시아의 상대적 저개발국으로 향했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아시아는 이제 훌쩍 커버린 한국자본주의의 구체적 경쟁대상이거나 착취대상으로서 떠오른 것이다. 이른바 '한류 담론'이 대한민국을 발신자로 하고 아시아 각국을 수신자로 하는 새로운 문화전파론의 양상으로 전개되면서 '선진국' 일본에 대해서는 각축자의 포즈를 취하고 다른 아시아 각국들에 대해서는 전파자의 포즈를 취하고 있는 것은 바로 한국자본주의의 이런 사정과 정확한 아날로지를 이루고 있다.
  
  지식인사회의 아시아 담론도 그 내밀한 맥락은 이와 그리 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식민지시대에서부터 오랜 동안 일국적 사유의 질곡 속에 갇혀 있던 진보적 담론들이 아시아를 발견하고 획득하게 된 맥락 역시 한반도를 이른바 '세계 근대사적 모순의 결절지점'으로서 인식론적으로 특권화하고, 그 토대 위에서 아시아를 관념적으로 대상화한 데서 가능한 것이 아니었겠는가 하는 생각이다. 자본주의 세계체제에 대한 대안담론 구성이라는 맥락에서 한국의 지식인들이 아시아를 논할 때 무의식적으로 일본과 중국을 일차 파트너로 상정하고 그 나머지를 부차화하는 것, 즉 아시아를 관념 속에서 위계화하는 것이 한류를 포함한 한국자본이 아시아를 위계적으로 사유하는 것과 얼마나 다를까.
  
  반면에 지식인 간의 네트워크의 수준을 넘어서 아시아 민중의 연대를 사유하고 행동하는, 보다 실천적인 아시아 담론들도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사유의 중심은 한반도에 놓여 있게 마련이고 네트워크의 이니셔티브 역시 한국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의 민주화운동 경험을 '수출'한다는 발상과 같은 것은 그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아시아 담론에선 왜 식민주의의 냄새가 날까?
  
  이처럼 한국에 있어서 아시아는 일종의 신개지이자 프론티어리즘의 대상으로 다가와 있다. 그리고 이런 신개지론, 프론티어리즘의 배후에는 알게 모르게 내셔널리즘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고, 그것은 조금 더 발전하면 일종의 식민주의의 논리와도 맥을 같이하게 된다. 식민주의의 본질은 차별화이며, 차별화는 상호주체성 없는 대상화에서 시작된다. 우리의 아시아 담론의 무의식에는 많건 적건 식민주의적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언젠가 어떤 자리에서 나는 아시아의 연대라는 것은 '고통의 연대'여야 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 제국주의 지배와 식민주의의 질곡이라는 공통의 역사경험이 현재의 아시아 민중의 삶을 여전히 위협하고 식민화하고 있다면 아시아적 연대의 토대는 바로 그러한 식민화가 산출하고 있는 삶의 구체적 고통들을 함께 나누고 그에 대항하여 함께 싸우는 데에 있다는 뜻이다. 그럴싸한 말이다.
  
  하지만 그런 말도 여전히 관념적이고 어쩐지 성에 차지 않는다. 왜냐 하면 아시아적 고통은 어디 평양에 있고, 오키나와에 있고, 반다아체에 있고, 스리랑카에 있고, 티벳에 있는 것이 아니라 먼저 여기 바로 한반도의 바로 내 코 앞에서 먼저 드라마틱하게 펼쳐지고 있는데 정작 나는 그것을 제대로 나의 문제로 삼아 씨름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시아는 우리 눈 앞에, 우리 코 앞에 있건만…
  
  북한사람, 조선족, 중국인, 몽골인, 베트남인, 필리핀인, 인도네시아인, 미얀마인, 네팔인, 방글라데시인, 스리랑카인, 우즈베키스탄인…. 이처럼 수많은 아시아 민중들이 지금 바로 우리 곁에서 살인적 초과노동을 하고 착취당하고 손가락 잘리고 사기 당하고 결혼하고 아이 낳고 도망다니고 밀입국하고 단속되고 '보호'되고 추방되고 때론 도둑질도 하고 살인도 하고 방화도 하고…, 그리고 비참하게 죽어가고 있다. 바로 여기 아시아 속의 '대한민국'이 있고, 대한민국 속의 아시아가 있는데 우리의 아시아 담론들은 어디를 방황하고 있는 것일까.
  
  아시아 담론을 운위하기 전에 먼저 해야 할 일은 우리 속의 아시아와 아시아 민중을 똑바로 들여다보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아시아의 신흥강국 대한민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식민과 피식민 관계가 매일매일 연출하고 있는 이 적나라한 수라도를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다면, 그리하여 이 안에서 아시아적 고통에 대한, 아니 세계적 규모와 차원의 고통에 대한 감각을 일깨운 바탕 위에서 아시아적 연대를 수행하지 못하는 한, 우리의 모든 아시아 담론은 본질적으로 식민담론과 다를 바 없는 것 아닌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Background On Burma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day-to-day situation of Burma's villagers and the mentality of the ruling junta, it is essential to have some idea of the country's ethnic makeup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is paper presents a brief summary of Burma's people and historical development, followed by a summary of the current human rights situation. At the end we have provided endnotes and a suggested list of further reference materials. Please note that this page is not regularly updated, so it is useful as a general background but does not aim to provide specific detail on the current situation.

A Land of Ethnic Diversity

Burma is a country of great ethnic diversity, its estimated population of 48-50 million being divided between at least 15 major ethnic groups, many of them with several distinct subgroups. These groups come from very different origins: for example, the Muslim Rohingyas of Arakan (Rakhine) State are related to Bengali and Indian traders of centuries ago, the predominant Burmans originally migrated from the Indo-Tibetan region, the Shan are a Sino-Thai race originating from what is now China, the Karen, Karenni and Pa’O originated from the region of Mongolia, and the M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Khmer of Cambodia. The extent of these differences is partly visible in the differences in culture and language, with languages such as Burmese, Shan and Karen having virtually no similarities at all. There is no reliable census data for Burma at present, because the last real census was conducted in the early 1930’s and all of the census data since British colonial days has been collected by Burman-dominated regimes keen on exaggerating the dominance of the Burmans; for example, in many areas anyone with a Burman name (which many people adopt to avoid official discrimination) and anyone who is Buddhist has been listed down as a Burman. Using data collected this way, the SPDC and its predecessor regimes have claimed that 67-70% of the population is Burman, while in reality it is more likely that at most half the population is Burman, with 50% or more of the population divided among the other ethnic groups. After the Burmans, the most populous groups are the Karen with an estimated 6-7 million (when taken including the Karenni and Pa’O), and the Shan and Mon with about 4 million each [1]. Even these figures, however, can only be taken as rough estimates.

Kingdoms and Colonisation

There is a great deal of debate over who arrived in Burma first, this honour being claimed by the Burmans, Mon, Karen and Rakhine, among others. Most of these claims appear to be based more on racist dogma than on available historical evidence, particularly the claims of the Burmans and Rakhines, but the oral histories of the Karen and Mon appear to coincide more closely with the historical records and artifacts available. According to the Karen version, their people arrived in Burma, a region which at that time was virtually unpopulated jungle, approximately 2,500 years ago (the current year 2000 is 2739 on the Karen calendar) after a migration in several stages from the region of what is now Mongolia, and settled in what is now the Irrawaddy and Sittaung basin of central Burma. Other groups began arriving at around the same time, possibly shortly before or after, particularly the Mon/Khmer. The Mon/Khmer began imposing their feudal kingdom structure on the other peoples, most of whom had little or no political structure. This began the movement of peoples like the Karen from the central lowlands out into the hills. The Shan also had a strongly structured hierarchical society and in time began dominating what is now Shan State, while the Rakhine kingdom dominated what is now northwestern Burma. The Burmans (whose current calendar year is 1362) were probably among the latest groups to arrive, but over the centuries their kingdoms gradually defeated the Mon and the Rakhine. For hundreds of years until the 1800’s, there were various warring kingdoms trying to eat away at each other’s territories, while less-organised or more peaceable peoples were gradually driven further into the hills toward the peripheries of what is now Burma. In 1767, the armies of the Burman king Hsinbyushin even conquered much of Siam (Thailand), sacking the capital at Ayutthaya and extracting tribute from the existing dynasties. However, none of these kingdoms were ever strong enough to occupy and hold all of this territory, so once they had conquered they generally had to withdraw and life went on.

The British took over what is now Burma piece by piece in 3 wars: 1824-26, 1852-53, and finally in 1886, when ‘Burma’ became part of the British Empire as a province of British India. Until that time, no one had looked on this diverse region as a single geographic unit, and this is an important point in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argument for autonomy or independence of the non-Burman peoples. The British systematically eradicated the structure of the Burman kingdoms, but at the same time allowed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Shan princedoms and the Karenni sawbwa’s. These local rulers were allowed some autonomy because they were seen as less of a threat and because the British did not want to allocate the resources necessary to control such vast and far-flung territories, preferring to gradually implement an indirect rule enforced through local leaders. For peoples such as the Karen, Karenni and Kachin, British colonialism was partly a liberation from the repression of the Burmans, and it gave them their first access to education and some forms of development. British and American missionaries had a great deal of success with some of these peoples, gradually converting a sizable minority of Karens to Christianity (mainly Baptist), many Kachin, Chins (also known as Zo) and Naga of northwestern and northern Burma to Baptist and other Christian faiths, and a large proportion of the Karenni to Catholicism. As opportunities opened, many people from these groups joined the colonial administration, civil police force and army. Although in these colonial institutions they were heavily outnumbered by Burmans (for example, in 1938 the civil police force was 71% Burman and only 8.7% Karen [2]), many Burmans remained resentful of British rule and were not very well trusted by the colonisers compared to the other peoples.

Nationalism, Japanese Occupation, and Independenc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Burman feeling against the British began to take tangible form in the beginnings of nationalist liberation movements, particularly the Thakin movement in which Aung San was a leader. Over the years the Thakins looked to outside countries for military help in overthrowing the British, culminating in the trip of Aung San and the ‘30 Comrades’ to Japan for military training in early 1941. By the end of 1941, they had returned and put together an ‘army’ of a few thousand in Siam, and followed the invading Japanese into Burma. In the face of the Japanese advance, the British Army retreated to India. During the ensuing 3½-year Japanese occupation of Burma, Aung San’s ‘Burma Independence Army’ acted as enforcers for the Japanese forces, and attracted a mixture of nationalists seeking independence and riffraff who wanted to loot villages. A wide range of atrocities were perpetrated by the BIA against Karen villagers and other ethnic peoples, as many Burmans finally had their opportunity to vent their frustrations against peoples they perceived as British ‘collaborators’. In areas such as the Papun hills, Karen villagers feared the BIA much more than they did the Japanese occupation forces.

At the same time, some Karen, Kachin and others had left for India with the retreating British forces, later to parachute back in, and a few British officers had remained behind in Burma. Villagers were organised into resistance units and armed to fight the Japanese and BIA, and the villages suffered heavy retaliations as a result [3]. In 1944-45, when the Allies re-entered Burma, the Karen, Karenni and Kachin were instrumental in helping them to recapture Burma by systematically harassing and creating havoc among the retreating Japanese [4]. In return for their loyalty they hoped for independence from the Burmans after the war, but it never came. By 1944, Aung San and the BIA had realised that the Japanese had no intention of granting real independence and that the tide of the war was turning, so they switched sides and also fought the retreating Japanese. After the war, Aung San approached the British for independence. The non-Burmans protested that they should be granted freedom from the Burmans, and the British convened the Frontier Areas Commission of Enquiry (FACE) to hear testimony, particularly from Karen regions, on their views. However, as more and more villagers testified of BIA atrocities, the British began to regret the experiment and after the Commission closed they wiped much of the testimony off the record. In the end, independence was granted under Aung San’s plan, with a unitary government which would clearly be Burman-dominated. [5]

Realising that some kind of accommodation would have to be made with the non-Burmans, Aung San engineered the 1947 Panglong Agreement, whereby some representatives from the Shan, Chin and Kachin hills signed their willingness to cooperate with his government and not to seek secession for at least 10 years. No representatives of the Karen, Mon, or any other peoples were present. Even so, Panglong appeared to be a good starting point, but its spirit was wiped out a few months later when Aung San was assassinated by his Burman political rivals. When independence came in January 1948, U Nu became Burma’s elected leader. He immediately faced a Communist rebellion which threatened to topple the government, and was largely saved by non-Burman units of the former colonial army. However, behind their backs he was raising his own Army, and he soon turned it against the Karen and other non-Burman units. At the same time the Karen and others began rising for some form of independence or federalism, first in large peaceful demonstrations, but when this didn’t work they went into armed rebellion. In 1949, the newly independent government faced armed uprisings not only by the Communists, but the Karen and others as well.

Civil War

Through the 1950s, U Nu’s party managed to hold power and bring about some economic progress in the central Burman cities despite facing several armed opposition groups in the countryside. However, Gen. Ne Win, whom U Nu had made head of the Army, seized the government first in 1958-60, and then again in 1962, when he established a full military dictatorship and began stripping everyone in the country, Burman or otherwise, of their rights.

Through the 1950’s and 1960’s, more and more ethnic armed groups rose against the regime until by the late 1970’s there were well over a dozen armed opposition groups controlling something like 20-30% of Burma’s entire land mass. The Communists had become entrenched in large areas of Shan State, while ethnic-based armies controlled much of the hill territory near all of the country’s land borders. Ne Win’s response was to increasingly militarise the country and make his repression of all freedoms more and more systematic. He introduced the Burmese Way to Socialism, which essentially meant state control of everything, and he was the state. He largely cut off the country from international trade or contact, which only strengthened the hand of the armed opposition groups and drove the country into abject poverty. In the early 1970’s he introduced the Four Cuts policy, aimed at cutting off all supplies of food, funds, recruits and intelligence to opposition groups; in practice, it meant undermining the opposition by systematically driving into destitution the civilian population supporting it. Forced relocations, forced labour and all forms of abuses against the civilian population became the order of the day.

Gradually the opposition to Ne Win’s rule became almost universal. In the cities, major demonstrations broke out in 1974 but were put down by the military with many arrests and killings. In 1976, nine of the ethnic-based armies united to form the National Democratic Front (NDF) alliance. However, Ne Win’s rule continued until 1988, when a sudden demonetisation which had wiped out many people’s savings triggered mass uprisings in Rangoon, Mandalay and most provincial towns.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hit the streets, l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Buddhist monks, only to be raked with machine gun fire or charged with bayonets by combat troops. Anywhere from 1,000 to 3,000 people were killed nationwide, and for the first time Burman pro-democracy activists fled to ethnic-held areas in the hills, where they formed their own pro-democracy organisations and allied themselves with the ethnic armies to form the Democratic Alliance of Burma and other alliances. In Rangoon, Ne Win stepped down but eventually hand-picked a junta, which assumed power in September 1988 and called itself the State Law & Order Restoration Council (SLORC).

The SLORC and the SPDC

The SLORC inaugurated its rule by massacring more civilian demonstrators, then immediately began implementing more draconian measures than Ne Win had ever imposed. However, the regime was hungry for international funds and support, particularly the foreign aid whic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d cut off in its horror at the massacres. In an attempt to appease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criticism and to obtain financing, the SLORC began to make a show of opening markets and announced democratic elections for 1990, calculating that it could control the election results by keeping the opposition divided. Unfortunately for them, Daw Aung San Suu Kyi, the daughter of General Aung San (who is an ‘independence hero’ to most ethnic Burmans), had returned from England to tend her sick mother in 1988 and had been dragged into the political whirlpool. She became the General Secretary of the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NLD), a new opposition party, and the electoral opposition parties began rallying around her. To put a stop to this the SLORC put her under house arrest in 1989, but when the polls were held in May 1990, the NLD won 82% of the parliamentary seats, its allies 16%, and the SLORC’s ‘National Unity Party’ only 2%. The junta immediately began taking steps to ignore the election, and never did honour the result. Daw Aung San Suu Kyi was held under house arrest until 1995, and even now is so restricted in her movements that she remains under virtual house arrest. Elected Members of Parliament have been harassed, arrested, disqualified, or forced or coerced to resign. Some have died in prison, while others fled to areas held by the ethnic resistance groups and formed a parallel government.

In the ethnic-held areas, agreements were made between ethnic and pro-democracy groups wherein most of the ethnic armies dropped independence from their objectives, and in return the pro-democracy groups agreed to the concept of a federal system with some autonomy for the ethnic states. The SLORC changed the country’s name to ‘Myanmar Naing-Ngan’, a name essentially meaning ‘Burman Country’ in the Burmese language, which the Burmans had used historically to refer to their kingdoms of the central plains; at the same time changing all other names to their Burmese language versions such as ‘Rangoon’ to ‘Yangon’. This was seen by the ethnic nationalities as part of ethnic cleansing and by the Burmese pro-democracy groups as the act of an illegal regime, so all of these groups rejected the name change.

The SLORC stepped up its military offensives against the ethnic armed opposition and its repression of the civilian population. In 1989, the Burmese Communist Party imploded when the ethnic Wa soldiery rebelled against the mainly Chinese leadership, and then formed the United Wa State Army. The SLORC saw an opening and negotiated ceasefires with the Wa and several small groups within Shan State, promising SLORC Army support for drug trafficking operations in return for ‘joining hands with the government’. Burma rapidly became the world’s largest supplier of opium and heroin. The regime then used military offensives, large-scale forced relocation of civilians, the complicity of neighbouring countries, and finally buy-offs of the leadership to force other armed opposition groups into ceasefire deals, none of which addressed any of the political or human rights concerns of those groups. After each deal, the SLORC sent more military to effectively surround the ceasefire groups, making it impossible for them to consider a resumption of hostilities. Human rights abuses against the civilians, such as forced labour for the SLORC military, continued.

The SLORC presented these ceasefires internationally as evidence that it was creating ‘peace’, and claimed that it had secured ceasefires with 7 of 9 opposition groups; then 9 of 11; then 11 of 13; then 14 of 15; and at present, 17 of 18 opposition groups. The reality is that many of the groups in the list are SLORC creations, while at least 5 groups continue to fight the regime (the Karen National Union, the Shan State Army, the Karenni National Progressive Party [which the regime includes in its ‘ceasefire’ list], the Chin National Front, the National Socialist Council of Nagaland, various Arakan Rohingya groups, etc.). The SLORC continued to offer business opportunities in return for international political support, and gained admission to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in 1997, while still keeping China as its principal political and military backer. In late 1997, the regime changed its name to the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SPDC).

Most of the armed groups fighting the SPDC have given up their control of territory in the face of mass military offensives, and now fight entirely using guerrilla tactics. In areas where there is still armed opposition, the SPDC is demanding the outright surrender of the opposition groups, backing this with military offensives and by implementing the Four Cuts policy more systematically than ever before, forcibly relocating hundreds of villages at a time, systematically torturing and executing any villagers suspected of having any links to the opposition, and forcing the civilian population to do labour and provide all the material needs of the Army. In rural areas where there is no conflict, the Army and administration demand regular forced labour on infrastructure and money-making schemes, extort money out of farmers until they have to flee their land, and force them to hand over large proportions of their crops to support the Army. In the cities and Burman areas, the regime keeps most of the universities closed, all freedom of expression and association is denied, unauthorised access to fax machines, foreign radio or the internet is punishable by long jail terms with hard labour, high school students have been sentenced to 20 years imprisonment for handing out pamphlets, and corruption and official extortion are rampant. The economy is destroyed, with a worthless currency, spiralling inflation, billions in foreign debt incurred by building up the military and almost no foreign exchange reserves. Politically the situation is at a stalemate, with the SPDC refusing to negotiate with the NLD, Daw Aung San Suu Kyi or representatives of the ethnic nationalities; the regime appears to believe that if it can simply continue holding powe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give in and give it the financial and political backing it needs in return for access to Burma’s resources and extremely cheap labour.

The Present Day: Junta Policy in the Rural Areas

The SPDC itself is a classic case of a paranoid military junta; its leaders restrict even the most basic freedoms in the belief that any freedom whatsoever will be used to oppose their rule. They may be right, because unlike repressive regimes in many parts of the world, the SPDC represents no political faction or ideology other than pure militarism and has no constituency among the general populace. The result is a regime which focuses most of its energies on controlling the civilian population.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rural areas, many of them populated by the non-Burman ethnic nationalities which together make up approximately 50% of Burma’s population. Ethnic-based armed resistance movements have been seeking autonomy by fighting the central regime for the past 50 years, and the SPDC and its predecessors have believed since the 1970’s that the best way to destroy these groups is to destroy the ability of the civilians to support them.

This approach gave rise to the official Four Cuts policy, intended to deprive opposition groups of food, funds, recruits and intelligence. In practice, this is implemented by systematic intimidation and repression of the civilian population until they no longer dare support the opposition, and by making them so destitute that they are unable to provide any material support. In other words, undermine the opposition by directly attacking the civilians who support them, often referred to as ‘draining the ocean so the fish cannot swim’.

The Four Cuts have been official policy since the early 1970’s, but the present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SPDC) military junta has made their implementation much more systematic than ever before. Using military offensives and large-scale forced relocations, the junta has managed to force many of the ethnic resistance groups into military ceasefires which do not address any political or human rights issues. However, several resistance groups continue to fight, particularly in Karen, Karenni (Kayah) and Shan States. In these areas, the junta’s main tactic is now mass forced relocations of the civilian population. In the past forced relocation was used as a military tactic but only on a localised scale, a few villages at a time; however, in 1996 the junta began delineating regions where any form of resistance occurs, and forcing hundreds of villages at a time to move to Army-controlled sites. Between 1996 and the present, at least 1,500 villages in central Shan State have been ordered to move and destroyed, affecting at least 300,000 people [6]; since 1997, 200 villages covering the entire map of Karenni (Kayah) State have been forced out and burned [7]; since 1997, close to 200 villages in Papun and Nyaunglebin Districts of northern Karen State have been shelled and burned without warning, driving the population into hiding in the forest [8]; between 1996 and 1997 over 100 villages in southern Tenasserim Division were forced out and destroyed, followed by a mass military offensive which is still destroying more villages now [9]; and since December 1999 the SPDC has ordered that over 100 villages throughout Dooplaya District of central Karen State hand over their entire rice harvest to the Army and then move to Army-controlled sites or face being shot on sight [10]. In hill villages throughout Karen State, villagers are now being ordered to move into the ‘centre’ of their villages, meaning they cannot stay near their fields, and are only allowed to leave the village between dawn and dusk under threat of being shot if they are out after curfew. This disrupts the entire crop cycle, because villagers are used to staying in field huts far from the village for much of the growing season to do all of the intensive labour which is required. Many of them find that they can no longer produce their own food.

The junta’s strategy is to consolidate control by forcing all villages out of the remote hills to Army-controlled sites, then using them as forced labour to build access roads into their home areas, then establishing Army camps along the roads, and then re-introducing villagers into what are essentially ‘forced labour villages’ along the roads where they can be easily controlled and are always available to serve the soldiers. In the process, no one is to be allowed to live in the hills out of reach of the Army any longer.

Many of the villages ordered to move do not even have any contact with opposition groups, but they fall within an area where the SPDC believes the opposition can operate. The villagers are usually given no more than a week to move, after which they are told their homes and belongings will be destroyed and they will be shot on sight if seen around their villages. After the relocation deadline the Army usually sends out patrols to destroy the villages, and particularly to hunt out and destroy any food supplies. The villagers are usually ordered to move out of the hills, to larger Army-controlled villages or sites along roads. They have to bring their own food and building supplies because nothing is given to them; in many cases they even have to hand over their rice to the Army and have it rationed back out to them day by day. Once in the relocation site, people have few or no opportunities to return to their fields and must survive by foraging for food or looking for local day labour. At the same time, the Army uses them as a convenient source of unpaid forced labour at local Army camps and along the roads, making it almost impossible for them to support themselves. After a few months, many people find they have little option but to starve or flee.

These days most people know what awaits them at the relocation sites, so when they are ordered to move they simply flee into hiding in the forests surrounding their farmfields. They then try to survive from hidden rice supplies around their villages, planting small patches of crops in several different places and fleeing from place to place whenever SPDC Army patrols come around. Tens of thousands of people are presently living this way in central Shan State, throughout Karenni (Kayah) State, in Toungoo, Papun and Nyaunglebin districts of northern Karen State and eastern Pegu Division, and Tenasserim Division of southern Burma. They have little food and many are starving, there is no access to medicines and many die of treatable diseases, their children have no access to education of any kind, and they live under the constant risk of being captured or shot by passing SPDC patrols who also seek out and destroy their food supplies and crops in the fields. Many of them have been living this way for two to three years already. Eventually, finding they can no longer survive this way, a steady stream of them try to make their way to the border with Thailand to become refugees.

This desperate lack of options is most clearly reflected by the statements of villagers included in KHRG reports such as Wholesale Destruction (1998) and Death Squads and Displacement (1999). In the remote hills of Papun and eastern Nyaunglebin Districts, villages have been shelled and burned without warning and villagers hiding in the forests are hunted on sight. In the western plains of Nyaunglebin district, which are close to the Sittaung River and under SPDC control, the villages have been forced into relocation sites where nothing is provided, and the SPDC has created new ‘Guerrilla Retaliation’ execution squads which have been systematically killing any villagers who have ever helped the opposition in the slightest way. As a result, villagers from the western plains flee into the hills, while villagers in the hills are themselves fleeing into the forests or toward Thailand - a trip that involves passing through northern Papun District, where even more villages have been systematically destroyed and the situation is equally as bad.

Forced relocation is not the only thing ripping the villages apart. Even in villages which have not been forced to move it has become almost impossible to survive. Village leaders living in conflict areas have described their lives as ‘standing in a leaky boat which is being rocked from both sides’. They are forced to support opposition armies, such as the Karen National Liberation Army (KNLA), the Karenni National Progressive Party (KNPP), or the Shan State Army (SSA), with food, porters and recruits, and then they are severely punished for this by the SPDC Army. While most of the villagers support the aims of the opposition, they find it difficult to provide material support and they often ask local guerrilla commanders not to attack the SPDC in their area, because whenever SPDC columns are ambushed they respond by torturing the elders and burning homes in the nearest villages, accusing them of not providing sufficient intelligence. This dilemma comes out the most clearly in testimonies from villages where the SPDC is largely in control; strong examples can be seen in the KHRG reports Caught in the Middle (1999) on Thaton District, and Peace Villages and Hiding Villages (2000) on Toungoo District. A typical SPDC written order sent by Infantry Battalion #26 to a Karen village in Toungoo district in 1999 reads, "do not give paddy, rice or ‘set kyay ngwe’ [protection money] to the enemy. [We] will burn and relocate the villages who give these. [We] will decree them to be hard core."[11] However, villages have no choice but to provide these things, and they constantly face retaliations by SPDC commanders for it. At the same time, it must be said that the opposition armies do not engage in the brutal abuses of the SPDC Army, and when the worst abuses are occurring the villagers often flee to the opposition troops for some form of protection.

Landmines have become an added threat to villagers, particularly over the past 3 to 4 years. In Karen State, landmines are now being laid heavily by at least 3 groups: the SPDC, the KNLA, and the Democratic Karen Buddhist Army (a Karen splinter group allied to the SPDC). None of the mines are mapped, and though the KNLA tells the villagers which pathways are mined the information often doesn’t get to everyone. Most of the casualties are villagers, particularly because of the SPDC practice of using villagers to march in front of their columns as human minesweepers and human shields against ambush. This form of abuse is on the rise in central Karen State, and many SPDC columns are specifically choosing to use women and children for it. According to research done by Non-Violence International for the September 2000 Landmine Monitor (the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 the estimated number of landmine casualties in Karen State rose in 1999 to well over 1,000, more than the reported landmine casualties for all of Cambodia during the same time period. With landmine use increasing every month, Burma is beginning to be seen as Asia’s new landmine hotspot. On the ground, this is reflected in the testimony of villagers, many of whom say that the main thing making them flee their villages was fear of being taken by the SPDC to clear mines. Pa’an District of central Karen State is now one of the most heavily mined areas in all of Burma,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feelings of villagers from the area recorded in the KHRG reports Uncertainty, Fear and Flight (1998) and Beyond All Endurance (1999); a few years ago, villagers interviewed from this area knew little or nothing of landmines, but now the issue permeates their consciousness and their fears.

Even this is only another factor in a whole range of suffering which combines to make life in villages impossible. In conflict areas, villagers face daily or weekly demands from all of the SPDC Army camps and mobile patrols in their area. At any given time, a village has to provide an average of one person per household for a whole range of forced labour: forced porters, guides and human minesweepers for military columns, messengers and sentries for Army camps, building and maintaining Army camp fences, trenches, booby-traps, and barracks, cutting and hauling firewood, cooking and carrying water to soldiers, building and rebuilding military supply roads, clearing scrub along roadsides to minimise the possibility of ambush, standing sentry along military supply roads, growing crops for the Army on confiscated land, and engaging in profit-making activities for the officers such as brick-baking, rubber planting or digging fishponds. Every Army unit demands most of these things from the surrounding villages, and every village is surrounded by three, four or five Army units. The forced labour is usually demanded on a rotating basis; a specified number of villagers must go for a day or a week with all their own food and tools, and they are not released until their replacements arrive for the next shift. Nothing is provided for them, and they often have to work under guard. Conditions for porters are especially brutal; forced to carry loads of rations or ammunition weighing 30 kg / 60 lb or more, they are marched in front of soldiers to detonate mines and kicked or beaten if they are too slow. If they become ill or cannot continue they are killed or left behind, and many porters die either during portering or afterwards, from disease complicated by physical exhaustion and malnutrition.

In addition, mobile patrols often grab farmers on sight in their fields or in the villages to be porters or to do forced labour at the local Army camps. Because of this, villagers usually run as soon as they see an Army patrol coming - and the Army considers anyone who runs as a rebel and immediately opens fire on them. To avoid forced labour, the village men in many conflict areas leave the village to stay in hiding in their field huts or in the forest while the women, children and the elderly remain behind in the village to protect the house from looting by soldiers and to carry on some semblance of family life. The men only sneak back into the village for food and to visit when SPDC patrols are not around. This system makes the women particularly vulnerable, because SPDC patrols arriving at the village often rape them on seeing that the men are not around. In the absence of men, they often take the women as porters, or accuse them of being married to ‘rebel soldiers’ and hold them hostage pending the return of their husbands.

In northern Karen State some villages in conflict areas have tried to appease the SPDC by making their own ‘peace’ agreements; they promise to abide by all SPDC demands and not contact the resistance if their village is not forced to move. They are subsequently labelled ‘peace’ villages, but even in these villages the demands for forced labour, money, food and materials usually become so intense that the village elders cannot keep up with them all. They are then arrested and tortured for failure to comply, houses are sometimes burned and many villagers flee just as though there had never been any agreement.[12]

Abuses in the Non-Conflict Areas

It is a common misconception to think that forced labour and other abuses only occur in Burma’s conflict areas. Many people are finding that they cannot survive in their villages even in areas where there is no opposition activity at all. As explained above, the SPDC tries to control the life of every civilian with its Army, so the non-conflict areas have almost as many Army units as the conflict areas. With the rapid expansion of the Army in recent years to its current strength of over 400,000 troops, villagers who have never seen fighting now find their villages surrounded by 3 or 4 Army camps within one or two hours’ walking distance. The officers in these camps see the civilian population as little more than a convenient pool of forced labourers and a source of profit. Villages receive a constant stream of written and spoken orders demanding their forced labour as Army camp servants, messengers and sentries, cutting and hauling building materials for camp construction, building and maintaining the camp (translations of hundreds of these can be seen in the KHRG ‘Order Sets’ available on this web site). They are also taken as porters, because even where there is no fighting the Army still needs people to haul rations and supplies from roadheads to hilltop Army camps, or from the Battalion bases to faraway outposts in the middle of conflict areas.

Where they are in complete control, the SPDC also uses villagers as forced labour to improve the road networks and build infrastructure such as railways and hydro dams. Conditions on such projects can be brutal, with one person per family demanded on rotating one or two week shifts; in rainy season the adults have to work the fields, so the children often have to go and work in dangerous conditions with frequent mudslides. Once completed, the power from these dams goes only to the Army camps and to businessmen who can pay off the Army, while the villagers are often forbidden to take their bullock carts on the roads they have built with their own labour. The roads, usually only dirt, are badly engineered by Army officers and wash out every monsoon season, causing many villagers to refer to the period November to January as ‘road building season’, when they are forced to rebuild the roads each year.

For Army officers, a posting in the countryside is an opportunity to make a great deal of personal profit in a short time. Officers in areas where there is no opposition usually occupy themselves by ordering villagers to cut logs and bamboo, claiming it is for the Army camp but then selling it on the market for personal profit. Other such schemes include forcing villagers as well as rank and file soldiers to bake bricks or dig and maintain fish ponds. All profit goes to the officers, who also confiscate most of the rations intended for their soldiers and approximately half of the soldiers’ pay in the name of various ‘fees’ and ‘contributions’, then sell the rations on the market and tell the soldiers to get their food from the villages. This situation has become even worse since 1998, when the SPDC in Rangoon cut back severely on rations to units in the field and ordered them to produce more of their own food or take it from the farmers. The result has been the systematic confiscation of much of the best farmland by Army units. The farmers are not paid any compensation; worse yet, they are called out for forced labour farming their confiscated land, from planting to harvesting, and the officers then take the entire harvest. Some villages report that they even have to provide the seed for planting these fields.

In addition to forced labour, villagers face constant demands for cash, food and materials from every SPDC Army unit in their area. On average, a family must hand over anywhere from 100 to 3,000 Kyat per month to the Army in cash as extortion which masquerades under the names of ‘porter fees’, ‘servants’ fees’, ‘development fees’, ‘pagoda fees’, and so on. In theory, this money is supposed to be used to hire people for forced labour or to support projects in the area, but in reality it is pocketed by the officers and forced labourers are not paid. Villagers must also pay to avoid forced labour when they are ill or cannot go, at rates of 100-1,000 Kyat per day of labour missed. Cash is very hard to come by for most subsistence farmers in rural Burma because they do not operate in a cash-based economy, but if they do not pay these fees they are arrested. Every farmer in areas firmly controlled by the SPDC must also hand over a quota of every crop to the SPDC authorities for next to nothing. Usually this quota amounts to approximately 30% of the entire crop, but after the farmer deducts the portion of his harvest required for seed stocks, payments in rice for previous loans, use of other villagers’ buffaloes to plough, etc., the quota amounts to 50% or more of what is left. Quotas have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d no exceptions are made for bad crop years such as the disasters caused by droughts and floods in 1997 and 1998. The farmers often have no option but to buy rice on the market to fulfil the quota in such years, while the family goes hungry. The price paid for quota is less than half of market price, but corrupt SPDC officials take out so many ‘deductions’ for themselves that the farmers usually receive no more than 10-20% of market price for quota rice.[13] Even with little or no rice left to feed their families, the farmers still face regular demands for rice and meat to feed the local Army camps, and armed patrols often enter villages to loot rice, livestock and valuables.

The SPDC provides very few social services in the villages which it controls. In some villages it sanctions the construction of a primary or middle school, but usually it is the villagers who must pay the cost of building it as well as the salary of the state-supplied teacher. More remote villages usually cannot afford to do this, so many have opened their own primary-level schools with their own volunteer teachers. Since the beginning of 1999, the SPDC military has been ordering the closing of many of these village primary schools in areas such as Pa’an and Thaton districts of Karen State, telling the villagers that only state-sanctioned schools are allowed. Many villagers cannot afford to send their children to state schools, however, and they also complain that in the state schools the teaching of languages such as Karen, Mon, Kayah, or Shan is strictly forbidden, causing children to grow up illiterate in their mother tongue. As a result, fewer and fewer children in the rural areas of Karen State have any opportunity for education. The same applies to rural medical clinics. Even in places where the regime has allocated some funds for the establishment of some basic social services, the local military and SPDC authorities use these services as an excuse to extort even more money from the villagers by force, usually amounting to several times the worth of the services being provided.

Even where schools are available, many children are pulled out of school as soon as they are big enough to work because of all of the demands for labour and money which their families have to face. Families sell their valuables to pay the SPDC fees and pay to avoid forced labour so that they can work in their fields or do day labour to make money. However, there are so many fees that the money does not last long, and many families send small children to do the forced labour so that the adults can still work the fields. Eventually they sell all of their belongings and livestock to pay all of the fees, and when they are still ordered to go for forced labour or pay money they have no option but to flee the village or face arrest, torture and possible summary execution. Trials are not held in rural areas, villagers are simply tied up and taken to Army camps where they are held in mediaeval-style leg stocks or pits in the ground, tortured and interrogated until the Army officer decides what to do with them. They are often held for ransom, held for months under torture without charge, or simply executed without any record existing of their arrest. To avoid this, villagers in areas all over Burma have fled to the towns where they become beggars or cheap labour, to the hills, or to neighbouring countries.

The overall result is that the subsistence farming village, the basic unit of society throughout all of rural Burma, is losing its viability under military control. The classic image of internally displaced people and refugees is that they have fled military battles in and around their villages, but this is far from the case in Burma. In thousands of interviews conducted by the Karen Human Rights Group since 1992 with villagers who have fled their homes, approximately 95% say they have not fled military battles, but rather the systematic destruction of their ability to survive caused by demands and retaliations inflicted on them unilaterally by the SPDC military. When they do have to flee fighting it is only for a day or two, because the war in Burma is a fluid, hit-and-run affair which villagers can dodge by hiding for short periods in the forest. However, once the SPDC occupies the area around their village the suffering is inescapable. The village, rooted as it is to the land, is just too defenceless and vulnerable. It can be forced out to work, looted, retaliated against, all with complete impunity.

Loss of Hope: The People and the Army

The population has largely lost hope and sees almost no way out of the present situation. In the urban and central Burman areas, people are too afraid to make any move to oust the regime because of the massacres they know would result. In the ethnic nationality regions, the opposition groups can no longer offer protection to the villagers, who cannot see any way to organise against the regime and see no option but to flee the SPDC Army whenever it is around. Anywhere from 2 to 4 million people are internally displaced in Burma, at least 1 million of these in the ethnic nationality areas, surviving in hiding in the forests or as beggars in the towns. Approximately 120,000 Karen and Karenni refugees are registered in camps in Thailand, with more arriving each week. An estimated 1 million or more additional refugees and economic migrants are scattered throughout Thailand in the illegal labour market. The entire situation in Burma is clearly unsustainable, but the regime absolutely refuses to lessen its grip on power in any way and there is no way of knowing for how long this situation can continue.

The Army, known as the Tatmadaw, has no real ideology and no constituency within the society that supports its rule, but it appears to have been successful in entrenching its rule more than ever before by entrenching fear and hopelessness in the minds of the people. Even its junior and mid-level officers work mainly only for purposes of their own power or wealth, or because being an Army officer is one of the few viable careers in today’s Burma. As for the rank and file soldiers, many are conscripted in forced lotteries, while others are coerced or misled into believing that the Army provides an escape from personal trouble or protection for their families. Once in the Army, they are dragged into the cycle of human rights abuses by officers who force them to take their food from the villagers and round up forced labourers or be punished. Even after years in the Army, they are not allowed to leave unless they round up 5 or 10 new recruits, which they do by coercing young boys they find at the markets and schools. As a result, most of the recruits to the Burmese Army are underage.

Though the SPDC junta has very few supporters within the population or even within its own Army, it is a mistake to pretend that the leaders of the SPDC junta are outsiders or aliens with no connection to the society in which they live. They may be deluded, but they did spring from Burmese society and they have succeeded in gaining and holding power over it. Essentially, their power is rooted in the deep racism that has permeated Burmese society since its beginnings; not only the racial supremacy complex which many Burmans are brought up with, but the racism of the Karen against the Burmans, the Burmans against the Shan, the Shan against the Wa, the Wa against the Shan, the Mon against the Burmans, the Rakhine against the Rohingyas, the Burmans against the Chinese, the Christians against the Buddhists, and everyone against the Muslims. The list goes on and on, and the military has always exploited it to turn people against each other and thereby increase its power. SPDC propaganda encourages a blind racist nationalism, full of references to ‘protecting the race’, meaning that if Burmans do not oppress other nationalities then they will themselves be oppressed, ‘national reconsolidation’, meaning assimilation, and preventing ‘disintegration of the Union’, meaning that if the Army falls then some kind of ethnic chaos would ensue. The non-Burman political groups are frequently just as guilty, relentlessly persecuting racial, regional and religious minorities within their own populations while demonising the Burmans, thereby preventing the very understanding among peoples which is so necessary to bring an end to military rule. A transition to democracy alone will not be enough to prevent the people tearing each other apart, particularly if it is a unitary, non-federal democracy. The first and biggest step in bringing about an end to the racism problem is to admit that it exists and to recognise its scale, but sadly there appear to be few people on any side of the struggle today who are willing to do so. Until they are, Burma will remain a country at war with itself.

Endnotes


[1]   For more details on population figures and breakdown see for example Burma: Insurgency and the Politics of Ethnicity by Martin Smith (White Lotus/Zed Books, 1999 edition), chapter 2, especially page 30.

[2]   Robert Taylor, The State In Burma (London: C.Hurst & Company, 1987), p. 101.

[3]   For a detailed account of this period see Grandfather Longlegs by Ian Morrison (Faber & Faber, London, 1946).

[4]   See Field Marshal (Viscount) William Joseph Slim, Defeat into Victory (London: Cassell, 1956; London: Papermac, 1986; 576 pages)

[5]   Harold Klein, the son of missionaries to Burma and a missionary himself, has produced very detailed unpublished research on this period which exposes much of the reality about the Frontier Areas Commission of Enquiry and the tactics of Aung San and the British Government.

[6]   See "Exiled At Home" (KHRG #2000-03, March 2000), "Killing the Shan" (KHRG #98-03, May 1998), and reports by the Shan Human Rights Foundation available at www.shanland.org .

[7]   See "Continuing Fear and Hunger" (KHRG #99-05, May 1999), "A Struggle Just to Survive" (KHRG #98-06, June 1998), and earlier reports referenced therein.

[8]   See "Wholesale Destruction" (KHRG April 1998) and "Death Squads and Displacement" (KHRG #99-04, May 1999).

[9]   See "Free-Fire Zones in Southern Tenasserim" (KHRG #97-09, August 1997), "Attacks on Karen Villages: Far South" (KHRG #97-02, March 1997), and "Refugees from the SLORC Occupation" (KHRG #97-07, May 1997).

[10]   See "Starving Them Out" (KHRG #2000-02, March 2000).

[11]   See "SPDC and DKBA Orders to Villages: Set 2000-A" , Karen Human Rights Group, February 2000, Order #3 .

[12]   See "Peace Villages and Hiding Villages" (KHRG #2000-05, October 2000) and "False Peace" (KHRG #99-02, March 1999).

[13]   For detailed examples of this, see "Death Squads and Displacement" (KHRG #99-04, May 1999) under 'Crop Quotas'.

 

Suggested Further Reading

The following alphabetical list is a selection of writings chosen to cover a broad range of topics in Burma. The inclusion or omission of a book does not imply support of its opinions or otherwise by KHRG.

Aung San Suu Kyi (1991) "Freedom From Fear and Other Writings", London: Penguin Books, 338 pages
A collection of writings by Aung San Suu Kyi.

Aye Saung (2000) "Burman in the Back Row: Autobiography of a Burmese Rebel", Hong Kong: Asia, 296 pages (First edition Bangkok: White Lotus, 1989)
The autobiography of a Burmese rebel who spent several years in the 1970s and early 1980s with Communist-affiliated organisations as well as the Shan State Army.

Cady, John F. (1958) "A History of Modern Burma",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682 pages
A comprehensive look at Burmese history.

Lehman, Frederick K. (1981) "Military rule in Burma since 1962", Singapore: Maruzen Asia, 83 pages
Six essays on modern Burma.

Lintner, Bertil (1990) "Land of Jade: a Journey through Insurgent Burma" Edinburgh: Kiscadale Publications; Bangkok: White Lotus, 315 pages
An account of an 18-month trek, from Oct. 1985 to April 1987, through rebel-held areas in Sagaing Division, Kachin State and Shan State.

Lintner, Bertil (1990) "Outrage: Burma's Struggle for Democracy", London: White Lotus UK, 208 pages
Detailed account of the 1988 uprisings.

Lintner, Bertil (2000) "Burma in Revolt: Opium and Insurgency Since 1948", Chiang Mai: Silkworm Books, 558 pages (First edition: Westview, Boulder, Colorado, 1994. 515 pages)
Political history of Burma since World War 2, with particular focus on north and northeastern Burma and the effects of the drug trade on events.

Marshall, Harry Ignatius (1997[1922]) "The Karen People of Burma: A Study in Anthropology and Ethnology". Bangkok: White Lotus.
A detailed anthropological description of Karen traditions and traditional Karen society.

Morrison, Ian (1946) "Grandfather Longlegs", London: Faber and Faber
Account of the situation in Karen State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based around the life of Major H.P. Seagrim, a British officer who stayed with the Karen through the war and was executed by the Japanese in 1944. Written in 1946, gives a good view of the real situation during the war including BIA atrocities against civilians and the life of villagers under the occupation.

Owen, Frank (1974) "The Campaign in Burma", Dehra Dun: Natraj Publishers, 165 pages
An account of the Allied campaign to recapture Burma from the Japanese.

Peers, William R. & Brelis, Dean (1963) "Behind the Burma Road: The Story of America's Most Successful Guerrilla Force",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246 pages
About Detachment 101 and the US-trained Kachin guerrillas during World War Two.

San C. Po, Dr. (1928) "Burma and the Karens", London: Elliot Stock, 94 pages
Written by a prominent, pro-British Karen who argues that the Karens need a country of their own.

Selth, Andrew (2002) "Burma's Armed Forces: Power Without Glory". Norwalk: Eastbridge.
A thorough study of the structure, strategy and operations of all branches of the modern Burmese military.

Selth, Andrew (1996) "Transforming the Tatmadaw: The Burmese Armed Forces since 1988", Canberr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Strategic and Defence Studies Centre, 207 pages
An account of the expansion of Burma's armed forces since the 1988 pro-democracy uprising.

Silverstein, Josef (1977) "Burma: Military Rule and the Politics of Stagnation",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224 pages
An introduction to modern Burmese politics.

Slim, William Joseph (Field-Marshal - Viscount) (1986) "Defeat into Victory", London: Papermac, 576 pages (First edition London: Cassell, 1956)
An account of the British campaigns in Burma in World War Two, by one of the British commanding officers.

Smith, Martin (1999) "Burma: Insurgency and the Politics of Ethnicity", Bangkok: White Lotus / London: Zed Books
Detailed reference on Burmese political development particularly since World War 2.

Smith-Dun, Gen. (1980) "Memoirs of the Four-Foot Colonel",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Southeast Asia Programme, data paper no. 113, 126 pages
A history of the Karens by the first chief of the Burma Army, a Karen himself.

Yawnghwe, Chao Tzang (1987) "The Shan of Burma. Memoirs of a Shan Exile", Singapor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76 pages
A study of the Shans, their history and rebellion against Rangoon.

Yegar, Moshe (1972) "The Muslims of Burma", Wiesbaden: Otto Harrassowitz, 151 pages
A history of Burma's various Muslim communitie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버마와 100년 전쟁, 카렌족 르포 2…난민촌의 한국인들

corinalis님의 [버마와 100년 전쟁, 카렌족 난민촌 르포 1] 에 관련된 글.

 

(지난 주말 카렌족 난민촌 르포에 이어 2편을 계속합니다)
이렇듯 우리와는 너무나 먼 나라의 얘기처럼 들리지만 이미 카렌족 난민촌에 9년째 꾸준히 방문하며 끈끈한 우정을 쌓아가는 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치과의료 봉사단이 중심이 된 ‘라파치과봉사단’이지요. 애당초 서울 성북지역에서 치과병원을 개업한 의료인들로 구성된 봉사단은 80년대부터 낙도와 꽃마을 등의 오지를 돌아다니며 봉사활동을 벌여왔는데, 90년대부터 그 범위를 전 세계 오지로 확대시킨 것입니다.
르포 1편 보기 - 버마와 100년 전쟁, 카렌족 르포 1

모임의 회장을 맡고 있는 이형순 치과원장(54)은 “설날만 다가오면 엉덩이가 들썩거린다”고 합니다. 치과팀만 20명(치과 전문의사 9명에, 치기공사 5명 그리고 간호사 6명)에 달하는 대규모 군단이 일주일 정도 시간을 내야 하기 때문에 설 연휴 만큼 좋은 기회가 없다는 설명입니다.

카렌 난민촌으로 벌써 만 9년째 빠짐없이 찾아온 이들은 올해도 역시 2월4일부터 9일까지 5박6일간 이곳 캠프에서 의료봉사활동을 벌였다고 합니다. 규모로만 보면 치과 종합병원 한 동이 전체가 이동했다고 보면 된다. 치과 장비를 이동하기 위해 비행기 한대를 전세 내듯이 와야 했습니다. 이들은 5박6일 동안 매일 100명 이상의 환자를 치료했고, 100명 이상에게 틀니를 제공했으며 언청이 수술과 각종 기초 수술을 포함한 다양한 의료활동을 펼치시더군요.

▼한국인들

상황은 말도 못하게 열악하지요. 먼지가 풀풀 날리는 데서 수술해야 하지만, 예상외로 수술 경과가 깨끗한 병원보다 훨씬 더 좋다고 합니다. 신기한 일이지요.


언청이인 꼬마이군요. 전문용어로 ‘선천성 상구순파열’이란 이 기형은 어디서나 자주 발생하지만 선진국에서는 찾아보기 힘 듭니다. 태아로 있을 때 언청이인 경우 지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수술 기회도 자꾸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6.25를 전후해서 언청이 수술에 대한 사례가 많이 있었다고 한 의사분이 전합니다. 6.25 때 미국의 군의관들이 한국에 와서 엄청나게 많은 언청이 수술을 했다고 합니다. 물론 자의에 의한 것도 있지만 도망가는 아이들을 소 잡듯 로프로 묶어놓고 엄청나게 많은 수술을 했다고 합니다. 그렇게 해서 개발된 시술법이 몇 가지 있다고 하는군요. 슬픈 이야기 입니다.


가장 젊은 선생님은 서울대 치대 구강외과 이지호 선생님(28ㆍ 레지던트)이셨습니다. 젊은 나이에도 벌써 수 차례 해외 봉사활동을 나가셔서 그런지 아주 능숙하게 열악한 환경에 적응하시더군요.


5박 6일 동안 끊임없이 틀니를 만드셨던 치기공 소장님들이십니다. 국내 치과 선생님들이 다양한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는 얘기는 많이 들었지만 실제로 이렇게 직접 모습을 뵈니 사실 너무나 많이 놀랬습니다. 과연 너는 무엇을 하고 있었냐는 반성의 느낌이 절로 나오더군요. 너무 헌신적인 모습에, 과거 “치과의사들 돈 많이 버니까 당연한 것 아냐”하는 편견도 싹 사라지더군요^^

밤에 난민촌 아이들에게 영화를 상영해주는 모습입니다. (삼각대가 없어 난간에 카메라를 걸쳐놓고 4초간 노출을 준 성과물입니다. 아! 카메라는 파나소닉 LC-5 였습니다. 언덕까지 아이들이 빽빽하게 앉아 있었는데 모두를 담지는 못했습니다)

난민촌 아이들은 밖에 나갈 수가 없습니다. 신 문물을 접할 기회도 완전하게 봉쇄된 것이지요. 그래서인지 영화를 상영한다는 말에, 적어도 500명이 넘어 보이는 아이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습니다. 4일간의 상영된 영화는 ‘슈렉1, 2’ 그리고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마지막 날이 동남아를 휩쓴 ‘쓰나미’에 대한 기록 영화였습니다.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광경이었습니다. 이 곳은 한마디로 세상의 끝이라고 불릴 만한 공간입니다. 버마라는 제3세계. 버마는 북한과 함께 가장 폐쇄적이고 비민주적인 나라라고 불리고 있지요. 그것도 버마라는 나라에서 자치권조차 갖지 못한 민족이 태국에 쫓겨와서 난민촌을 꾸린 공간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한 거지요. 이 보다 더한 세상의 끝을 거론하라면, 도대체 아프리카를 제외하고 어디를 들 수 있을지 난감할 정도입니다.

이 땅에 동아시아의 끝에 자리한 한국인 선교사들과 치과 봉사 단원들이 들어와 있고, 그리고 이들이 틀어주는 영화는 헐리우드에서 만든 최신의 가족오락 영화라는 사실입니다. 슈렉을 함께 보면서 아이들이 어떤 영감을 얻었을지는 모르겠지만, 후일 버마족에 대항하는 전사로 키워질지도 모르는 아이들의 운명에 대해서, 이들에게 도대체 어떤 꿈을 심어줘야 할지 누구도 확언하라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쯤에서 ‘닥터 사이먼’ 이라 불리는 이 난민촌의 지도자를 소개해야 할 것 같습니다. 카렌 난민을 이끄는 정치적인 지도자는 적지 않지만 정신적 지도자는 바로 ‘사이먼 목사’ 하나 뿐입니다. 신학박사 출신으로 일찍 근대화한 카렌족이었기 때문에 안락한 인생을 택할 수도 있겠지만, 20년 전 버마 군부의 카렌족 탄압을 지켜본 후로는 스스로 난민이 되기를 결심하고 이곳에 정착했습니다.


멜라 캠프에서만 16년을 살아온 그는 자신의 가족들과 함께 적잖은 고생을 겪었지만 전 세계로부터 소수민족의 인권을 지키는 성직자의 표상으로 부각했습니다. 그는 미국 침례회가 수여하는 제2회 인권상 수상자이지요. 제1회 수상자는 노벨상 수상자인 투투 남아프리카 성공회 주교였다고 하네요.

그는 맬라라 캠프 안에는 과투레이 신학교 운영하면서 미래에 카렌족을 이끌 지식인을 양성하는데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때문에 사이먼 목사와 신학교를 찾아 끊임없이 카렌족 젊은이들이 이 곳에 모여들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10명의 교사와 1백여명의 학생이 4년 과정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버마가 민주화 되는 날 카렌족은 다시 자신들의 땅인 버마로 돌아갈 것이라고 말하는 그는, 연신 한국인들의 봉사활동에 대해 최대한의 감사의 표현을 한국민들에게 전달했습니다.

“생활에 제약이 많은 난민들이기 때문에 한국 치과의사들의 방문을 너무나 고맙고 행복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만약 한국인 당신들의 마음에 사랑이 없다면 이런 일을 계속 할 리가 없었을 것이다. 우리의 우정은 영원할 것이고 카렌족은 한국인들처럼 꼭 역경을 극복해 내겠다.”
사이먼 목사는 ‘버마의 민주주의’를 이야기 하면서 88.8.8운동을 거론했습니다.

자 이제 이야기가 끝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이들 카렌족들의 미래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과거에 이들이 전혀 기회가 아주 없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아웅산 수지 여사를 기억하지요?

아웅산 수지 여사입니다. 88년 ‘버마 랭군의 봄’의 주역으로 버마 민주주의의 상징이지요. 노벨상을 수상한 인물인 만큼 이미 국제적인 인물이지만 가택연금을 반복해 가면서 어느새 버마 군부와 싸워온 시간만 20년이 흘렀네요. 국제적인 관심이 얼마나 지속되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버마의 군부 독재에 대해서는 독자님들이 더 잘 아시리라 생각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줄이도록 하겠습니다.(1990년 버마 총선에서 82%나 넘는 득표율로 압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정권이양을 거부하는 버마 군부에 의해 끊임없이 탄압 받고 있습니다. 버마식 사회주의가 실패한 버마는 네윈 장군이란 분이 일당 독재를 해왔는데, 아웅산 수지 여사가 이끄는 민주화 세력에 일단 네윈 장군이 실각하기에 이릅니다.  88.8.8 이란 버마 민중의 저항이 본격화 된 날로 이날을 중심으로 사망한 버마 시민들이 1천명을 넘는다고 하네요)

▼전쟁의 상처
  
전쟁의 상처입니다. 국경지대를 넘어오면서, 발생한 지뢰 피해자들이 치료소에서 보호를 받고 있었습니다.


결국은 카렌족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종교 갈등과, 민족 갈등과, 게다가 민주주의 문제가 풀려야 합니다. 사이먼 박사의 말대로, 버마에 민주주의가 회복되는 날 카렌족이 버마로 다시 되돌아 갈 수 있을지 의문이지만, 민족 문제가 풀리는 첫번째 지름길이 되겠지요.

우리 역시, 이념 문제와 지역갈등 문제 그리고 민주주의 문제를 고단하게 겪어 왔습니다. 때문에 이들 동남아시아의 현실이 남의 일 같이 않고 애틋하게 다가올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야기를 꺼낸 김에 두 가지 이야기를 첨부하고자 합니다. 이른바 뱀발이지요^^

매솟 지역구에 출마한 타이락타이 당 후보화 함께 포즈를 취한(?) 태국의 탁신총리(왼쪽).
민주주의 여망이 강해서 그런지 매솟에서는 야당인 민주당 후보가 당선됐습니다.


태국에 자리하고 있는 난민촌이니, 태국에 대해서도 잠시 언급하고 넘어가야 옳는 수순 같습니다. 제가 태국을 방문했던 2월 6일은 태국의 총 선거가 있던 날이었습니다.
태국이란 나라에 대해 여러분이 어떤 인상을 갖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동남아시아의 최강국이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실제로 태국의 수도 방콕은 실질적인 동남아의 중심도시 역할을 하고 있었고, 특히 태국의 바트화가 갖고 있는 파워는 상당해 보였습니다. 나라 이름부터 태국(泰國), 큰 나라 아닙니까.

그런 최근의 태국의 정치에 대해서 설명을 잠깐 한다면, 수십 번의 쿠테타를 거치면서도 차근차근 진행해 왔던 태국의 민주주의가 약간 정체한 느낌입니다. 현재 태국 수상은 ‘탁신’이란 분입니다. 아주 논쟁적인 지도자이지요. 제2의 마하티르 라는 호평이 있는가 하면, 필연적으로 파쇼, 포퓰리즘 이라는 비판이 뒤따르고 있습니다.

그가 첨예한 논쟁의 중심에 선 까닭은 태국고위 경찰 출신으로, 이후 통신과 석유업체를 거느린 태국 최대의 재벌로 부각한 인물이기 때문이지요. 이른바 정경유착의 중심에 있는 인물입니다. 그러나 특유의 정치력으로 중산층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태국 역사상 가장 강력한 여당을 이끌고 있는 현역 정치인입니다.

이번에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서 탁신이 이끌고 있는 ‘태국을 사랑하는 당(TRTㆍ일명: 나의사랑 태국당)은 전체 500석 가운데 375석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1932년 입헌군주제 도입 이후 최초의 단독정부라고 하는군요) 그 이유에 대해서는 2001년 집권이후 눈에 띄는 경제성장을 이끌고, 강력하게 마약을 퇴치한 공로를 드는 이들이 많습니다. 물론 남부 무슬림들과의 갈등과 소수 민족들과의 눈에 보이는 대치 국면도 있지만 중산층 이상 태국인들의 탁신에 대한 지지는 압도적입니다.  

그의 포퓰리즘은, 얼마 전 그가 잉글랜드 프로축구 명문클럽 리버풀의 지분을 곧 인수한 뒤  태국 축구팬들에게 그 주식을 나눠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대단한 포퓰리스트이지요. 반대로, 마약 퇴치를 위한다고 2000명이나 되는 시민들을 사법적 절차 없이 사형시킨 것으로도 유명해졌습니다.

그 덕인지 정말 태국에서 마약이 싹 사라졌습니다. 이쯤 되면 극우적인 정치인으로 불러도 될 것 같은데, 태국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왜 인기를 끄는 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정말 논쟁적인 인물입니다. 관심을 갖고 좀 지켜 보시죠.

한 사람 더 있습니다. 제가 이곳에 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준 사람이지요.
바로 카렌족을 중심 주제로 연구를 하고 있는 ‘이상국 박사님’ 과의 짧은 인연 때문이지요. 이 박사님은 서울대 인류학과 졸업 이후 싱가포르 국립대학에서 동남아시아 지역학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젊은 학자입니다.
앞에서도 느끼셨겠지만, 소수민족 하나 연구하기 위해서도 버마의 정치 경제적인 상황, 그리고 태국, 주변국인 중국과 강대국인 영국 또한 인근 공산주의와 기독교의 역사까지 충분한 연구가 이뤄져야 합니다.

태국어에 능통한 이 박사님은 5년 전에는 이곳 난민촌에서 3개월간 숙식을 하며 카렌어를 마스터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단순한 여행지로의 동남아시아가 아닌 우리 현실 정치에 영향을 끼치는 동남아시아에 대해서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고 당부하더군요.
지나가는 말로 “우리나라가 너무나 협소하게 동북아 중심으로 아시아를 이해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아쉽다”고 말하더군요. 저 역시 짧은 여행 속에서도, 우리가 어째서 이 땅과 사람들을 주목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알게 모르게 우리의 학자들이 세계 곳곳에서 이렇게 연구성과를 진행시킨다는 것도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우리도 서서히 선진국이 돼 가고 있는 것이지요) 수입도 충분하지 않고, 미래에 대한 보상도 확실하지 않은 것은 물론입니다만 아주 즐겁게 태국과 싱가포르를 오가며 어느새 5년째 타지 생활을 감내하고 있었습니다.(혹시 궁금한 사항은, 제가 아닌 이상국 박사 메일인 josephlee811@hotmail.com 로 문의하셔도 좋겠습니다. 짧게 방문한 기자의 견문은 사실 전문가의 식견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헤어짐을 아쉬워 하는 카렌족 꼬마들


이 밖에도 이 같은 분쟁 지역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우리와의 네트워크를 넓혀주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우선 알게 모르게 촘촘하게 진출해 있는 선교사님들이 계시고, 물건을 팔기 위한 기업이 있습니다. 또한 전세계 대표적 분쟁지역 사명감을 갖고 오다니는 기자분들도 계시지요. 특히 이 지역에 대해서 좀 더 알기 위해서는 한겨레 21의 정문태 기자의 글을 읽어 보는 게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정기자님은 버마의 민주화 운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 국내 유일의 언론인입니다. 정기나님이 분쟁지역 전문기자의 길로 들어서게 된 결정적 사건은 1988년 ‘랑군의 봄’이었다. “버마 민주항쟁 이후 1만 여명의 버마 학생들이 타이 국경에 쫓겨가 있었던 때였지요. 그곳에서 버마학생민주전선 혁명가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을 통해 다양한 민족해방 혁명가들을 만나면서 자연스럽게 분쟁 지역을 취재하는 종군기자의 길로 들어서게 됐습니다.”)

기타 웹사이트를 방문해 보는 일도 있겠군요.
www.freeburma.org 가장 대표적인 버마민주화 운동 사이트 입니다.
www.dassk.com 아웅산 수지 여사 홈페이지 도 있군요
www.unhcr.ch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입니다.

짧지 않은 글이 끝났습니다. 읽으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그리고 감사드립니다.  

@ 왜 미얀마가 아니고 버마인지를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미얀마는 국명은 버마 군사정부가 일방적으로 나라 이름을 개명한 것이라는군요. 그래서 버마의 민주주의를 바라는 이들은 미얀마로 부르지 않는다고 합니다.
군사정부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소수민족이 미얀마로 부르지 않는 것이 지당했기 때문에 계속 버마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그런데 버마라는 표현보다는 미얀마란 표현이 민족 탕평책의 의지라고도 합니다. ^^ 많이 헛갈리지만…좀 더 연구해 보지요.

도깨비 뉴스 리포터 = 호자이 Hojai@dkbnews.com









http://blog.naver.com/dabanggu?Redirect=Log&logNo=10001081822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버마와 100년 전쟁, 카렌족 난민촌 르포 1

버마와 100년 전쟁, 카렌족 난민촌 르포 1

갑자기 추워진 날씨가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만들었습니다. 잠시나마 따뜻한 남쪽 나라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만일 ‘버마의 카렌족(Karen)’이란 표현이 친숙하게 다가온다면, 당신은 아마 다음 세가지 부류 가운데 한 사람일 가능성이 큽니다. 첫째,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서 선교활동에 관심이 많은 분. 둘째, 태국 북부의 명소 ‘치앙마이’에 오랜 기간 여행한 분. 마지막으로 전세계의 민주화 운동, 혹은 소수민족에 높은 관심을 가진 분이겠지요.

이제껏 이것저것 주어들은 것이 적지 않다고 자부해왔지만, 부끄럽게도 이번 설 연휴 직전까지는 ‘버마의 카렌족’에 대해서 완벽하게 백지 상태나 다름없었습니다. 스스로 버마나 태국은커녕 동남아 여행조차 제대로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위안 삼아 봅니다.(아~! 제가 왜 정식 국호인 ‘미얀마(Myanmar)’가 아닌 ‘버마(Burma)’란 표현을 쓰는지에 대해서는 잠시 뒤에 설명 드리겠습니다)

대개는 ‘카렌족 난민(Karen Refugee)’이란 표현으로, 비교적 우울한 어휘(난민)가 함께 쓰이는 이 소수민족에 대해서, 저처럼 처음 접한다는 분이 태반이라는 전제를 깔고 짤막한 여행기를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찾아보니…카렌족이란?

▼ 카렌족 난민촌을 향해서

태국 여행을 해보신 분이라면 쉽게 감을 잡으시리라 생각합니다. 짧게 요약하자면, 태국 북부터미널에서 약 7시간(2등 버스)을 달려가니 버마국경과 인접한 매솟(Mae Sot) 이라는 조그만 국경마을이 나옵니다. 다시 그 도시에서 버마 국경을 향해 1시간 정도 달려가면 태국 내 최대(약 5만 이상)의 난민촌이라 불리는 ‘맬라(Mae La) 캠프’에 도달하게 됩니다. (실제로 태국 군인들이 삼엄하게 감시하고 있기 때문에 난민촌 안으로 들어가는 것은 간단치 않다고 합니다. 그러나 20여 개나 되는 국제 NGO들이 난민들의 생활에 도움을 주는 활동을 펴고 있기 때문에, 사전에 적절한 협의를 거치면 그리 어렵지는 않으리라 봅니다)

난민촌?! 사실 듣기만 해도 끔찍한 표현입니다. 나라를 잃거나 군사정부의 폭정 혹은 민족갈등을 피해 딴 나라에 얹혀 살아야 하는 피난민의 이미지가 떠오르기 때문입니다. 코소보나 소말리아 난민, 혹은 북한 난민의 처지가 떠오르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태국의 국회의원 선거가 2월 7일, 흥분감과 긴장감을 가슴에 품고 난민촌을 향해 달려갔습니다.



버마 국경에 가까워졌다는 순간, 갑자기 도로변에 난민촌이 등장했습니다. 어랍쇼?
어디가 난민촌이냐구요? 조금 더 집중해서 보면 매직 아이처럼 떠오르게 됩니다. (저쪽 높은 산 너머가 버마 국경 쪽이군요)





2번의 검문소를 지나, 태국 정부가 관리하는 대문을 살짝 열고 들어가면 카렌족 난민촌인 맬라 캠프가 눈 앞에 펼쳐지기 시작합니다.(아, 이문을 넘어가는 순간 시간은 30분 늦게 흐르기 시작합니다. 비록 태국 땅이라 할지라도 버마 시간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돌아가고 싶다는 또 다른 표현이겠지요.)





자. 이제는 집의 형태가 갖춰졌지요. 저 멀리 정글에 숨어 오밀조밀 모여있는 난민촌의 모습들이 조금씩 가까워 지기 시작합니다.





혹자는 “정말 평화로운 광경이구나”하는 생각을 하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저 역시 첫인상에 비쳐진 우리 옛 시골과 비슷한 정감 넘치는 풍경에 적잖이 놀랬습니다. ‘난민촌’이라는 단어에는 부정적인 느낌이 강하게 묻어나오는데, 실제 무슨 안락한 산촌 마을에 온 것처럼 느껴지는군요.(물론 이는 이방인이 느낀 편견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뒤늦게 깨닫게 됐습니다)





맬라 캠프의 중심을 이루는 광장의 풍경입니다. 유달리 어린아이들이 많이 보이죠. 바로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인근에 있기 때문입니다. 역시 평화로운 모습이군요. 이곳에 살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좀 살펴볼까요?





  
우리나라 아이들이라고 주장해도 믿을 분이 많이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이들은 몽고족 혹은 티벳족 계통일 거라고 추측됩니다. 태국 북부지방 혹은 버마 북부지방의 고산족들은 중국 쪽에서 남하한 민족이라고 추정되기 때문에 남아시아 인종과는 뚜렷하게 구분되고, 오히려 우리와 더 가까운 정감을 느끼게 됩니다.
(고구려 민족의 후예라고 알려진 라후(La hu)족도 태국 북부 지방에 있습니다.)




  
교회에서 만난 이 어린이는 유달리 더 한국사람과 닮아 있군요.(약간 이마가 튀어나오고 콧대가 움푹 패어 있는 게 이들 민족의 특색입니다) 실제로 이들에게 몽고반점이 있다는 의사선생님의 증언(?)도 있기도 합니다.



놀랍게도, 최대 500만에서 700만까지 추산되는 카렌족은 전체 인구의 25~30%가 기독교 인이라고 합니다. 물론 19세기 영국의 지배와 서구 선교사들의 활동이 결정적인 이유가 됐을 법도 하지만, 이들은 스스로가 기독교를 받아들인 몇 안 되는 민족이라고 자부심이 대단합니다. (역으로 생각해 보면 70%가 불교도라는 설명도 가능합니다)

혹자는 이들이 놀라운 신화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황금의 책’이란 신화이지요. 카렌족 신화에 따르면 자신들이 고생하는 이유가 아주 오랜 과거에 하늘이 주신 귀중한 책을 잊어버렸기 때문인데, 하얀 피부를 가진 형제가 그 책을 갖고 오면 구원 받으리라는 신화입니다.(신화 속에 책이 있다는 사실도 놀랍지만, 실제 이 신화 때문에 하얀 영국인들이 가져온 성경을 환대했다는 사실도 놀랍습니다. 멕시코 께짤꼬아들 신화와 유사성도 엿보입니다.)  

카렌족은 스스로 기독교를 받아들였다는 자부심도 대단합니다. 현재 카렌의 정부 역할을 하는 KUN(카렌국민엽합)의 지도부들 역시 대부분이 기독교 인들이고, 일부 카렌족 불교인들이 같은 불교 국가인 버마정부에 협력하고 있다는 점도 그런 이유를 부추기고 있습니다.(정말 일부랍니다) 특히 난민촌에 기독교 비율이 높습니다. 불교 국가인 버마와 달리 태국 내에 자리잡고 있는 난민촌의 경우 서구 NGO를 통해 외부문물을 보다 더욱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제시대 우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국에서 신학대학을 나오신 종교지도자들이 독립지도자로 활약하는 비율도 더 높습니다. 독립운동 혹은 민주화 운동을 위해서는 근대화 정신이 필요하다는 논리와 비슷합니다.

좀 더 카렌족 아이들을 만나볼까요?


잉크를 가지고 장난치는 아이들의 표정이 너무나 천진난만 합니다. 별 다른 표현이 떠오르지 않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쯤 되는 아이들이, 구슬치기를 하고 있습니다. 구멍을 6개를 파서, 구멍을 오가며 상대편의 구슬을 따먹는 게임. 어릴 적 제 동네에서는 ‘알롱’ 이라고 했는데(워낙 지방 마다 이름이 달라서…^^), 꼭 그 모습과 같더군요. 아이들의 문화는 오랫동안 지속되기 때문에 굉장하게 유사한 동질감 같은 것을 느꼈습니다.  





구멍 파고 구슬치기 놀이하는 모습이 보이시죠?





그러고 보니 아이들이 지나치게 많군요. 아무래도 난민촌이다 보니까 아이들과 노인들이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일찍 결혼하는 풍습때문인지 한 가구 당 대개 8명에 달하는 자녀들을 갖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아이들은 부모 없이도 형제끼리 잡초처럼 자라고 있었습니다. 좀 더 정확한 이유를 대자면 쓸만한 청ㆍ장년층 남자 어른들은 버마 땅에서 독립 전쟁을 치르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내전의 여파 때문인지 결손 가정 아이들이 유달리 많았습니다.


<사진 이지호>




▼  왜 난민이 됐을까

자 이제 왜 이들이 난민촌을 형성하고 살아야 했는지에 대해서 짧게나마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왜 버마에 살고 있던 카렌족은 이웃나라 태국으로 밀려오게 됐을까요.



한 젊은이의 사진입니다. 이 사진을 갖고 계시던 한 여인은 “내 아들인데 오래 전에 죽었다”고 말씀하시더군요. 이른바 전 세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내전인 버마족과 카렌족의 내전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버마라는 나라는 다수 민족인 버마족과 무려 130여 개에 달하는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대표적인 소수 민족이라면 중국 국경 지방의 샨족(한때 쿤사라는 ‘마약왕’의 집단으로 더 유명했습니다) 그리고 태국 국경과 이라와디강의 황금 삼각주 지방에 분포한 카렌족, 카친족 등이 있습니다.
최대의 민족이라면 역시 카렌족이지요. 버마 정부는 유엔의 눈치가 있다 보니 약 220만 정도로 추산하지만, 실제로 500만 이상이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박해 받는 민족이다 보니 제대로 된 통계조차 불가능합니다.

버마 내의 다른 소수 민족들 역시 2차 대전 종전과 함께 독립할 꿈을 가졌지만 실제 실행에 옮긴 민족은 카렌족이 유일합니다. 벌써 1949년에 벌어진 일이니 55년도 넘었군요. 지금도 전쟁은 계속 되고 있으니 세계 최장기간 내전 기록을 갱신 중에 있습니다.

1949년 당시 카렌족은 자기가 살아온 땅에 툰구(Toungoo)라는 독립국을 선포합니다. 곧장 버마와 치열한 전쟁에 들어갔지요. 일부는 점령되고 점점 땅을 빼앗기더니 결국은 1997년 신의 아들이 이끄는 본거지를 점령당하면서, 버마 동부지역 일부와 태국 쪽으로 좁혀지고 말았습니다. 그 과정에서 벌어진 살육과 강간 등 민족 말살 정책은 이루 헤아리기 어려운 지경입니다.

그래서 맬라 캠프를 비롯한 난민촌들이 80년대 후반과 90년 초반에 대량으로 건설되기에 이릅니다. 버마 정부의 소탕 작전에 맞선 카렌족의 저항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영국의 지원도 있었지만 더 큰 힘이 된 전쟁비용은, 이 지역의 특산물인 ‘티크’ 나무 판매로 충당했다고 합니다. 티크 나무를 팔아서 탱크까지 보유하면서 끊임없이 독립 전쟁을 펼쳐왔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카렌족 사실상의 정부 역할을 하는 카렌국민연합(KNU) 힘이 많이 미약해졌다고 합니다.

현재 태국 국경에는 8개의 카렌족 난민촌이 30만에 가까운 카렌족 난민들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유엔은 적극적으로 나섰지만, 태국 정부로는 줄곧 시큰둥한 반응을 보여왔습니다. 태국도 정치상황이 시끄러웠는데, 딱히 이웃 버마 군부와 관계도 있는데 소수 민족인 카렌족 편을 들어줄 필요가 없습니다. 실상 동남아 모든 나라들이 이 소수민족 정책에 대한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물론 강경정책으로 절대로 독립을 못하게 막는 원칙을 유지해 나가고 있습니다.(태국도 남부의 종교가 다른 무슬림 민족간의 갈등이 심각한 편입니다)

태국정부는 유엔난민협약에도 가입해 있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이미 1990년부터 이곳에서 살기 시작한 난민들에게 돌을 사용해서 집을 짓지 못하게 규제하고 있습니다. 어째서 집들이 하나같이 나무로 이뤄졌는지 감이 잡히시죠?



난민촌 시장의 모습입니다. 미약하게나마 여기도 시장경제가 돌아가고 있네요. 물론 생산은 거의 불가능하고, 자연에서 수집한 수준에서 시작해서, 인근 마을에서 노동해서 모은 돈으로 물건을 사고 파는 수준이지요. 계속 집 모양이 인상적이지요?





이게 바로 티크 나무 잎사귀를 모아 나르는 사람의 모습입니다. 열대지방의 나무다 보니 잎이 굉장히 크고 넓습니다.이 나뭇잎을 하나 하나 엮어서 기왓장을 만드는 거지요. 아무래도 추위가 덜한 지방이다 보니까 나무 만으로도 집을 지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합니다.




  
조그만 상점의 주인이신 한 할아버지. 그는 “나도 젊었을 적에는 버마 군대랑 참 치열하게 싸웠다”는 말씀을 해주십니다.
계속 전쟁 이야기시더군요.



설명을 조금 더 계속해야 합니다. 버마와 카렌이 싸우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가 남아있기 때문이지요. 단순한 민족문제라면 조금이라도 화해할 길이 열리겠지만, 가장 결정적인 부분이 바로 외세의 침략으로 모른 것이 흐트러지고 만 셈입니다.

버마는 인도가 점령된 이후 영국의 동진 정책에 의해 1885년에 인도의 한 주로 영국의 식민지가 됐습니다. 그리고 영국은 효과적인 버마 지배를 위해서 민족 이간질 정책을 씁니다. 분열정책이란 강대국이 작은 나라들을 다스리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정책이기도 하지요. 버마 민족을 탄압하면서 동시에 카렌족을 1등 시민으로 부각시킨 것이지요. 이렇게 되면 버마족의 분노는 영국에서 카렌족으로 옮겨지게 됩니다. 물론 카렌족이 영국과 친해진 이유는 재빨리 기독교로 개종한 이유도 있을테고 정복왕조인 버마 민족에 대한 악감정도 작용했겠지요.

또 다른 변수는 일본이었습니다. 2차 대전을 기화로 일본군이 잽싸게 동남아시아의 점령자로 부각되자 버마족은 이틈을 타서 일본군과 한편이 되서 ‘영국-카렌’ 연합군과 대립전선을 형성하게 됩니다. 결국 일본군이 버마를 완전 점령하게 되자(콰이강의 다리를 기억하시지요?) 버마족은 카렌족의 교회를 불태우고 수많은 카렌족을 학살하는 대한 피의 보복을 벌이게 됩니다.

그 때부터 시작된 전쟁의 상흔은 55년 동안 진행중입니다. 맬라 캠프만 해도 건설된 지 16년이 지났지만 90년대 말까지도 이곳 태국에 있는 난민촌까지도 버마군에 의해 공격을 받아 왔다고 합니다. 여러 난민촌이 전소되고 주요 인사들의 암살도 계속되자 카렌족 정치 지도자들은 이곳 난민촌을 떠나 모처에 은신 중이라고 합니다.

때문에 사진에서 본 난민촌들이 산 바로 밑에 은거해 있는지 아셔야 합니다. 바로 산 너머 버마 국경에서 날아오는 포탄을 피하기 위해서 랍니다. 이 곳 맬라 난민촌 역시 깎아지르는 듯한 산 아래 있기 때문에 버마군대의 포탄에서 약간이나마 안전하다고 합니다.



새벽의 난민촌 시장 광경입니다.





▼  신학교

  
여기에 자리한 신학교이지요. 서구 사회와 기독교의 연관성 때문에 많은 NGO들의 관심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미 너무 많은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요즘에는 약간 그 관심이 줄었다고 합니다.


  

한 신학생의 기숙사를 잠깐 훔쳐봤습니다. 아무래도 열대성 기후이기 때문에 어떻게 살아 가고 있는지 한 눈에 들어오리라 생각합니다. 프라빗(Provit)이라는 이 스무 살 청년은 영어에 익숙하더군요.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궁금함으로 가득 차 있어 보였습니다.  

  
카렌족 교회 내부 살짝 살펴보시지요.


  

다음주 주말 2부가 계속 됩니다.

도깨비 뉴스 리포터 호자이 Hojai@dkbnews.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quot;버마를 '겁 많은 한국'처럼 만들고 싶지 않아요&quot;

"버마를 '겁 많은 한국'처럼 만들고 싶지 않아요"

[아시아 인권 투어] <11> 한국은 '한국 밖'을 모른다

 

'8888'. 한번 들으면 좀처럼 잊혀지지 않을 듯한 이 숫자는 역사 속의 한 날을 뜻한다. 1988년 8월 8일. 이 날은 버마인들이 신군부에 맞선 '버마민중항쟁의 날'이었다.
  
  경기도 부천에 있는 세 평 남짓한 작은 사무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8월 한국에서 '8888 항쟁'의 기념행사를 준비하는 이들의 손길이 바쁘다. 바로 버마의 아웅산 수치가 이끄는 정당 민족민주동맹(NLD: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의 한국지부다.
  
  이 곳에서는 현재 22명의 당원이 활동 중이며 그 중 6명은 한국에서 난민 지위를 인정받았다. 한국에서 10년 째 살고 있는 샤린 씨가 바로 현재 NLD 한국지부에서 활동 중인 '정치적 난민' 중의 한 사람이다.
  
  <프레시안>은 지난 5월부터 연재한 '아시아 인권 투어'의 마지막 순서로 한국에서 난민으로 체류 중인 버마인들을 만났다.
  
  (신군부와 이들이 바꾼 국호 '미얀마'를 인정하지 않는 민주화운동가들의 뜻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이 글에서는 미얀마 대신 '버마'로 표기한다.)
  
  "해외에서 버마를 어떻게 도울지 고민했죠"
  

▲ 한국에서 10년 째 체류 중인 샤린 씨. 그의 뒤에는 버마 국기가 걸려 있다. ⓒ프레시안

  샤린 씨는 96년 한국에 올 당시 대학생이었다. 신군부는 96년에 집회, 시위를 이유로 전국의 대학을 일방적으로 폐쇄해버린 상태였다. 그는 '일단 해외로 나가고 보자'라는 심정이었다. 한국을 택한 것은 특별한 이유가 있어서라기 보다 '물가가 좀 더 저렴해서였다'고 한다.
  
  "한국에 온 뒤부터 온갖 공장에서 일했죠. 주로 가구 공장, 프레스 기계 공장, 도금 공장 같은 데서 일했어요."
  
  여느 외국인 노동자와 다를 바 없이 살던 그는 1998년 다른 버마인들과 함께 '해외에서 우리가 버마 국민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하자'는 뜻을 굳히고 NLD 한국지부를 만들었다. 현재 NLD는 태국에 본부가 있으며 뉴질랜드, 일본, 미국 등에도 지부가 있다.
  
  한국지부 당원들의 의지는 투철했지만 활동을 지속하는 과정이 쉬울 리 없었다.
  
  "우리 중에는 버마에서 민주화운동을 한 사람도 있고, 한국에서 처음 운동을 시작한 사람도 있습니다. 처음엔 40명 정도가 모였는데 막상 해보니 어렵고 하니까 많이 떠나서 6명만 남았을 때도 있어요. 그러다 다시 사람들이 찾아오고…. 지금은 20명 정도가 활동하고 있어요.
  
  부천에 버마인은 약 300명 정도 살고 있지만 NLD 활동에는 겁내는 사람이 꽤 많아요. 다시 버마로 돌아갔을 때 신군부가 민주화운동 했다고 보복을 할까봐 두려운거죠."
  
  대부분 당원들이 부천 등지의 공장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로 살아가기 때문에 스스로 당 활동을 꾸려나가는 일 자체가 만만치 않아 보였다.
  
  "당원들은 한달에 15만 원씩 회비를 내요. 그 돈으로 사무실 운영도 하고, 태국 난민촌에 있는 어린이들 교육도 지원합니다."
  
  "버마의 민주화보다 가스 개발에 더 관심있는 한국"
  
▲ NLD 태국 본부에서 보낸 소포가 도착했다. 당원들이 민주화 항쟁에 대한 책과 선전물을 확인하고 있다. ⓒ프레시안

  현재 버마는 88년 이후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이다. 오히려 신군부의 탄압은 그 강도가 높아졌다.
  
  1990년 총선에서 압승을 거둔 NLD는 특히 탄압의 대상이다. 아웅산 수치의 가택연금을 비롯해 약 1200명 이상의 양심수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88년 신군부 집권 이래로 지금까지 대학은 폐쇄 상태가 반복되고 있고, 또 세 집마다 감시원이 존재하는 3호 담당제가 존재한다. 인터넷, 팩스 등을 통한 해외와의 정보교류는 완전히 차단돼 있다.
  
  소수종족들에게 행해지는 '초토화작전'은 매년 수백 명의 희생자를 낳고 있으며 현재 태국과 버마-태국 국경 근처의 난민캠프에 있는 난민들은 최대 100만 명으로 추정된다.
  
  샤린 씨는 "버마 국내에 사는 이들은 해외와 차단돼 있다"며 "한국에 있는 우리가 운동을 지속하는 이유는 버마의 정치, 경제, 사회 상황을 전세계에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 그 당위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현재 이들은 버마의 상황을 알리기 위해 2004년부터 서울 여의도의 국회의사당 앞에서 매주 목요일 1인 시위를 진행 중이고, 한국의 시민단체들과 함께 캠페인도 벌이고 있다.
  
  "해외에서 캠페인하는 것이 버마에 어떤 도움을 주냐고요? 사실 저도 잘 모르겠어요. 한국의 국회의원들은 만나면 '도와주겠다'고 하고서 아무 일도 안 하더라고요. 오히려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버마 가스개발에 투자하기 바쁘죠. 모두 자기에게 이익이 돌아오지 않으면 행동에 나서지 않아요. 미국이 이라크를 왜 공격했나요? 석유를 위한 것 아니었나요? 한국이 버마에 투자하는 이유는? 당연히 그쪽이 더 이익이 되니까요. 다른 나라의 민주화보다 더 중요한 건 자신들의 '이익'이예요."
  
  "한국에서 난민 인정받아도 별 차이 없더라구요"
  
▲ 사무실 앞에 앉아 있는 NLD 한국지부 회장 아웅 민 스위 씨. 며칠 전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한 회사에 전화했지만 '난민 같은 거 모른다'며 거절당했다. ⓒ프레시안


  샤린 씨는 2004년 1월 '정치적 난민' 지위를 인정받았다.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자국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그가 한국에 체류할 수 있는 법적 자격을 획득한 것이다. 어렵게 받은 난민 지위지만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데는 이전에 비해 큰 차이점이 없다고 얘기한다.
  
  바로 며칠 전의 일이었다. 역시 난민 지위를 인정받은 NLD 한국지부의 회장 아웅 민 스위 씨는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한 회사에 전화했다.
  
  "외국인이예요?"
  "네. 그런데 불법 아니예요."
  "한국 여자랑 결혼했어요?"
  "아니요. 난민 인정 받았어요."
  "난민? 그런 거 몰라요. 다른 데 알아봐요."
  
  이제 머리가 희끗한 아웅 민 스위 씨는 취직하려면 일단 결혼부터 해야겠으니 어디 참한 여자 없냐며 쓴웃음을 지었다고 한다.
  
  "저기 저 커피잔 있잖아요. 저걸 사려고 가게에 들어갔는데 가게 주인이 '이 컵 너무 예쁘지? 너희 나라엔 이런 거 없지?'라고 하더라고요. 식당에 들어가면 '너희 나라엔 쌀 없지?'라고 물어요. 그런 말에 이제는 '네, 우리 나라엔 쌀 없어서 물 마시고 살아요'라고 대꾸하죠."
  
  처음에는 화가 나서 그런 사람들과 싸우기도 했다는 샤린 씨는 담담히 덧붙인다. "전 그런 한국 사람들 이제 이해해요. 한국 밖에 있는 세상을 잘 모르니까 그러는 거예요."
  
  "버마를 '겁많은 한국'처럼 만들고 싶지 않아요"
  
  샤린 씨의 눈에는 한국이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게 없다고 한다.
  
  "한국은 '겁이 많은 나라'예요. 북한도 무섭고, 미국도 무섭고, 중국도 무섭고…. 난 버마가 민주화된다면 이런 식으로 나라를 만들지 않을 거예요."
  
  계속 한국에서 살 거냐는 질문에 그는 고개를 가로 젓는다.
  
  "기회만 되면 버마로 돌아가고 싶지만 그러진 못하고…. 일단 앞으로 더 공부하고 싶어요.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했는데 이제 정치나 국제 관계를 배워보고 싶어요. 공부는 한국보다 여건이 좋은 호주나 뉴질랜드에서 하고 싶고요."
  
  인터뷰가 끝나고 그와 작별한 뒤 갑자기 머릿속이 혼란스러워졌다. 군부 독재에 맞서 민주화를 이룬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과 피부색과 인종이라는 잣대로 외국인을 판단할 뿐 '한국 밖'의 상황에 무감한 한국, 그 두 가지 모습 가운데 어느 것이 진짜 우리의 모습일까?
  
  NLD 한국지부는 '8888 민중항쟁'을 기념하기 위해 참여연대, 국제민주연대 등의 시민단체들과 함께 6일 오후 명동성당 앞에서 사진전을 개최할 계획이며 8일에는 미얀마 대사관 앞에서 항의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강이현/기자

www.pressian.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Salween watch

corinalis님의 [[아시아민중의 인권현장] 버마인들의 토지에 대한 권리] 에 관련된 글.

 



THREATENED PEOPLES, THREATENED RIVER

 

The Salween River, one of the great rivers of Southeast Asia, is under threat. The governments of the Salween countries; Burma, Thailand and China have been pushing forward with plans to dam this still free-flowing river. It is planned to both exploit the hydropower potential of the entire river basin, as well as to divert water to Thailand. A series of large dams along the course of the river, in southern China and the eastern states of Burma are being considered.

The dams will have major impact on the local ethnic people, who will suffer displacement and dispossession. In Burma, these people have already been suffering from many decades of brutal conflict that has decimated their populations. Preparations for the dam construction, including securing the dam sites and clearing the flood areas, have already cause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massive population displacement (maps), although this has been concealed by the context of the ongoing civil war.

The development plans were made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recommendations made by the World Commission on Dams. This reality together with the many negative impacts of large dams, make the projects unacceptable. In Burma the dams will be used by the military dictatorship for further oppression of its people. In order to bring an immediate halt to the Salween dam plans, urgent action is needed.


Salween Dams - Critical Reasons to Oppose:

  • Civil War is raging in the area around the dam sites and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have been displaced at gunpoint
  • Dams are being used as a military strategy against the ethnic peoples of Burma
  • Torture, rape, and killings of villagers are continuing as more soldiers are being deployed and more landmines laid
  • Dams will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the military junta
  • Massive corruption is inevitable given the complete lack of transparency
  • The dams will permanently degrade Southeast Asia’s longest free flowing river’s fisheries, floodplains, teak forests and wildlife habitats, and flood villages and fertile agricultural land

  

The dams on the Salween River in Burma are extremely controversial, due to the ongoing civil war against the ethnic people in the areas where the dams are planned, and the continuing rule of a military junta, the State Peace and Development Council (SPDC), that denies the most basic rights to the entire population. The dam plans are seen by many as being one of the strategies used by the military regime to gain foreign support and funding for its ongoing war effort. It is also viewed as a strategy to increase and maintain its control over areas of ethnic land after many decades of brutal conflict.

 

Thailand which has already exploited most of its natural resources and faces environmental destruction due to large dam projects and commercial logging, has been looking to neighbouring countries to meet its energy wants. The government shows little concern about exporting the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while importing only electricity.

Thailand is already paying US$600 million a year to the SPDC and the multinational oil companies that invested in the Yadana gas pipeline from Burmese offshore gas fields ( see ERI Website ). The revenue from the gas sale is the major source of income for the regime. This money is used directly for military purchases and the expansion of armed forces, which is currently under sanctions from most Western nations. The Salween dams would be by far the biggest investment in Burma. Building even one of the dams would bring in a minimum of 5 billion investment dollars into the country. Although the country faces a major energy crisis, the Salween dams, like the gas pipeline, are not designed to supply electricity throughout Burma but almost exclusively for export.

 

The SPDC is trying to maintain an illusion of peace following a long process of pressuring and persuading some of the many armed opposition groups to join them in ceasefire agreements. However, the areas where the dams are to be built are precisely where the conflict remains most intense. Despite claims that peace rules in Burma's ethnic states, the number of refugees flowing into Thailand has not decreased, and the Thai government is not allowing new arrivals to register for refugee assistance with the UNHCR. Since the Thai government aims to rebuild ties with the SPDC, it is keen to repatriate the over 140,000 refugees in border camps. The SPDC would like to see the refugees returned to their control in order to exert pressure on the armed groups, who have many family members among the refugees. Recent Thai orders for refugees to be moved from areas located near the planned dam areas to sites closer to the border show how the Thai government and the Burmese military regime are collaborating.

 

Thailand's renewed push to construct the Salween dams emerges from a government that is aggressively promoting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energy consumption. The country currently has approximately a 40% oversupply of electricity, however, it is seeking dams and other energy infrastructure projects in neighbouring countries for its long-term expansion plans. This is based on uncertain demand projections, and without regard to sustainability.

The Salween hydropower projects are also being promoted in the context of a regional electricity support network with neighbouring countries, but it will greatly benefit Thailand as an industrial centre. The Greater Mekong Subregional Development Program, a network of governments supported by the Asian Development Bank, is being used to legitimize and raise funds for harmful development plans such as these.

China's plans for development of dams on the Upper Salween River have recently come into the spotlight. There are plans for 13 mainstream dams in China alone ( see China plans 13 megadams on the Salween ). There are concerns that China, which has shown little regard for the huge impacts of its giant hydropower and other development projects, may also support the construction of dams on the Salween in Burma. China is already playing a key role in construction of large dams on other rivers in Burma.

Salween Watch considers the megadam plans on the Salween River to be part of an unsustainable development model that will have serious impacts on people's lives and on the whole environment. The Salween dam projects disregard the well-being and concerns of the local people, and supports an exceptionally oppressive dictatorship in Burma.

 

Livelihood

A temporary stall where fuel is sold to boatmen at the mouth of the Salween, Mon State Distinctively styled dugout canoes remain in common use along the Salween by fishermen, people crossing the river and those tending riverbank cultivation sites.
In a country where many of the main "highways" and roads remain as dirt tracks, large numbers of vehicles are arbitrarily commandeered for military use or are subject to prohibitively expensive registration and fuel costs, river transport is vital - and often the only option. At a market in Central Shan State, local women sell a variety of species caught in the abundant waters of the undimmed river
A moderately sized specimen of an exceptionally delicious fish, shown proudly by its Karen captor Boat transport in the muddy delta, with some of the spectacular limestone (karst) formations the Salween is renowned for in the distance
 
An indigenous elder from Karenni (Kayah) State newly arrived at a refugee camp on the Thai border shows curious neighbours how to prepare a kind of nut he found in the vicinity that they had never seen before – some of the rich biodiversity of the Salween watershed  



Dam Sites

Rocks painted with Japanese characters and a sign with elevation readings bearing the words Dam Left Axis at the site of the proposed Ta Sang dam in Southern Shan State in year 2000 One of the many large sandbanks on the heavily silted but fast flowing Salween, with a view of it's steep gorges beyond
Japanese tunneling technology at work at the Paunglaung Dam site close to the new capital of Nay Pyi Daw, recently completed with Chinese, Burmese and Japanese input. Chinese and Japanese funds, expertise and technology have been sought and or gained for the Salween dams. Surveyors crude markings on rocks at the site of the proposed Wei Gyi dam on the border of Northern Karen State and Thailand



Salween Delta Area


Landscapes of the Salween Delta, with it's floodplains annually blessed with fertility renewing silt brought down and spread by the river and its distinctive karst outcrops Lone fisherman out in the rainy season floodwaters of the delta
Local transport vessels load people and trade goods for journeys between the Mon State capital of Moulmein (Mawlamyine) and the Karen (Kayin) State capital of Hpa-an and beyond Peaceable dawn scenes at the rivers mouth
First class "A-Grade" protected forest on a Salween tributary threatened by the planned Mae Lama Luang dam, which would divert some 2 billion cubic metres of water from the Salween to send into the flood prone Chaophraya River of Thailand Yuam River, looking up from the edge of the refugee camp towards the site of the nearby Mae Lama Luang water diversion dam site.



Relocation of Mae Kong ka camp


Refugees were shifted from Mae Khong Kha Camp to the "A-Grade" forest area along the Yuam river in 2002(??) by the Thaksin government citing the refugees harmful impact on the forest in the Salween National Park, and alleged concern for their safety in the storm and flash-flood prone area. However, expressing concerns about the forest was duplicitous as much of the national park around Mae Khong Kha would be flooded by the dams, and the new refugee camp was in even better quality forest. New refugee huts crowded onto steep and unstable slopes
Good forest cut and burnt to clear space for the refugee camp in an area dangerously close to the border where pro-regime groups in the past have repeatedly attacked and burnt down refugee camps Closely packed huts on the steep slopes of the dry forest, through

 

 

take action! Sign the petition letter http://www.petitiononline.com/9202006/petition.html

 

http://www.salweenwatch.org/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아시아민중의 인권현장] 버마인들의 토지에 대한 권리

[아시아민중의 인권현장]

버마인들의 토지에 대한 권리

군부의 대규모 토지강제징수에 고통 받고 있는 버마 민중들

슈에 묘딴(Shwe Myo Thant)/번역 - 이상희
플레이 레 씨는 2000년 초 태국 북부에 있는 카레니 난민 캠프로 도망나왔다. 버마 군인들은 플레이 레 가족의 유일한 생계수단인 땅을 빼앗고, 플레이 레 씨에게 1주일 중 3일간 빼앗긴 땅에서 군인들을 위하여 농사를 짓도록 강요했다. 그가 선택할 수 있는 거라곤 태국행 뿐이었다.

이는 플레이 레 씨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현재 버마에서 진행되고 있는 군사화와 그에 따른 토지 강제 징수로 고통 받고 있는 소수 민족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버마에서 벌어지고 있는 군사화

1989년 이후 버마 군부는 ‘군사력이 국력을 좌우한다’는 선전 하에 군사력 증강에 총력을 기울였다. 단기간 내에 급속히 진행된 군사화는 군부대와 군사시설의 전국적인 확장을 가지고 왔다. 특히 무장투쟁이 전개되고 있는 소수 민족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1989년 이전에는 카레니 주(*)에 3개의 대대만 주둔했었다. 그런데 현재는 27개의 대대가 주둔해 있다. 16년 사이에 거의 3배 이상의 군사화가 진행되었다. 다른 소수 민족 지역도 비슷한 상황이다. 군부독재 기간 동안 국방비가 GDP의 30%-40%까지 늘어났다. 대부분의 예산이 군사시설의 근대화에 쓰이고 있다.

사진설명버마 국경지역에 있는 매써리 마을의 학교와 아이들. 이 아이들의 부모들은, 버마 군인들의 토지 강제징수와 강제노동을 피해 고향을 떠나 국경지역까지 도망 나왔다. 아이들의 머리속에서는 강제노동을 위해 버마 군인들에게 끌려간 부모들의 모습이 아직도 선명하다.


군사화로 진행된 토지 몰수가 농민들의 생존권을 침해

그러나 부정부패와 비효율적인 시스템으로 버마 군부는 군인들의 월급이나 식량조차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군부는 자력갱생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즉, 각 대대가 필요한 식량이나 기타 운영비를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각 지역의 사령관들은 군인들에게 가축을 사육하고 농사지을 수 있는 땅을 확보하라고 명령한다. 각 대대는 위 명령에 따라 농민들의 땅을 빼앗고 필요한 경우 농민들에게 농사를 지으라고 강제한다.

각 대대는, 다년생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100에이커의 땅과, 채소를 재배하기 위한 10에이커의 땅, 테미날리아 벨레리카(채소 일종)를 재배하기 위한 100에이커의 땅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1000마리의 암탉, 1000마리의 수탉, 10마리의 돼지, 5마리 염소, 10마리의 소, 12개의 연못을 위해 10에이커의 땅을 확보해야 한다. 한 대대를 위해 이만큼 필요하다고 하니, 대대가 늘어날수록 얼마나 많은 농민들의 땅을 빼앗을까.

이러한 군사화가 농민들에게 미칠 영향은 불 보듯 뻔하다. 인구의 약 60%가 소수 민족 지역이나 농촌에 거주하는데, 이들 대부분은 농사, 사냥, 채취, 벌목 등 농지나 산림이 주는 혜택에 의지해 살고 있다.

카레니 주 코이코에 사는 수레 씨는 ‘군대가 내 땅 7에이커를 뺏아 갔다. 그들은 1에이커 당 250짯의 보상금을 지급하였으나 그 돈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하소연했다. 때때로 군인들이 토지 몰수에 대해 보상을 한다고는 하나 터무니 없는 금액을 지불한다. 수레 씨의 경우에도, 몰수 당시 1에이커당 시가가 15,000짯인데, 군부는 250짯만 지불했다. 그 돈으로 다른 경작지를 구입할 수 있겠는가.

더구나, 군인들은 농번기나 수확철 등 농사일로 한창 바쁠 때, 농민들로부터 몰수한 경작지를 위해 주민들에게 강제노동을 시키고 있다.

토지몰수로 인해 전통적인 토지 소유 개념 파괴

아직도 버마 농촌이나 소수 민족 지역에는 근대적 토지 소유권 개념이 아닌 전통적인 토지 제도가 있다. 토지는 자연지역, 마을 공동산림, 전통보호지역, 성지 등으로 나누어져 있고, 독특한 관리, 또는 소유 시스템이 있다. 예를 들면, 카렌이나 카레니의 일부 지역에서는 개인이나 가족이 벌집을 포함한 나무만 소유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소유’는 법률적 개념도 아니고 법률 문서화 되어 있지도 않다. 조상 대대로 내려온 관습일 뿐이다.

지역 주민들은 전통보호지역이나 성지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생각하고 땅을 경외하며 보호한다. 이런 땅에서는 사냥이나 낚시, 벌목 등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버마 군부는 군사화라는 미명하에 토지를 강제몰수 하면서 공동체의 관습과 땅을 파괴하고 있다.

사진설명운동장과 학교, 기숙사, 그리고 몇 채의 집. 이게 매써리 마을의 전부이다.


민중들의 터전을 빼앗는 개발프로젝트

한편, 버마 군부는 인프라 구축이라는 미명하에 민중들의 땅을 빼앗고 강제노동을 시키고 있다. 카레니 개발 연구 그룹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Dammed by Burmese Generals, http://www.salweenwatch.org/pub.php)는 카레니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로피타 수력발전소가 지역 주민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수천 명의 사람들이 이 프로젝트 때문에 고향에서 쫓겨났고 물자원은 사유화 되었다. 더구나 이런 수력발전의 혜택은 버마 중부에 사는 일부 사람들에게 돌아갈 뿐, 지역 주민들과는 무관하다. 더 이상 사람들은 자유롭게 농사를 짓거나 낚시를 하거나 벌목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소박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던 그들의 삶은 점점 피폐해지고 파괴적인 것으로 변하고 있다.

계속되는 버마 군부의 폭력

버마 군부는 오늘도 계속해서 민중들의 토지를 빼앗고, 땅에 대한 권리를 위협하고 있다. 버마의 현행법 하에서는 이와 같은 버마 군부의 범죄행위를 고소하고 하소연할 길이 전혀 없다. 현재 버마에는 헌법도 존재하지 않는다.

버마 민중들에게 땅은 그들의 생명이자 삶이다. 따라서 그들에게 땅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고, 지금까지 민중들로부터 빼앗은 토지를 반환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조상 대대로 내려온 땅에 대한 그들의 관습을 인정해야 한다.

버마 민중들의 식량 안보와 진정한 평화는 탈군사주의화와 함께 지역과 소수 민족 지역의 토지에 대한 권리가 보장 될 때야 비로소 가능할 것이다.

(*) 버마는 7개의 도와 7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7개 주는 그 지역의 주요 소수 민족의 이름을 따서 ‘카레니 주’, ‘카렌 주’, ‘아라칸 주’, ‘몬 주’, ‘샨 주’, ‘카친 주’, ‘친 주’ 등이다.

 

http://sarangbang.or.kr/bbs/view.php?board=hrweekly&id=185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quot;하루 10시간씩 축구공 만들어 보실래요?&quot;

  "하루 10시간씩 축구공 만들어 보실래요?"
  [아시아 인권 투어] <3> 아시아의 아이들, 그리고 아동노동
 
  2006-06-01 오전 12:07:51

 

6월 9일의 독일 월드컵 개막을 앞두고 세계의 축구팬들이 들끓고 있다. 이 열기 속에서 6월 12일이 '국제노동기구(ILO)'가 정한 '세계 아동노동 반대의 날(World Day Against Child Labour)'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국제연합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에 따르면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이 열린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100만 명의 아동이 빈곤과 질병으로 사망했다. 또한 십 수만 원을 호가하는 축구공을 만들기 위해 파키스탄·인도 등지의 아동들은 축구공 하나당 100~200원을 받으며 고사리 손을 혹사당해야 했고 때로는 유독물질에 눈이 멀기도 했다.
  
  2006년 독일 월드컵을 계기로 한 FIFA-유니세프 공동캠페인의 구호는 '어린이와 평화를 위해 다함께(Unite for Children, Unite for Peace)'라는 사실을 떠올리며 월드컵 기간에도 멈추지 않을 아시아 지역 아동노동의 실상을 돌아보자.
  
  아동노동은 '값 싸고 스스로 저항할 수 없는, 힘 없는 노동'
  
  아동노동은 푼돈으로 부릴 수 있는 '값 싼 노동'이자 노동조합 등을 조직해 협상하거나 저항할 수 없는 '고립된 노동'이며 보호자 없이는 스스로를 보호하기 어려워 착취가 용이한 '힘없는 노동'으로 여겨진다. 전 세계에서 노동을 하고 있는 아동의 숫자는 2억4600만 명으로 추정되는데 그 중 절반 이상이 아시아의 아동들이다. 게다가 위험한 노동에 종사하는 아동의 숫자는 6200만 명에 달해 전세계 어느 지역보다도 많다.
  

▲ 전세계에서 노동에 종사하고 있는 2억6400만의 아동들 중 절반 이상이 아시아 아이들이다. 이들을 고된 노동으로 몰고 간 1차적 이유는 빈곤이다. ⓒEPA

  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빈곤은 아동을 노동에 몰아넣는 가장 큰 요인이며 아시아도 예외는 아니다. 아시아에는 당장 오늘 먹을 것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인 지역이 많아 아이들이 학교에 가는 대신 노동현장으로 나가게 된다. 의무교육 체계가 잘 갖춰져 있지 않기도 하고 가난한 아동들의 교육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또한 국제노동기구(ILO)의 '아동노동 근절을 위한 국제프로그램(IPEC)'은 빈곤만이 아니라 가부장적인 문화, 불안한 정치상황 등도 아동 노동을 부추기고 있다고 말한다.
  
  부계 중심의 가족에서, 또 어른을 잘 모시고 형제자매를 위하는 것이 의무로 여겨지는 사회에서는 아이들이 밥벌이를 해서 부모의 은혜를 갚는 것을 당연시하는 문화가 존재한다. 더구나 여자 아이들은 가부장적인 전통 하에서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 결혼과 동시에 가족을 떠난다고 여겨지는 여자아이들은 결혼 이전에 가사노동을 하거나 남자형제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경제적으로 돕는 것이 가족구성원의 의무를 다하는 것이라고 여겨져 노동으로 내몰리기 쉬운 것이다. 이는 최근까지 한국에서도 비일비재하던 일이다.
  
  아동노동을 최악의 상황으로 몰아가고 있는 또 하나의 요인은 '갑작스런 가난'이다. 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이 정치적 분쟁과 자연재해, 경제적 위기를 겪으면서 성인 노동자들 역시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거나 부상, 사망하는 사태가 빈번하다. 사회안전망 역시 취약하여 이러한 위기를 겪은 가정들은 쉽게 무너지고 최소한의 보호막도 잃은 아이들은 쉽게 불법적이고 위험한 노동에 노출되고 마는 것이다. 특정 집단에 대한 성인 노동시장의 차별 또한 그들의 아이들을 위험한 상황에 빠지게 하고 있다. 네팔, 태국, 파키스탄의 세 가지 아동노동 사례를 통해 이러한 현주소를 돌아보자.
  
  축구공 꿰매는 아이들 - 파키스탄 씨알콧
  
  축구공은 가죽 조각을 손바느질로 이어 붙이는 수작업을 통해 완성된다. 그동안 축구공 생산은 경제논리에 따라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해 개발도상국의 아동노동을 착취해 악명이 높았다. 비난 여론이 일자 1999년 FIFA는 강요되거나 구속된 노동 혹은 아동 노동으로 생산된 축구공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정식 생산현장이 아닌 중간상인을 통한 생산은 통제하기가 어려워 여전히 많은 아동들이 축구공을 꿰매고 있다.
  
  파키스탄의 씨알콧은 대표적인 축구공 생산지역으로 파키스탄 축구공 생산의 무려 75%를 차지하고 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브랜드만도 전 세계 50여 개에 이른다. 수 만 명으로 추정되는 씨알콧의 아동노동자들은 하루 평균 8~9시간을 일하고 있고 그 중 30%는 하루에 10시간 이상을 일하고 있다. 이 지역은 가난하기도 하거니와 교육의 질도 낮아 아이들을 무리해서 학교를 보내기 보다는 기술을 배우게 하는 것이 낫다고 믿는 사람이 많다. 이러한 씨알콧 지역의 참상이 알려지면서 서구 사회의 압력으로 파키스탄 정부와 단체들도 아동노동 근절에 동참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2002년 월드컵 시기에도 여전히 씨알콧 지역의 아동착취 축구공 생산은 악명을 떨쳤다. ILO나 유니세프와 같은 국제연합(UN) 기관들과 국제 언론, '아동노동을 근절하기 위한 세계행진(Global March)'과 같은 시민사회단체들이 나섰고 '축구공 프로젝트'를 실시해 '바느질을 멈추고 학교로'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축구공을 생산하는 아이들을 극한 빈곤으로부터 탈출시켜 학교로 돌려보내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여전히 노동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아동들이 많지만 전 세계의 시선이 쏠린 가운데 씨알콧은 대안을 찾아나가고 있다.
  
  집안의 어린 노예 - 네팔 카트만두
  
  '입주 아동노동(domestic child labour)', 통칭 '남의집살이'는 통계에 잘 잡히지 않는 가려진 노동이지만 전 세계 아동노동의 약 6~7%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팔의 경우, 이러한 입주 아동노동은 도시의 부유한 가정을 중심으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입주 가사노동을 하는 아동은 요리·청소·설거지 그리고 아이보기 등의 일을 하는데 IPEC가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서 2001년에 수행한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부모님에 의해 팔려가다시피 했다. 가난한 부모들은 입을 줄이기 위해 결혼을 하면 '남의 집 사람'이 될 여자아이들을 입주노동으로 보내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게다가 그렇게 보내져 노동하는 아이들의 18%는 문맹이고 또 다른 10%는 거의 읽지도 쓰지도 못한다고 응답했다.
  
  이렇게 다른 부유한 가정으로 보내지는 노동의 경우, 다른 아동노동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며 극단적인 가난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형태의 노동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조사 결과 입주 가사노동에 종사하는 아동의 97% 이상이 UN아동권리협약의 기준에 비춰봤을 때 '극단적인 형태의 아동노동(worst form of child labour)' 수준이었던 것이 드러났다. 이들은 보통 새벽 5시에 기상해서 하루 평균 14시간 이상 일하고 있다. 절반 이상이 아무런 금전적 대가를 받지 못하고 있고 급여를 받는 경우에도 40% 이상이 부모가 그 돈을 전부 가져간다.
  
  이들은 고립으로 인한 외로움, 과중한 노동과 열악한 처우, 그리고 물리적인 폭력과 정신적인 피폐함에 시달리고 있었다. 성적 착취와 폭력에 쉽게 노출됨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이 아동들은 고용기간 동안 마음대로 일을 그만둘 수도 없고 가족을 만나러 가는 것도 자유롭지 않아 사실상 노예와 다를 바 없는 상태에 놓여 있다.
  
  마약을 운반하는 아동들 - 태국 방콕
  
  강제노역이나 아동 성매매 등과 함께 최악의 아동노동으로 꼽히는 것 중의 하나가 마약 거래다. 이같은 마약 운반에 동원되는 아이들의 대다수는 도시빈민가에서 자라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해 기술도 없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주로 이미 마약거래에 연루된 친구를 통해 이 '사업'에 빠져들게 된다. 아동을 마약거래과정에 이용하는 것이 더욱 심각하고 위험한 까닭은 이들이 이를 통해 마약에 노출·중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002년 '아동노동에 대한 통계정보와 모니터링 프로그램(SIMPOC)'과 IPEC가 태국의 수도 방콕에서 마약과 연관된 14~17세 사이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표본조사 결과, 98%의 아이들이 가족의 빈곤으로 인해서 학교교육을 계속 받기 어려웠다고 답했다. 그리고 응답한 아이들의 절반 가량이 이미 마약 중독 상태에 있어서 자신의 약을 사거나 얻기 위해서 마약 거래를 하고 있다고 답했는데, 연구진의 참여관찰 결과 사실상 대부분(98%)의 아이들이 마약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의 대부분은 하루 10시간 이상 고객을 찾으며 지역을 배회하며 시간을 보내고 있었고 가족 전체가 마약 거래에 손을 대어 빠져나올 수 없는 아이들도 있었다.
  
  솜차이(가명/SIMPOC 면접조사 케이스)는 이러한 현실의 전형을 보여준다. 도시 빈민가에서 자란 솜차이는 돈이 없어 학교를 그만두고 14살에 처음으로 마약에 손을 댔다. 마약 중독자이자 중간상이 된 솜차이는 마약을 팔아 번 돈으로 술을 먹거나 자신을 위한 마약을 샀다. 솜차이는 14살 때 마약소지죄로 체포, 같은 해에 약물남용으로 체포, 15세, 16세에 각각 마약소지죄로 다시 체포됐다. 건강하게 성장하고 교육받을 아동으로서의 권리는 솜차이에게 너무나 먼 이야기처럼 들린다.
  
  성장과 개발의 논리를 넘어서…아동인권 인식 성장으로 악순환의 고리 끊어야
  
  각 나라별 사례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같은 아동노동은 특정 국가에서만 발생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축구공 산업의 아동노동의 경우 씨알콧 뿐만 아니라 파키스탄 전역, 인도, 그리고 주변 국가들에서도 만연한 일이다. 입주 아동 노동의 경우에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태국, 중국 등지에서 그 심각성이 지적되고 있으며 마약 거래에 연루된 아동들의 경우는 태국을 포함해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 가난한 부모를 만나 제대로 교육 받지 못해 어린 시절부터 노동으로 내몰린 아이들이 빈곤을 벗어날 길은 없다. 이 악순환의 고리를 어떻게 끊어야 할까? ⓒEPA

  경제적으로 뒤쳐진 나라가 아동의 권리를 상대적으로 보장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시아 지역의 아동노동 착취의 현실을 해결하는 데에는 경제적 성장과 개발만이 능사는 아니다. 아동교육의 중요성, 그리고 인권과 평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는 것이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며 그러한 바탕 위에서 나오는 정책과 대안이 문제 해결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는 길이다. 경제논리, 가부장적이거나 성인 중심의 권위적인 전통적 악습보다 인간이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권리, 아동이 건강한 성인으로서 성장하고 교육받을 권리가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작동할 때, 이 비극을 끝낼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아동인권 침해라는 지금까지의 현실을 아이들의 미래에서 또다시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 가난해 교육받지 못하고, 교육받지 못해 다시 빈곤해지고, 부모가 빈곤하여 다시 어린 자식이 학교가 아니라 위험한 노동현장으로 내몰려야 하는 이 빈곤과 무지의 악순환의 고리는 그 어떤 노력이 요구되더라도 반드시 끊어져야 할 대목이다.
  
※ 아동노동 관련 사이트들
  
  
ILO : www.ilo.org
  SIMPOC : www.ilo.org/public/english/standards/ipec/simpoc
  UNICEF : www.unicef.org
  Global March : www.globalmarch.org
  World Vision : www.wvi.org

 http://www.pressian.com/scripts/section/article.asp?article_num=60060531140812&s_menu=세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