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 조각상 앞에 여덟 명의 사람들이 피켓을 들고 서 있다. 피켓에는 '설악산 케이블카 반대', '설악산 케이블카 취소하라' 등의 문구와 그림이 있다. 뒤로는 눈쌓인 산과 나무가 보인다.

 

눈사람 옆에 모자와 초록색 치마를 입은 남성이 '설악산 케이블카 취소하라'라고 적힌 둥근 피켓을 들고 서 있다. 눈사람의 몸에는 빨간색 조끼가 있고 '설악산 그대로'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뒤로는 낮은 나무 울타리와 나무들, 바닥에 쌓인 눈이 보인다.

 

보행자길 가장자리에 일곱 명의 사람들이  피켓을 들고 서 있다. 피켓에는 '설악산 케이블카 반대', '설악산 케이블카 취소하라' 등의 문구와 그림이 있다. 뒤에는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취소하라'라고 적힌 커다란 현수막이 나무 사이에 걸려있다. 길 반대편 가장자리에는 눈사람의 뒷모습이 보인다. 길 양옆으로는 많은 눈이 쌓여있다.

 

뒤로는 낮은 나무 울타리와 관목, 나무들이 있고 앞쪽으로는 눈이 쌓여있는 위에 '설악산 그대로'라고 적힌 작은 피켓이 세워져있다.


2월 3일 오전에 설악산 소공원에 도착하여 최정화 선생님, 박그림 선생님과 만나 오색 케이블카 반대 피켓팅을 시작했습니다.


아침부터 소공원 주차장에는 빈자리를 찾기 힘들 정도로 많은 차들이 와있었습니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 중 상당수는 권금성으로 향하는 케이블카를 타기 위해 옵니다. 어떤 이들에게는 케이블카 반대 메시지가 달갑지 않은 듯 했습니다. 뭐하러 반대를 하냐, 나는 찬성한다 라는 말을 하며 지나가기도 했습니다. 한편 응원한다, 서명할 것이 있냐며 말을 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자연보호!" 라고 짧게 외치고 간 한 어린이의 말이 기억에 남습니다.


피켓팅을 마치고 우리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속초시 영랑호와 설악산 울산바위를 향해 움직였습니다. 


보행자 길 가장자리에 네 사람이 영랑호의 전경이 담긴 사진과 그림, '부교철거, 영랑호를 그대로'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서 있다. 오른쪽 두 사람 사이에 흰 색 강아지 한 마리가 앉아있다. 뒤로는 나즈막한 언덕과 나무들이 보이고, 나무 앞에 부교 철거를 요구하는 글이 적힌 현수막이 걸려있다.

 

호수를 바라본 전경이다. 호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다리와 다리 중간에 둥글고 큰 데크가 놓여있다. 호수 주변 나무는 침엽수이거나 앙상하며 일부 눈이 쌓여있는 곳도 있다.

 

설악산과 동해바다 사이에 위치한 영랑호는 6000~8000년 사이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동해안에서 원형이 잘 보전된 몇 안되는 자연 석호 중 하나입니다. 민물과 바다가 만나는 풍부한 습지 생태계는 대체할 수 없는 고유한 존재이며, 오랫동안 많은 종의 보금자리가 되어왔습니다. 2021년 말, '영랑호수윗길'이라는 이름으로 호수 한가운데를 가로지르는 부교가 준공된 후 석호 생태계의 핵심을 이루는 민물과 바닷물의 순환이 방해받고 있기에, 영랑호를 지키고자 하는 사람들은 부교 철거를 위한 행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부교 철거 필요성의 공감대를 넓히기 위한 피켓팅에 참가한 후 영랑호 부근을 천천히 걸어다녔습니다.

 

눈쌓인 깊은 산의 전경이다. 먼 곳의 산은 안개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가까운 쪽 왼편에는 눈이 쌓인 침엽수의 가지가 보인다.

 

또 다른 그룹은 케이블카 반대 메시지를 가방과 옷에 달고 울산바위를 향해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두터운 구름과 짙은 안개 속에서도 겨울 설악산은 살아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눈밭 위로는 지나간 이들의 발자국이 보였고, 딱따구리 소리가 들리는 와중에 나무 가지마다 작은 새들이 바삐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등산객들의 인적이 드물어지는 늦은 오후 무렵, 계곡 근처까지 내려온 몇 마리의 산양도 만났습니다. 

 

바위 위 울타리 가까이에 서있는 다섯 사람을 위쪽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각각 작은 배너를 들고 있지만 안개가 짙어 잘 보이지 않는다. 바위에는 많은 눈이 쌓여있다.

 

야생지를 더이상 파괴하지 않고, 이들의 삶과 미래를 존중하며, 각자의 자리를 지켜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곧 우리의 삶을 지속해나갈 생존의 길일 것입니다. 지금이라도 국립공원 케이블카 사업을 백지화해야 합니다.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사진:최정화, 동아시아 에코토피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4/02/05 16:58 2024/02/05 16:58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eastasia_ecotopia/trackback/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