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은 흄의 인용,
정의의 규칙은 그 보편성과 절대적 불변성으로 인해 자연(본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없으며, 자연적 경향이나 동기로부터 직접 창조될 수 없다.(62)
도덕적인 것이 우리의 본성이 아니라 우리의 본성 속에 있는 것이 우리의 도덕이라(57)는 말은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선을 상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단지 공감능력을 통해 세계와 관계한다는 것이다. 공감은 우리의 본성에 의해 제한을 받을 뿐만 아니라 편파적이다. 왜냐하면 나는 인류 전체가 아니라 나의 가족, 나의 친지, 동료를 사랑하는 것이다. "우리의 관대함이 본성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56)면 이런 한정된 범위를 어떻게 세계 전체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한가? 흄은 <우리에게 생생한 충격을 주는 현재의 어떤 정황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전쟁의 참상을 생생하게 전달해주는 미디어의 이미지가 우리를 자극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자연과 문화는 하나의 전체나 복합체를 형성한다. 흄 역시 정의를 포함해 모든 것을 자연에 부여하는 주장, 의미와 덕을 포함하는 모든 것을 정치와 교육에 부여하는 주장을 모두 거부한다. 전자는 문화를 잊은 채 자연의 일그러진 이미지를 우리에게 제시하며, 후자는 자연을 잊고 문화를 왜곡한다.(7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9/05/26 21:15 2019/05/26 21:15
http://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389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