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내가 잠들기 전에(Befor I go to sleep)> 이 영화를 봤는데, 영 실망이었다. 한마디로 말하면 상투성을 벗어나지 못한 영화. 영화를 보고 이 영화 주제가 뭘까? 감독의 의도는 뭘까? 어떤 서브 텍스트가 감춰져 있을까? 이런 물음은 전통적인 분석을 위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물음들이다. 

 

“여자가 외도하면 자신도 잃고 좋은 남편도 잃고 친구도 잃고 심지어 아들도 잃는다. 여자여 외도하지 마라!”

내가 얻는 답은 이 정도일까?

 

로빈우드는 <베트남에서 레이건까지>라는 책에서 고전적 할리우드 스타일의 영화를 일관성(coherence)과 비일관성 (incoherence)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분석하는데, 어떤 영화들은 동일한 장르 영화라 하더라도 장르의 일관성을 침식하는 어떤 이질적인 기호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굉장히 흥미로운 분석이라고 생각한다.

 

고전적인 할리우드 영화라고 해서 옛날 영화를 말하는 건 아니다. 고전적인 할리우드 편집 스타일에 따라 제작된 영화를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라고 하고, 사실 거의 모든 할리우드 영화들은 고전적 편집 스타일에 따른다. 물론 완전히 고전적 편집 스타일을 거부하는 영화들이 있을 수 있는데, 로빈우드는 고다르의 <동풍>이나 <주말>을 이런 의미에서 일관성을 갖고 있다고 한다. 

 

특정 장르 영화든 복합적인 영화든 고전적 편집 스타일을 유지하지만 완전하게 고전적 스타일을 규현하려고 하지 않는 영화들도 있다. 코폴라의 <대부>와 <지옥의 묵시록>이 그렇고, 리들리 스콧의 1979년의 <에이리언>도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로빈우드는 이 책에서 <태시 드라이버>와 <미스터 굿바를 찾아서>를 들고 있다.

 

어떻게 이런 고전적 편집 스타일을 따르면서도 비일관성이라는 어떤 이질성을 가질 수 있을까? 이 물음은 한편의 논문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여튼 최근 수년 동안 내가 본 할리우드 영화에서 로빈우드가 분석하고 있는 것과 같은 그런 비일관성을 드러내는 영화를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이건 아마 할리우드 영화의 서사가 시각효과에 짓눌리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9/05/26 21:38 2019/05/26 21:38
http://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402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