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10살까지 살았던 고향 마을은 산청군 금서면의 지리산 골짜기였다. 또렷하게 기억나지 않지만 거의 모든 사람들이 농사를 짓고 집집마다 소, 돼지, 염소, 강아지, 고양이 닭, 토끼 등을 한마리 이상 기르고 있었다. 마당에는 강아지나 닭, 병아리가 여기저기 돌아다나고 마구간에는 황소와 송아지가 여물을 먹거나 그릉그릉 소리를 내며 긴 혀를 내밀어 콧등을 훑었다. 옆 돼지우리에서는 시커먼 돼지가 꿀꿀거리며 돌아다닌다.

70년대 초 고향 마을의 거의 모든 집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이었다. 하교 후에는 망태를 메고 꼴을 베러 산으로 갔다. 한가한 주말이면 동네의 나이든 청년들은 집집마다 소를 몰고 근처의 산이나 들로 소를 몰고 가서 들판에 소를 풀어 놓았다. 이런 것을 '소먹이로 간다'고 했던 기억이 난다. 물론 시골이 다 좋은 것은 아니다. 30년도 더 지난 어린 시절의 기억이라는 건 사실 기차를 타고 차창 밖으로 보이는 풍경처럼 그리운 그런 것이기 마련이다.

프레시안의 이 글을 읽으면서 참 몹쓸 짓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불현듯 30년전 고향 마을이 떠올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계동물보건기구(OIE)로부터 청정 축산지역을 획득하고 유지하려고 700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두달 만에 쏟아버리는 이런 방역체계는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습니다.

한번 물어봅시다. 왜 한국은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없나요? 바이러스도 동식물처럼 번식하고 성장하고 전파하는 미생물입니다. 동물에게 유해해서 병에 걸리게 하기도하고 하면서 아프다가 낳고 또 병에 걸리다 죽고 하는 것이 생노병사의 자연이치입니다. 동물도 생노병사합니다.

그러나 인간은 동물을 청정먹거리를 공급하는 식품으로만 여기니까, 그 아픈 꼴을 못 보는 겁니다. 동물도 아플 권리가 있고 그러다가 낳을 자생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자연의 질서를 거역하고 자기들만 살 수 있는 청정지역을 넓혀나간다는 것은 선진국 인간들의 기준에 맞는 청정지역을 지구촌에서 점점 더 확대해 나간다는 것입니다.

이 기준대로라면 아프리카 서아시아 지역의 양, 소, 낙타, 염소, 야크, 라마 모두 다 구제역 발병만 하면 집단학살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인간이기주의와 독선이 어디 있습니까. (... 계속 프레시안)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1/08 21:13 2012/01/08 21:13

현대차 노조, 비정규직 지원 위한 파업투표 부결 파업찬성 20.4%로 역대 최저..비정규직 투쟁 지원 어려울듯 연합뉴스 | 입력 2010.12.14 19:37 | 수정 2010.12.14 20:1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이 노예인 줄 모르는 노예들의 합창 현대 노예들의 특징 : 조삼모사라는 말은 들어봤어도 무슨 말인지 모름. 그렇게 노예라는 걸 자랑처럼 떠벌리고 다니면 니들이 힘들고 괴로울 때 아무도 연대하지 않을 것이다. 이 쌍 거지 노예들아!

진짜 욕나오네 ㄱㅅㄲ같은 돼지들. 너희들도 이런 식으로 하면 언젠가 몰락한다. 예전에 광주에 캐리어에어컨에서 비정규직이 처우개선하려고 농성했을때 정규직이 총부리를 비정규직에 겨눴지. 근데 지금 그 캐리어 떠났다.

최악의 선례를 남겼다!! 노조의 생명과도 같은 열악한 노동자를 외면 했다.

민주노동당도 마찬가지다. 대기업 노조에 기생하며 중소기업과 소규모 사업장의 노동현실은 수십년간 모르쇄다.

이젠 현대차노조 너희는 더이상 노동자가 아니다.

앞으로 배부른 돼지들이 밥 더먹고 더 뒤비지겠다고 하면 비정규직과 소규모 사업장 노동자들이 너희를 죽여버리고 싶을 거다.

귀족노조가 뭔줄아나? 돈 많이 벌어서가 아니고 파업잘해서가 아니다. 내옆에서 똑같은 일하면서 임금은 1/2밖에 안되는 비정규직들을 위해서 혹은 전국의 비정규, 저임금, 탄압받는 노동자를 위해 싸우지 않고 나만 잘살면되지 하는게 귀족인 것이다 알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1/08 21:09 2012/01/08 21:09

김장철이 되면 주부도 아닌데, 걱정이 앞선다.
먼저, 어머니는 수년전부터 김장김치에 흥미를 잃어버리신 듯하다.
다음으로, 어떻든 담근 김장김치 맛이 점점 떨어지고 지난 묵은 김치를 찾게 된다는 거다.
이래저래 걱정만 앞선다.
어느 분의 블로그에서 가져왔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김치 맛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1/08 21:05 2012/01/08 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