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는거슬리피 할로우 / 팀 버튼

책([슬리피 할로우])읽은 김에 영화도 봤다.

조니 뎁이 나오고, 팀 버튼이 감독이다.

 

목이 수도없이 댕강댕강 잘려나가는데,

어이구나,

좀 무섭다.

 

이카보드는 근거중심의 합리성을 전면에 내세우는 사람이지만,

정작 현실을 대면할 때는 '여성'과 '아이'를 앞세우고 그 뒤에 숨어 살금살금 다가간다.

용맹을 자랑하던 브롬은 허무하게 쓰러졌고,

이카보드가 가진 도구들로 설명할 수 없는 존재들이 실재하는데,

해결의 실마리는 오히려 주술과 마법에 있었다.

재밌는 건, 주술은 여성이 돋보기는 남성이 사용한다는 거다.

 

소설에서도 그렇고, 영화에서도,

그 시기는 어느편이 월등하지 못하고 아웅다웅하는, 그런 시기였던 것 같다.

어느 편이든 세상을 해석하기 위한 노력이었는데, 그 사실이 쉽게 기각된다.

 

조니 뎁의 능청스러운 몸동작들, 표정들 - 타고난게로구나!

2011/11/15 15:11 2011/11/15 15:11

슬리피 할로우

아무아무아무 생각 없이,

그냥 도서관에서 신간에 꽂혀 있길래 빌려왔다.

사실, 요즘 영미문학을 읽어볼까하는 마음이 있긴 했는데,

그래서 이 책을 빌려온 건 아니다. 거리도 멀고.

 

 

좀 지루하게 읽었다.

당시에는 재밌는 이야기들일지 모르겠지만,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

다만 당시 사람들의 관심사나 생각들을 볼 수 있어서 재밌었다는 거?

 

짧은 이야기들이 몇 편 실려 있고, 각 이야기는 좀 차이가 있지만 1800년대 초반? 그 쯤이 배경이다.

아메리칸 선주민을 몰아내고, 유럽에서 이주해온 이들이 터전을 꾸려 어느정도 정착을 이뤘고, 번창만 남겨놓은-

대체로 그런 분위기다.

해적과 해적이 남겨놓은 보물과 그 보물에 깃들어 있는 악의 기운...

이런 이야기가 많은데, 일확천금의 꿈은 어느 시기에나 있구나 싶으면서,

그 시기에는 이런 일확천금이 더 수월했을까 궁금하기도 하고..

 

 

/

 

악마, 유령, 신선(?) 등에 대한 이야기와 사람들의 믿음은

1800년대 미국과 조선이 별반 다르지 않았을 것 같다.

그런데 그들이 자신의 문명이 우월하다고 믿으며, 다른 세계을 정복하고 착취할 수 있었던 것을 되돌아보면,

근대라는 건 결국 그 세계가 얼마나 합리적인지와 별개로,

합리성을 다른 가치에 대해 우위로 두고 있다는, 그런 믿음인 것 같다.

합리성 이외에도 여러 가치들이 산재하는데, 그것들의 말소가 아니다.

 

산에 가서 술마시고 노는 걸 보다 보니 20년이 지났다더라는 이야기는, 신선과 놀다 도끼 자루가 썩었다는 이야기와 똑 닮았다. 전자는 창작자(작가의 창작이 아닌 전승을 기록한 것일수도 있지만)가 명시되어 있지만, 후자는 창작자를 특정할 수 없다는 게 다른건가? 그게 1800년대 미국과 조선의 차이였을까?

 

번역이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드는 구절이 많았다..

관용구일 것 같은데, 그냥 직역을 해놓는다든지(예를들면 바다에서 돼지들, 프라이팬을 탄다는데- 음..)

문맥이 어색하다든지..

오타도 있고..

편집자가 별로 신경안쓰고 출판한 것 같다.

 

 

 

슬리피 할로우
슬리피 할로우
워싱턴 어빙
생각의나무, 2011
2011/10/26 14:47 2011/10/26 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