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협동조합에서 신자유주의 척결하자

350만 한국 농민들중 270여만명이 자그마한 돈을 출자해서 조직한 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 축산업협동조합, 인삼협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기타 등등

전국적으로 1300여개의 협동조합이 회원조합으로 조직된 농협중앙회.

 

한국 농민계급에 있어 명실상부한 거대 조직이 바로 협동조합이다. 협동조합 내부 규약으로 협동조합의 운동성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 여타의 농민 조직과는 또 다른 점이기도 하다.

 

노동자들의 자주적 조직인 노동조합이 법으로 보장되어 있다면 동일하게 농민의 자주적 조직인 농협 또한 법으로 보장되어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노동조합과 농업협동조합과의 차이는 바로 법으로 보장된 돈벌이를 할수 있다는 점이 노동조합의 그것과는 다른 점이다.

 

이러하기에 농협은 자본주의 시장에서 자본들과 경쟁을 진행하면서도 민중적 시각과 관점속에서 조직을 운영해야 한다는 조직 운영의 기본 원리가 적용되는 것이다.

 

농협의 주인인 농민

신자유주의 농업시장의 완정 개방과 50만 부농 육성이라는 노무현 정권의 신자유주의 농업 구조조정 정책, 1가구당 수천원이 넘어가고 있는 살인적인 농가부채, 매년 농사가 투기일수 밖에 없는 농정.

이러한 자본과 정권이 농정으로 인해 10년이 채 안되는 시간동안 1천만 농민의 수가 400만이 채 안되는 수로 급속하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며 이 또한 여기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점차 더욱더 축소가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자본과 정권이 신자유주의적 농민 정책은 시장개방과 50만 부농 육성, 그로인한 살인적인 농가부채와 무계획적인 투기성 농정등으로 표현이 되며 한 걸음 더 나아가 3개의 중앙회(농협, 축협, 인삼협) 를 1개로 통합(2000년 7월 1일) 이후 1300여개의 회원조합을 500여개로 축소하는 협동조합의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다.

 

50만 부농을 위한 농업 구조조정은 부농에게 입맛이 맞는 부르조아적 정책이다. 350만 농민중에 국가로부터 다양한 자금의 지원과 정책적 지원으로 인해 살아남은 50만 부농, 이와는 달리 정든 일터에서 쫒겨 나는 다수의 300만 빈농

문제는 이러한 농업 구조조정에 대한 진보진영의 태도이다.

그 어느 누구도 내 몰리고 있는 300만 농민을 대변하는 발언을 하는 농민단체가 없다는 점이다.

혹 현존하는 농민단체들이 300만 빈농을 위한 조직이 아니라 50만 부농을 위한 조직이랫서 그런것인가?

 

현존하는 농민단체들이 농민의 자주적 조직인 1300여개 협동조합의 경쟁력  강화를 주장하고 있다.

자본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경쟁력을 가져야 한다고 한다. 이를 위해 군살을 빼고 협동조합 10만 노동자들의 임금을 삭감하자고 한다. 유력한 농민운동가는 다른 사업장은 몰라고 농민을 위한 협동조합에는 정리해고가 필요하다고 한다, 임금삭감이 필요하다고 한다. 정규직 보단 계약직 노동자들을 운용해야 한다고 한다.

 

쌀 시장 개방 반대한다.

WTO, FTA 반대한다.

 

더욱더 중요한 농업 구조조정과 협동조합 신자유주의 구조조정 반대한다.

빈농 투쟁에 대한 직접적 결합 고민하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