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논술에 가장 흠이 많은 사설?

국어문화운동본부라는 곳에서 2005년 1월 5개 신문 사설에 대한 평가를 했다는 걸 뒤늦게 알았다. 대부분의 신문 사설이 문제가 많았다고 지적했는데 상당 부분은 수긍할 수 있는 내용들이다. 그런데 내용을 보다가 깜짝 놀랐다. 논술에 가장 흠이 많은 사설로 <한겨레>의 '현대차 파업이 남긴 과제'(평가서는 날짜를 2007년 1월22일이라고 적었으나 실제로는 1월19일이다.)가 꼽혔다는 사실이다. 어떤 문제가 있길래 이런 평가를 받았는지 찾아봤다. (이 문제에 있어서 나는 '당사자'의 하나에 포함된다는 점을 먼저 밝혀둔다.)

 

제시한 근거 가운데 이런 것이 있다.

 

(예4: <한겨레>가 국내기업 136곳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를 보면, 성과급을 말그대로 실적에 따라 지급하는 곳은 많지 않다.<한겨레; ‘현대차 파업이 남긴 과제’, 07. 01. 22.>)

사설에서 자기 회사가 작성한 자료를 인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편법을 응징해야 할 사설이 그 편법이 보편적이라는 사실로 이를 호도하려 하는 것은 큰 잘못이다.

 

이 지적은 한마디로 <한겨레>가 136곳의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못믿겠다는 것이다. 제3자의 조사를 인용하는 것은 믿을 수 있고, 자사의 조사를 인용하는 것은 믿을 수 없다는 논리는 어디서 나올까? 조사의 신뢰를 문제삼으려면 조사 방법을 따져보는 게 이 운동본부가 걱정하는 “논술의 흠”을 줄이는 방법이 아닐까? (이 조사는 <한겨레>와 취업 포털 '잡코리아'가 함께 한 것임을 관련 기사는 밝히고 있지만, 사설은 잡코리아를 뺐다. 그러나 이 부분이 핵심은 아니다. 또한 편법 운운하는 대목은 사설을 제대로 읽지도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설은 뒤에 가서 잘못된 관행을 고치자고 주장하고 있다. 논리 걱정하는 이들이라면 최소한 “왜 잘못된 관행을 고치자는 걸 뒤에 살짝 걸쳤는가”라고 지적하면 했지 “편법을 응징해야 할 사설” 운운하면 안된다.)

 

더 기막힌 부분은 다음 지적이다.

 

(예4: 노조는 회사가 갑작스레 원칙을 들고 나오니 노조에 대한 전면 공세로 해석해 정면으로 맞섰다. 회사로서도 쉽게 물러서긴 어려웠겠지만, 일방적인 통보로 원칙을 세우겠다는 발상은 곤란하다.<한겨레; ‘현대차 파업이 남긴 과제’, 07. 1. 22.>)

이건 마치 트럼프를 치는 것을 연상시키는 논리다. 회사가 갑작스레 원칙을 들고 나오니 노조가 자기에 대한 전면 공세로 해석해서 정면으로 맞서 파업을 했다는 판단은 노조원들의 주장이라고 해도 비논리적이다. 하물며 공론을 밝혀야 할 사설에서 이런 표현을 하는 것은 참으로 유감스럽다.

 

이런 지적이 과연 현대차 사태의 진실을 모르는 데서 나온 것일까, 아니면 노조에 대한 막연한 반감에서 나온 것일까? 그것도 아니면 또 다른 이유가 있는가? 아니 사실 지적은 모두 정당하고 내가 문제가 있는 것인가?

 

사람들이 '논리'를 말할 때도 사실은 '자신의 이념이나 시각'을 말하는 것임을 잘 알지만, 이 경우는 뭐 때문에 이렇게 나와 생각이 다른지 또는 뭐 때문에 내가 이렇게 문제가 많은건지 정말 궁금하다.

 

덧붙임: 물론 이 사설에 대한 운동본부의 지적 가운데 수긍할 만한 내용도 있다. 전체를 보려면 신문 사설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를 보라. 그리고 사설 전문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

2007/03/04 13:38 2007/03/04 13:38
댓글1 댓글
  1. 自由魂 2007/03/06 00:54

    핵심은 '논술'이겠지요. 제 얕은 철학적 수준 때문인지 몰라도 순수하게 방법론적인 '논리'라는 것이 있는지 의문입니다. 어쩌다 보니 '논술'관련 글들을 자주 편집하고 있습니다. 그 글들을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은 학생들에게 사고하는 '방법'을 알려주기 보다는 '사고' 그 자체를 주입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웃기는 것은 또 그 '논술' 교육을 주도하는 세력이 예전의 운동권 출신(제 선배도 있지만)이라는 것이지요...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트랙백0 트랙백
먼 댓글용 주소 :: http://blog.jinbo.net/marishin/trackback/237

앞으로 뒤로

외국 진보 진영의 글을 번역해 공개하는 걸 주 목적으로 하지만 요즘은 잡글이 더 많습니다. mari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