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블로그 마케팅 논란, 묘하다

계기가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블로그를 기업 홍보 도구로 쓰는 것에 대해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것 같다. 다행이다. 블로그로 유명해진 개인과 이런 '유명 블로거'를 '입소문 홍보' 도구로 삼으려는 기업들,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해줌으로써 돈벌이를 하는 '홍보 대행'(?) 기업들이 어떤 짓을 하고 있는지, 좀더 많은 사람이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기업의 돈을 받고 쓰는 글이다”라고 명백하게 밝히지 않고 자신의 블로그에 어떤 기업 제품에 대해 글을 쓰고 돈을 받는 행위는 근본적으로 '사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광고 모델인 연예인들이 돈 받지 않는 척하면서 특정 기업 광고를 한다고 생각해보라. (이에 대해서는 내가 지난번에 쓴 광고판으로 추락하는 블로그를 참고하시라.)

 

그런데 이 문제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쓴 글들 몇가지를 보면서 나는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

 

홍보 대행업을 하는 사람이 직접 쓴 글은 조금 충격적이다. 먼저 놀라운 것은 “한 번 포스팅을 하는데 파워블로거 분들에게는 경우에 따라서 5만원에서 10만원까지” 준다는 점이다. 둘째로 놀라운 것은 일부 블로거들은 위선적이라고 이 사람이 주장하는 대목이다. 이렇게 썼다. “어떤 경우는 블로그 상에는 진정성과 순수를 주장하면서도 개인적으로 만났더니 블로그를 통해 수익을 두는 것에 더욱 역점을 두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위선이죠. 제일 황당했던 경우는 몇몇 블로거에게 기업의 의뢰로 리뷰를 부탁했는데 자신에게 전화를 다른 사람들보다 빨리 안했다고 기분 나쁘다고 항의를 하기 위해 연락을 해온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 글에 대한 일부 반응을 보면서 나는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 첫째, 5만원에서 10만원이라는 거금을 받는다는 사실에 별로 놀라지 않는 듯 한 분위기가 이상했다. 이 돈이 얼마나 큰 돈인지를 사례를 들어 비교해보겠다.

 

기자들의 부수입 가운데 가장 흔한 것이 외부 매체에 글을 써주는 것이다. 기업의 사보에 글을 쓸 때 가장 많이 돈을 받는다. 요즘 시세는 모르지만, 대략 2000년 정도에는 원고지 한장에 2만원씩을 받았다. 보통 글의 분량이 원고지 10장 정도이기에, 한번 쓰면 20만원쯤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다른 매체는 원고지 한당장 5천원 이하가 보통이다. 5천원이라면 10장을 써야 5만원이 되고, 10만원 받으려면 20장을 써야 한다. 원고지 20장이라면 신문 한개면을 채울 수 있는 분량이다. 번역과도 비교해보자. 어느 정도 인정을 받는 번역자가 많이 받아야 원고지 한장당 4000원 정도 받는다. 5만원이면 원고지 12장, 10만원이면 25장 번역해야 받는 액수다.

 

이른바 파워 블로거들이 기업 홍보용 글을 원고지로 몇장씩 쓰는지 모르지만, 글을 써서 10만원 받는 것은 사소한 것이 아니다. (물론 제품 사용기를 쓰려면 제품을 사용해보는 데 꽤 공을 들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학 학보가 됐든, 기업 사보가 됐든, 글쓰기에 많은 시간과 노동이 들기는 마찬가지다.)

 

또 하나 이상한 것은, 일부 “위선적인 블로거”에 대해 쓴 것을 놓고 블로거들을 이간질시킨다는 식의 반응이 나오는 점이다. 이런 반응의 전제는 “블로거는 모두 같은 부류”라는 생각일 것이다. 그런데 이 전제는 잘못됐다. “블로그를 운영하면 모두 똑같은 블로거”라고 생각하면 착각이다. 기자가 일반인과 똑같은 블로거가 될 수 있을까? 대학 교수나 유명 논객이 블로그를 운영한다고 같은 블로거인가? 그렇지 않다. 그저 '블로그'라는 같은 도구를 이용하는, 서로 다른 부류일 뿐이다. 거기에는 '통속적으로 인정되는 서열'이 거의 그대로 적용된다. 이른바 아마추어 블로거들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다. 글 한번 쓸 때, 5만원에서 10만원씩 받는 '블로거'는 특별한 사람들이다. 일반적인 블로거가 이런 '특별한 블로거'가 될 가능성은 아주 희박하다. 일부 블로거의 행태를 폭로한 것이 문제가 있다면 누구 말대로 “자기의 고객들을 뒤에서 씹는 행태”이기 때문이다.

 

“유명 블로거들 또한 우리와 다른 사람들”이라는 인식이 중요하다. 이런 인식을 바탕에 두고 있어야, “잘난 것들”에게 이용당하듯이, “유명 블로거”들에게 똑같이 이용당하는 걸 피할 수 있다. (내가 쓴 이 글 또한 너무 믿지 마시라!!!)

2008/11/19 20:38 2008/11/19 20:38
7 댓글
  1. 너바나나 2008/11/20 02:01

    그냥 100% 믿겠습니다!!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2. marishin 2008/11/20 13:13

    너무 믿으시면 안되는데...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3. 행인 2008/11/21 12:56

    그냥 100% 믿겠습니다!! 2 ^^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4. marishin 2008/11/21 16:46

    이러시면 안된다니까요...^^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5. 새벽길 2008/11/22 02:55

    아무래도 믿으라는 말씀 같아서... 저도 100% 믿는데 동참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6. 소금이 2009/02/23 21:10

    정보가 잘못되었네요. 다시 한 번 확인해보시길. 국내 그 어느 마케팅사도 글 한 편 쓰는데 돈 10만원 주는데가 없습니다;;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7. marishin 2009/02/24 09:05

    소금이/ “정보가 잘못됐다”고 표현하시면 안되고 “마케팅 업체 블로그얌의 박성건씨가 뭘 모르고 잘못 말했군요”라고 표현하셔야 정확합니다. 그리고 마케팅 업체에 있는 사람이 자기 이름 걸고 쓴 것을 잠정적으로는 인정하지 않을 수 없군요. 게다가 제가 아는 한 누구도 저 내용이 부정확하다고 하지 않은 상황이니 더욱 그렇습니다.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4 트랙백
먼 댓글용 주소 :: http://blog.jinbo.net/marishin/trackback/292
  1. Subject: 대가성 취재비와 대가성 리뷰는 다르다?! (잡지가 왜 싼가 생각을 해보자.) 먼 댓글 보내온 곳 2009/02/20 20:24

    큰 글자나 (부제를 제외하고) 강조 또는 색깔 넣는 글을 좋아하지 않지만 메타 블로그에 올라오는 글을 보고, 강조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처음 테터앤미디어와 그 파트너 블로그들이 하는 리뷰에 대해 잘 몰랐었다. 그러다가 옴니아를 받고 리뷰를 쓰고는 그 대가 받은 것을 숨기기까지 했다는 글을 읽었다. "이거 뭐 이런기 다 있노?"라는 생각이 들었다. 옴니아에서는 밝혔다고 하니 조금 누그러들어서 그저 이상하다는 생각만 했었다. 뭐 경품 받은 걸로 생각할..

  2. Subject: TNM과 파트너들의 광고 가장한 리뷰, 뭐가 문제인지 직접 눈으로 확인하십시오. 먼 댓글 보내온 곳 2009/02/20 20:24

    TNM은 테터앤미디어라는 회사로 그들과 그들의 파트너 블로그들 중 일부가 광고성 기사(리뷰) 또는 대가성 리뷰를 작성해서 올렸음에도 광고성 기사 또는 대가성 리뷰가 아니라고 하거나 광고 기사라고 밝혔다고 우김으로써 사태가 커진 것입니다. 신문의 광고 기획 기사와 TV의 협찬 따위를 비교하는 댓글을 발견했는데, 매체에 대한 차이부터 공부하길 권합니다. 지겨운 말장난들, 한글도 꼴리는 데로 바꿔버려! TNM을 까는 게 아니라, 사람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

  3. Subject: 블로그 마케팅의 대안? 그걸 왜 소비자에게 묻나? (그래도 대안은 알려준다.) 먼 댓글 보내온 곳 2009/02/23 17:59

    이전 글 블로그 마케팅과 범죄도 구분 못 하는 자와 무슨 대화가 가능하겠는가? 이 글은 다른 글과 얽혀 있어서 한꺼번에 소개하려고 남겨두고 있었는데, 아래와 같은 글을 발견해서 먼저 소개를 한다. 민노씨님의 글 태태앤미디어 논란 회고 1. 광고와 리뷰의 경계 @ 2009/02/20에서 상당히 좋게 아래와 같이 표현했다. "그리고 좀 싸늘하게, 정내미 떨어지게 말하면 광고 블로거가 어떻게 먹고 살든 말든 그걸 소비자가 걱정해야 하는 이유는 없다. 언제..

  4. Subject: 리뷰 가장한 광고에 대한 대처 방안 (TNM 사태로 얻어야 할 교훈) 먼 댓글 보내온 곳 2009/03/01 22:59

    리뷰의 위험성 1 PSP를 조카에게 주고 나서 버스나 전철 간에서 영화, 드라마를 볼 수도 없고, MP3 음악도 듣고 싶어서 새로 MP3 플레이어나 휴대용 동영상 재생기를 사야 했다. 인터넷으로 조사하다가 아이팟 터치를 알게 되었고, 그 제품을 살 생각을 했다. 그 이유는 PDA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앞으로는 어플로 부르겠다.)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작년 중순만 해도 애플에서 공식적으로 어플을 지원하지 않아서(2008년 7월..

앞으로 뒤로

외국 진보 진영의 글을 번역해 공개하는 걸 주 목적으로 하지만 요즘은 잡글이 더 많습니다. mari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