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고; 사정이 어려워서 나중에 변제할 생각으로 차용했습니다.

         동생이 부도가 나서 아버지 역할인 제가 자금지원을 해야 했습니다.

         남들이 보기에는 대가성으로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판사; 그래서 공소사실을 인정하는 건지 아닌지 입장을 밝혀주세요.

 

피고; 제 3자가 보기에 일부는 그렇게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내 마음은 아니었어도.

 

판사; 그렇게 애매하게 말씀하시면... 본인은 유죄라고 생각합니까? 무죄라고 생각합니까?

 

피고; 일부는 저도 유죄 인정합니다. 그러나 당시 대가성이었다면 퇴직 후에 그렇게 못했을 겁니다.

 

판사; 결국 공소사실을 부인한다는 겁니까?

 

피고; ......

 

 

박배수와 권혁 공판 사이에 낀 장삼이사의 재판이었다.

지난 일주일 중 가장 인상적인 장면이었다.

어조와 목소리가 중요한데, 좋은 표현을 찾기가 귀찮다. 

 

사람들은 왜 애매한 것을 정하고 싶어할까?

물론 개콘의 애정남이 정해주는 것은 꽤 유용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2/20 08:15 2012/02/20 08:15

Trackback URL : http://blog.jinbo.net/peel/trackback/353

« Previous : 1 :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 222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