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ary No. 186, June 1, 2006
21세기는 어떤 세기인가?
("Whose Century is the 21st Century?")
1941년, 헨리 루스는 20세기가 미국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선포했다. 그리고 그 이후 대다수의 분석가들 또한 이에 동의를 표시했다. 물론, 20세기는 미국의 세기 그 이상이었다. 20세기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의 탈-식민지화가 이뤄진 세기였다. 정치적 운동으로서 파시즘과 공산주의가 발흥한 세기였다. 그리고 대공황의 세기였으며, 2차 대전 이후 25년간 믿기 어려울 만큼 전례 없는 세계-경제의 팽창이 있던 세기였다.
하지만 이 모든 것에도 불구, 20세기는 미국의 세기였다. 1945~1970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미국은 세계의 패권국가로서 의문의 여지 없는 위상을 뽐냈고, 세계체제는 미국의 입맛대로 재편됐다. 미국은 경제적 생산과 정치적 강제력, 그리고 문화 이 세 가지 면에서 세계체제의 중핵으로 자리를 잡았다. 간단히 말해, 잠시나마 미국의 총지휘 아래 세계적인 쇼가 거행됐던 셈이다.
지금, 미국은 눈에 띌 만큼 쇠락 국면에 있다. 이를 공개적으로, 거리낌 없이 이야기하는 분석가들은 점차 늘어나는 상황이다. 미국을 떠받치는 공식 라인에서야, 미국을 뺀 나머지 지역 일부에서 미국 헤게모니는 죽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것 마냥, 이런 분석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지만 말이다.
그러나 정신을 또렷이 하고 모든 측면을 현실적으로 고려하건대, 미국이란 별이 자꾸만 희미해져가고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래야 부인할 수 없는 노릇이다. 그렇다면 이 모든 중차대한 전망 아래 던져볼 만한 물음은 이것이다—21세기는 어떤(나라의) 세기인가?
물론, 지금은 고작해야 2006년일 뿐이다. 어떤 확신을 갖고 이 물음에 답하기엔 다소 이른 시점이다. 그렇건만, 세계 곳곳의 정치적 지도자들은 그 답변에 판돈을 걸고 그에 맞춰 정책틀을 짜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우리가 앞서의 질문을 바꾸어—예컨대 2025년 쯤 세계는 어떤 모습일까 하는 식으로 살펴—본다면, 적어도 현명한 답안을 이끌어낼 순 있을 것이다.
2025년 쯤의 세계가 어떤 모습일까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답변을 상정해볼 수 있다. 첫째는 미국이 강력한 군사적 도전자의 부재에 힘입어 옛 영광의 부활을 위한 마지막 비행을 감행, 패권적 지배력 행사를 계속 의도하는 경우다. 두 번째는 중국이 세계의 초강국으로 미국의 뒤를 잇는 경우, 세 번째는 현 세계가 혼돈스럽거나 좀처럼 예측하기 어려운 다극적 무질서에 빠져드는 경우다. 이 세 가지 예측이 얼마나 그럴 듯한지 하나씩 살펴보자.
미국의 패권적 지위는 지속된다? 이 명제가 미심쩍은 이유는 세 가지다. 첫째는 경제적 이유인데, 세계-경제의 유일한 준비통화로서 미국 달러가 누렸던 지위가 극도로 취약해졌다는 사실이다. 달러는 일본과 중국, 한국, 그리고 여타 국가들에 의한 대량의 약정구매가 먹혀드는 덕에 현재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될 공산은 매우 낮다. 달러 가치의 극적 추락으로 생산물 판매가 잠깐이나마 늘어날 수는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미국은 생산된 부에 대한 세계적 통제권은 물론, 심각할 정도의 즉각적 후유증 없이도 (재정상) 결손을 팽창해왔던 그간의 능력까지 잃게 될 것이다. 삶의 표준은 하락하고, 유로화와 엔화 같은 새 기축(또는 준비)통화가 유입될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군사적인 것이다. 아프가니스탄과 특히 이라크의 경우에서처럼 지난 몇 년 간의 상황을 통해, 전투기와 항모, 그리고 폭탄만으로 효과적인 군사적 제압이 이뤄질 수는 없음이 확연히 드러났다. 보통 국가가 지역적 규모의 반발을 제압하려 할 때, 대규모의 지상군 보유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미국은 그럴 만한 지상병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보유하지도 않을 것이다. 왜냐, 국내 정치적인 여러 이유들 때문이다. 따라서, (아프카니스탄・이라크와 벌인) 일련의 전쟁에서 미국의 패배는 필연적이다.
세 번째 이유는 정치적인 것이다. 세계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이젠 미국을 정치적으로 무시해도 좋다는 논리적 결론이 본격적으로 대두하고 있다. 가장 최근 사례로, 중국과 러시아, 중앙아시아 지역 4개 국가들이 함께 결성한 ‘샹하이협력기구(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를 보자. 현재 이 기구는 조직규모를 키우고자 자신들 외에도 인도와 파키스탄, 몽골, 이란을 조직의 일원으로 끌어들일 참에 있다. 특히나 이란은, 미국이 전세계적인 (이란)정권타도 캠페인을 앞장서 조직화하려는 바로 그 시점에, 기구참여를 권유받았다. <보스턴 글로브>에선 이를 두고 정확하게도 “반-부시동맹”, 그리고 “지정학적 구조변동”이라 명명했다.
그러면 2025년 경, 중국이 패권국가로 부상하게 될까? 확실히, 경제적으로 꽤 잘 나가고 있을 뿐 아니라 군사적 역량 또한 상당히 키워왔으며, 영토적 경계를 벗어난 지역에 대해 중대한 정치적 영향력도 발휘하고 있다. 중국이 2025년 경 더더욱 강력해지리라는 덴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중국은 반드시 극복해야 할 세 가지 문제 앞에 놓여 있다.
첫 번째 문제는, 내부적인 것이다. 중국은 정치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하다. 일당체제라는 정치구조는 경제적 성공 뿐 아니라, 민족주의 정서를 고양하는 데도 유리하다. 그러나 그 구조는 이로부터 배제된, 대략 인구의 절반에 해당하는 이들의 불만, 그리고 정치적 자유의 제한을 놓고 나머지 절반으로부터 제기되는 불만과 마주하고 있다.
중국이 직면한 두 번째 문제는 세계-경제와 관련된 것이다. 중국의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소비팽창은 (인도의 경우과 마찬가지로) 세계의 생태적 조건과 자본축적의 가능성 양자에 공히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과도한 소비와 과도한 생산(의 집중)은 전세계적 이윤 수준에 극심한 압박과 부담을 초래할 것이다.
세 번째 문제는, 중국의 이웃국가들과 관련돼 있다. 타이완과 재통합을 이루어내고, 또 남북한 통일의 순조로운 진행에 보탬이 되며, 또 일본과 (심리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원만한 관계를 이룰 수만 있다면, (중국의) 헤게모니적 지위를 상정할 만큼 지정학적으로 안정된 동아시아 체제질서가 실현될지도 모르겠다.
이 세 가지 문제(즉, 타이완과의 재통합, 한반도 통일, 일본과의 관계개선) 모두 극복될 수는 있겠지만, 쉽지 않을 것이다. 2025년까지 중국이 이같은 난제들을 과연 극복해낼지는 확실치 않다.
마지막 시나리오로는, 세계는 그 무렵 다극체제적 혼돈과 극심한 경제적 동요에 휩싸이리라는 것이다. 기존 헤게모니 권력은 그 지속능력의 부재를 드러내는 한편, 이를 대체할 새로운 헤게모니 권력의 부상은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자본축적의 위기는 세계적인 규모로 진행되리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 세 번째 시나리오가 실현될 공산이 가장 커 보인다.
이매뉴얼 월러스틴
/예일대 석좌교수, 사회학
영문칼럼 보기: http://fbc.binghamton.edu/186en.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