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친구 하나가 지난 2월 내내 캐나다 밴쿠버에 있다가 왔다.

 

이번 동계올림픽 개최지였던 그곳에서 우연찮게 겪은 얘길 들었는데

내가 과문해선진 모르겠으나,

분명 그 어느 매체에서도 못 들었던 값진 내용이었다.

 

행사 기간 내내 '미관상' 사실상의 통행제한,

즉 올림픽 구경을 불허당했더라는 밴쿠버 내 아메리칸 인디언들의 이야기.

 

그런 와중에서도 '친정부 성향'이 득이 되리라 (잘못)판단하는 상당수 족장들은

폐회식 행사 때 스스로 들러리를 서주러 나가

밴쿠버 시의 문화적 역량을 대내외적으로 과시하는 데 일조해주더라는 얘기..

 

사실 따지고 보면

오늘날 횡행하는 이분법적 편협함의 사상적 시원이라 할 서방권에서

스스로 자랑하고, 또 그렇게들 알아서 알아주는 다문화주의적 관용의 속내란 게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선 이랬던 거구나, 싶었다고 하겠다.

이런 식으로, 밴쿠버 올림픽은 "세계인"의 축제가 됐던 거다. 흣.

 

아픈 만큼 성숙해지는 게 아니라,

아픈 건 그때마다 늘 아픈 거라는 노희경 작가의 말마따나,

익히 알고 있는 거라곤 해도,

이런 류의 얘길 들을 때마다 씁쓸한 실소가 터지는 건 어쩔 수가 없는 것 같다.

 

 

아래 글은, 같이 얘길 듣던 한 선배가 이 내용을 바탕으로 쓴 투고용 원고다.

<인권오름>에 실릴 원고 마감을 앞두고 초조해 하던 그로선,

가뭄 와중의 단비 같았다고나 할까.ㅎ

 

 

근데..

이 또한 새삼스런 얘기겠지만, 대체 언제부터,

도대체 뭐가 좋고 또 뭘 그렇게 영광을 보자고,

(대체로 소수인) 누군가의 감동과 기쁨의 눈물이,

(대체로 다수 내지 대다수인) 다른 누군가의 울분과 슬픔의 눈물을 부르지 않으면,

외려 그게 이상하고, 심지어 희한한 것처럼 돼버렸는지..

 

대체 언제까지,

우리가 누려 마땅한 기쁨의 감각과 욕망들이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기쁨과 슬픔을 제로섬적으로 옭아매는 제도들 때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내적인 찢어짐'에 시달려야 하는 건지.

 

이런 걸 자유와 번영의 길이라며 권장하는

세계 내지 사회적 제도의 발전이 왜, 누구 좋자고 지속가능해야 하는 건지, 참..ㅜ

 

***

 

 

나는 올림픽을 보지 않는다. '대한민국'이 금을 몇 개를 땄는지, 어떤 선수가 어떤 기록을 새웠는지, 금메달을 따면 준다는 아파트나 보상금 따위도 나에겐 관심 밖이다. 아니다. 사실 올림픽에 관심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불편함을 비켜가고자 하는 관심이 있다. 우연히 올림픽과 관련한 소식이 나오면 채널을 재빨리 바꾸거나 아예 티브이를 꺼 버리는 정도의 관심 말이다. 그러고 보니 나는 모든 국제경기와 프로스포츠와 담을 쌓고 지낸다.

 

캐나다에 한 달간 여행을 다녀온 친구를 만났다. 동계올림픽을 치루기 위해 캐나다의 원주민(원주민이란 말이 싫은데 뭐라고 불러야 할지 모르겠다)들이 그렇지 않아도 게토화된 곳 내에서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들었다. 죽거나 방치되거나. 혹은 그 반대이거나. 특히 올림픽이 진행되는 동안 이 거리의 노숙자들은 새벽2시~7시까지만 잠을 잘 수 있었다고 한다. 그 이후엔 어떻게 되냐고? 잡혀가게 된단다. 거리에서 잠을 자는 것이 보기에 좋지 않다는 게 이유다. 해마다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치지만 경찰은 관심이 없고, 올림픽 때문에 거주지에서 밀려나거나 그나마 단속이 더 심해지다 보니, 이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분노는 이미 극에 달해 있더라고 했다. 더 심각한 건 이런 주민들의 반발과 분노에 대해 관심조차 없다는 거다. 시위 중 건물이나 물건을 부수는 일이 있다고 해도 언론에는 한 줄 기사마저 보도가 안 되고, 오히려 간혹 있는 평화적 시위에 대해서만 보도가 된다는 것이다. 참나!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치워버리고 싶을 때는 언제든 치워두고, 그러면서 착한 척, 세련된 척하려는 그 기만에 어이가 없었다! 얘기를 전한 친구는, 마침 지나가는 길에서 군중들의 시위가 있어 함께 할 수 있었다고.

 

친구의 이야기를 들으며 함께 분노하던 나는 팔팔올림픽 때문에 고통을 겪어야 했던 무수히 많은 사람들을 떠올렸다. '상계동올림픽'이라는 다큐멘터리를 통해 올림픽이 끝난 몇 년 후 그 사실을 알게 되었던 나는 그 후 다시는 국제 스포츠 경기를, 프로스포츠를 보지 않았다. 아니, 볼 수가 없었다.

 

내가 더 빛나고 화려한 것에 끌려 있는 동안 버려지고, 방치되고, 치워져버리는 '사람들과 존재들'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그것은 나에겐 너무나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또한 그것은 자연스럽고도 당연하게도 타인의 성공한 인생에 열광하는 광기어린 사람들의 모습에 대한 환멸로 이어졌다. (물론 그렇지 않은 분들께는 양해를 구한다.)

 

아! 내가 올림픽 등 각종 국제경기나 프로스포츠를 그렇게 생각한다고 해서 모두들 나와 같이 느껴야 한다거나 그렇게 느끼지 않으면 문제가 있다거나 이런 말을 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만, 나는 이해가 안 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 외면하는 것과 모른다는 것은 얼마나 차이가 있는 것일까? 혹은 알면서도 무시 가능함이란 얼마나, 혹은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마음속을 구획지어 여기서부터 여기까지는 뛰어난 선수에 대한 순수한 응원이고, 여기서부터 여기까지는 스포츠자본에 대한 거부감이니까 구별하고, 이런 것이 가능한 것일까? 혹은 가능하다 하더라도 그것은 좋은 것일까?

 

이런 이야기를 하면 나에겐 어김없이 설명해야 할 의무와 분위기를 망치지 않을 만큼의 절충점을 제시할 과제가 주어진다. 불편한 사람은 자신의 불편함을 설명하기 위해 너무 많은 에너지와 스트레스를 감수해야 하는 불합리가 남게 된다. 이 경우도 불편한 사람(불편함을 말한 사람은 그 자신이 불편한 존재가 된다)이 무시되지 않는 경우에나 그렇다. 나는 불편한 사람이 되어 방치되거나 치워진다.

 

뭐, 상관없다고 생각하지만 이런 식으로 불편한 존재들을 치우게 되면 얼마나 남을까?하는 궁금증은 생긴다. 하긴, 여기는 '대한민국'이니 나 같은 사람이 적어서 별 상관없다고 생각하겠지? 헉! 혹시, 이런 생각도 하지 않을 것 같다는 무서운 생각이...내가 생각하기에 생각이란 관심에서부터 나오는 것이니 말이다. 음...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3/11 18:53 2010/03/11 18:53
http://blog.jinbo.net/redivy/trackback/144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1. 디디 2010/03/12 08:5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나도, 지금까지 (어쩌다보니) 김연아의 피겨를 한번도 보지 못했었는데, 벤쿠버 올림픽을 정점으로, 의식적으로 피하고 있는 나를 발견. 교무실에서 김연아 얘기가 터져나올 때마다, 불편한 사람이며, 아마도 불편하게하는 사람일 나를 발견. 크

    • 들사람 2010/03/12 18:54  댓글주소  수정/삭제

      짬이 없긴 했지만, 김연아씨 자체에 대해서도, 그가 일기에 남긴 말이랄까, 평소 하던 생각의 일단들을 가지고 해볼 얘기가 꽤 많지 싶던데.. 주류 대중매체에서 기억하려는 김연아와, 김연아 스스로 기억되고 싶었던 김연아 자신 사이에 만만치 않은 모순이랄까 긴장이 엿보였던 것 같아서. 김연아가 일테면 김용철씨 같아지길 바라는 건 아무래도 과욕일란가 몰겠지만, 암튼 여기에 좀 확대경을 들이밀고 싶었는데..뭐ㅜ;

  2. 라브 2010/03/12 19:17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김연아씨(;;;라고 부르려니 간지럽)가 자서전에 쓴 내용이 인상적이었는데...자기가 주목 받기 시작하고 어느날 은메달을 땄는데 아무도 축하해주지 않았다고, 자긴 축하를 진정 원했는데 모두 '위로'를 해 줬다고......자기가 은메달을 딴 게 왜 위로받아야하는 건지 모르겠다 뭐 이런 내용이 있더라구요. 거기서 뭔가 '대중매체에서 기억하려는 김연아'와의 괴리를 좀 느낄 수 있었달까요.

    • 들사람 2010/03/12 19:52  댓글주소  수정/삭제

      그런가요.ㅋ; 일종의 낯설게하기라고 봐주셈.

      그쵸. 침소봉대일진 몰라도, 그런 경험이 어쩌면 김연아조차 피겨라는 활동 속에서 느꼈거나 느끼게 될 일종의 '소외'일 텐데요. 모르죠. 잘 하면, 밴쿠버의 아메리칸 인디언이 겪는 소외와 김연아가 좋든 싫든 겪는 소외가 공명할는지도요. 다루기에 따라, 피겨를 하는 김연아는 어차피 삼성 광고모델이니까 '저들(혹은 "적")'이란 식으로만 치부할 수 없는 이야깃거리가 있다고 보는 거죠. 아마도, 좌파적 마인드로 대중적 개입을 한다는 것도 올림픽(방송) 같은 이윤기계에 포획되거나 은폐돼버리는 이런 감정의 결을 어떻게 다루고, 살리느냐에 성패가 달렸지 싶어요.

    • NeoPool 2010/03/13 15:32  댓글주소  수정/삭제

      끄아아, "좌파적 마인드로 대중적 개입을 한다는 것도 올림픽(방송) 같은 이윤기계에 포획되거나 은폐되어버리는 이런 감정의 결을 어떻게 다루고, 살리느냐에 성패가 달렸지 싶다"는 들사람님의 말씀에 깊이 공감합니다.

    • 들사람 2010/03/14 01:09  댓글주소  수정/삭제

      공감해주시니, 저야 무척 감사한 일이고..^^ 네오풀님이 모쪼록 앞장서주시길.ㅎ 어쩜 제가 대체로 이른바 '거대담론' 위주로 꽂히다 보니, 저한테 없거나 크게 부족한 걸 아쉬워하는 걸지도 모르겠어여.ㅜ 어쨌거나, '거대담론'과 소소한 일상이 행복하게 만나는 거, 안 해서 못 하는 거지, 못 해서 안 하는 건 확실히 아니지 싶어요.

  3. 에밀리오 2010/03/14 23:3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이런건 신경 안 쓰고 그저 금금금 이런 소리만 하고 있으니 ㅠ_ㅠ 감동과 눈물이 어쩌고 하는거도 안타깝고... 음! 그건 그렇고 +_+ 외국의 좌파 대학 등에 대해서는 우째 그리 잘 알고 계신가요? +_+ 정보 공유 좀~ (굽신굽신~ @_@)

    • 들사람 2010/03/15 17:26  댓글주소  수정/삭제

      "우째 그리 잘"이라 하시면..(__ );; 특정 대학을 콕 집어 거명했을 뿐인데여 뭐..ㅎ 전혀 그렇지 않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