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을 다루면서 유럽이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만든 식민체제가 없던 것을 새로 만든 게 아니라 서유럽이 동유럽과 맺었던 관계나 이탈리아가 지중해 지역에서 식민지를 건설하고 장사를 하는 시스템을 확대한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면서 "이런 생각에서 유럽사 내부가 아니라 유럽과 다른 지역과의 관계로 외연을 넓혀 공부해보고 싶은 생각이 있었다"고 했다.

-주경철 서울대 교수, <경향신문> "한국의 파워라이터" 인터뷰 기사 중에서
.

 




아닌 게 아니라, 이른바 보편성-특수성 테제로는, 여러 권역에서 이뤄진 근대자본주의 세계의 발전 궤적을 오롯이 다룰 수 없는 거야 둘째 치고, 이 테제로 곧잘 옹호하려고들 드는 자유(민주)주의 담론/현실의 얼개조차 제대로 알 수 없는 게 아닐까.

바꿔 말하면 가령 근대일본령 조선이나 오키나와, 홋카이도, 지금의 중국 동북부와 남동연안 지역 같은 데서 19세기 후반~20세기에 벌어진 동아시아의 (준)식민지적 근대화 과정 또한 '세계사적 발전'의 겉저리(=외부)나 일탈, 왜곡, 파행, 심지어 '낙오'니 지체 따위로 볼 수 없으며, 그렇게 봐선 아니아니 아니 될 일이란 얘기겄다. 되려, 그간 '발전'과 '진보'를 거듭해왔다고들 하는 역사적 자본주의 체제의 필수적 구성분으로 다시 봐야 하는 거면 모를까.

사정이 이렇다면, 지난 세기 탈식민지 주권국가 체제로의 재편 이후와 그 이전의 '연속과 단절'에 대한 이론화, 역사화 작업이야말로 얼마나 조각나고 지체돼 있었던 건지.

대한민국산(혹은 자유대한산) 주류 사회과학계야 근대성 이데올로기의 주요 버팀목 중 하나인 (특히나 미국산) 보편-특수 테제와 자신의 입지를 철저히 동일시해왔으니 워낙에 그렇다 치고, 이른바 비판적이고 좌파적이라는 역사/사회과학계로만 국한해 봐도 그렇다. 뭐랄까, 여기저기 때깔 좋게 차려논 잔칫상이니 눈여겨볼 만한 밥상들이 그간 적잖았는데도, 어째 '배고픔'은 여전하고 맛도, 포만감도 좀체 느끼기 어렵다고 할까.ㅋ

끽해야, '근대 적응과 근대 극복의 이중과제' 운운하지만 사실상 '극복 없는 적응주의'로 가닥 잡힌 창비 쪽 얘기 안에서 맞네 틀리네 하고 있거나, 가령 이영훈과 허수열 같은 경제사 연구자들 사이에 벌어졌던 '드잡이질'이 본의 아니게 보여줬듯이 식민지적 근대화나 근대 권력-축적양식의 식민성 같은 말이 (필시 보편-특수 테제를 우습게 만드는 '지적 불경'을 저질렀단 암묵적 전제하에) 어불성설이네 아니네 왈가왈부하는 정도니 뭐.. 하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4/23 23:26 2012/04/23 23:26
http://blog.jinbo.net/redivy/trackback/200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