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개혁 세력 교체론'을 통해 정치지형을 '보수-진보 전선'으로 구축하겠다던 민주노동당이 목표 달성에 실패, 퇴조세를 보였다. 광역단체장은 물론 기초단체장마저 기존에 울산 동구 북구청장 두자리를 모두 내준 채 전국에서 단 한 곳에서도 승리하지 못했고, 득표율도 목표치에 크게 밑돌았다.
민주노동당은 이번 5.31선거에서 정당 득표율 15%, 지방의원은 현재의 44명(광역 11, 기초 33)에서 모두 2백명(광역 20~30명, 기초 1백70~1백80명)으로 크게 늘린다는 계획이었다. 민노당의 2002년 6.13 지방선거 정당 득표율은 8.1% , 2004년 17대 총선 득표율은 12%. 그러나 이번 5.31 선거에서는 10%를 겨우 상회했다. 17대 총선과 비교하면 분명 퇴보다.
문성현 민주노동당 대표는 이번 선거 부진과 관련, "이번 선거는 열린우리당에 대한 심판적인 성격이 크지만, 민주노동당이 대안적인 내용을 알리지 못한 측면도 있다"고 내부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당의 싱크탱크로 불리는 진보정치연구소 김윤철 연구실장도 "지역과는 달리 중앙이 지방선거에 대한 준비가 미흡했다는 것이 문제"라며 "중반이후에야 진보세력 교체론이 나오기는 했지만 너무 늦었고 지역 후보와 중앙당을 아우르는 연결패키지 전략이 부재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선거구호 기조가 중앙당으로부터 내려왔지만 쓸모없는 것이었거나 뒤늦은 것이었다"며 "울산 시장에 출마한 노옥희 후보의 경우 중앙당이 보내준 복지 이슈를 제기했으나 정규직에게 만큼은 복지가 철저한 기업도시의 대명사 울산과는 상당 부분 거리가 있었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뿌리깊은 당내 분파 갈등도 한 요인으로 지적된다. 이번 선거에 비지도부 계열은 선거전에 대거 불참했다. 경남도지사 후보에 출마한 문성현 당 대표는 선거운동에 바빠 당내 계파간 갈등을 조정하는 데 소홀했다.
이밖에 노회찬 등 당내 유명스타 의원들이 서울시 등 주요 광역단체장 선거에 출마, 비록 본인은 낙마하더라도 당의 득표율을 끌어올려야 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보다 큰 원인은 최근 잇따라 발생한 민노총 스캔들 등으로 국민 사이에 확산된 노동운동 및 진보 진영에 대한 불신감에서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그렇지 않을 경우 자칫 열린우리당 참패와 맞물려 전반적인 진보 진영 퇴조의 쓰나미에 함께 휘말릴 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많다.
민노당에서도 앞으로 상당기간 이번 선거 패배 원인을 둘러싸고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심형준 기자 |
최근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