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상 님과 토론중 3

조지스트와의 대화

김윤상 님과 토론중입니다. 김윤상 님의 글은 파란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나머지는 내 글입니다.

 

1. >무슨 뜻인지요? 전가라는 용어는 세부담이 다른 쪽으로 이동하는 걸 말하는 것 아닌가요? (이런 표현을 보면 서로 용어와 전제가 상당히 달라 토론이 어렵지 않나 하는 추측을 하게 됩니다.)

->지대세 자체는 땅주인이 내지만 그 실제 부담은 노동자와 임차인이 진다는 것입니다. 됐습니까? (이 정도는 문맥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 아닌지?)


2. > 저는 지대조세제가 더 낫다고 한 게 아니라, 전가라는 면에서는 공공임대제라고 더 나을 게 없다고 했을 뿐입니다. 현실적 집행의 난이도에 차이가 없다면 저는 지대조세제나 공공임대제나 다 좋다고 봅니다. (상대방이 주장하지 않은 것을 비판하는 오류를 논리학에서 허수아비 치기라고 합니다.)
3. > 공짜돈은 우리의 토론 주제가 아니지만, 게젤의 주장이 맞다면 공공임대제는 공짜돈 개혁과 병행할 때 지대조세제보다 낫다고 해야 하겠지요. 아마도 이런 정도에서 토론을 종결해도 좋지 않을까요? 성의를 보여주어 고맙습니다.

->"게젤 논리가 어떻든, 소수의 임차인이 시장을 지배하므로 양쪽 다 전가된다." 이런 뜻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소수의 임차인이 시장을 지배하는 건 토지제도 문제가 아니라 화폐제도 문제입니다. 님이 제시한 예에서 소수의 임차인이 시장을 지배하는 이유는,
그들이 돈을 쌓아두고 재화와 교환할 수 있는 시간을 맘대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많은 돈을 쌓아둘 수 있는 것은 많은 거래를 끊어버릴 수 있는 힘을 가진 것과 같다. 그 돈은 원래 계속 순환하면서 교환을 매개해야 하는데, 그 흐름을 끊어버리거나 다시 이을 수 있는 힘이 돈소유자한테 있는 것. 그런 힘은 돈 액면가가 불변하는 성질에서 비롯한다. 다른 재화처럼 낡고 닳고 썩고 보관료가 드는 등 비용이 소모된다면 반드시 교환되어야 하겠지만 그런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바로 교환되어야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스탬프머니 등의 방법으로 돈 액면가를 정기적으로 감가상각한다면 돈이 모두 계속 규칙적으로 순환하고 돈이 많은 곳에서 적은 곳으로 흘러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소수의 경제주체가 대부분의 거래를 독과점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래서 김윤상 님이 제시한 예는 토지제도가 아니라 화폐제도의 문제이며, 돈을 개혁해야 해결된다...는 얘기입니다.

그리고 화폐제도 문제를 해결해도 토지제도의 문제가 남습니다. 이 두 가지 문제는 별개입니다. 즉 돈을 개혁해서 소수가 시장을 지배하는 일이 없도록 만들어도 땅사유권이 문제를 만들어낸다는 것입니다.

땅사유권을 남겨두고 지대조세제를 하면 지대세 수익을 '공짜땅에서 얻을 수 있는 노동대가'를 늘리는데 사용하지 않는 한 지대세 부담이 떠넘겨질 수 있다. 공공임대제는 그런 문제가 없다.

김윤상 님은 이에 대하여 아직 반론을 하지 않았습니다. 님은 새로운 의견을 더했을 뿐 게젤의 논리 자체에 대하여 반론을 한 게 아닙니다. 그리고 새로 더한 의견, 즉 소수가 시장을 지배하는 문제는 토지문제와 별개로 다루어져야 합니다. 이자, 실업, 경제위기 등에서도 실비오 게젤과 헨리 조지가 의견이 갈리는데 이에 대해서도 님은 아직 반론을 하지 않았습니다.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 Licens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6/06/13 22:12 2016/06/13 22:12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silviogesell/trackback/220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