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컨퍼런스, 원고모집, 교수채용 공고 등 목록

[Call for Papers]SPECIAL ISSUE OF NEW MEDIA AND SOCIETY: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DEVELOPING WORLD

CALL FOR PAPERS

SPECIAL ISSUE OF NEW MEDIA AND SOCIETY: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DEVELOPING WORLD

Rich Ling & Heather A. Horst, guest editors

We are seeking papers for a special edition of the journal New Media & Society focusing on mobile communication and media, and its impact on the developing world. We are interested in papers that empirically describe the use of mobile practices as well as the convergence of mobile and other platforms in the developing world (e.g. Africa, Asia, Latin America, Eastern Europe or other locations in the "global south"). Successful papers will examine the integration and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ts implication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n individuals' lives. We are seeking papers that investigate the global as well as the local appropriations of mobile media use and its relationship to social change and/or development. Papers might address issues such as:

*    What are the social, cultural, gender related and political dimensions of mobile communication in the developing world?
*    What are the determinants, obstacles and implications of the adoption and use of mobile communications?
*    What are the dimensions of inequalities and how does mobile communication address these inequalities? 
*    How does mobile communication facilitate activities such as care giving, coordination, social cohesion, money transfer, commerce, locally and globally?   
Submissions may be in the form of empirical research studies or theory-building papers and should be 5000 - 7000 words (in English). Papers must reflect new scholarship and not have been previously published (it is possible to submit revised conference papers). Authors interested in submitting to the special issue should send their 200-word abstract to either guest editor (Rich Ling or Heather Horst) on or before 1 March 2009.  A sub-set of these abstracts will be selected for further development. Papers based on the abstracts that have been accepted for further consideration, will be due on 15 July 2009. Authors of papers selected for formal review may be invited to participate in a Pre-Conference Workshop at Association of Internet Research meetings on 7 October 2009 in Milwaukee, Wisconsin USA.

About the editors of this NM&S special issue:

Rich Ling (richard.ling@telenor.com) is a sociologist at Telenor's research institute located near Oslo, Norway, and a guest Professor at the IT University of Copenhagen. He has also been the Pohs visiting professor of communicatio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He is the author of the recently published book New Tech, New Ties: How Mobile communication is reshaping social cohesion as well as The Mobile Connection: The cell phone's impact on society, and along with Scott Campbell he is the editor of The Reconstruction of Space and Tim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Practices. For the past fifteen years, he has worked in the research arm of Telenor and has been active in researching issues associated with new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ociety with a particular focus on mobile telephony.

Heather A. Horst (hhorst@uci.edu) is a sociocultural anthropologist at the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She is the co-author (with Daniel
Miller) of The Cell Phone: An Anthropology of Communication that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mobile phones for development in Jamaica and is co-author with Mizuko Ito, et al. of a forthcoming book published by MIT Press, entitled Hanging Out, Messing Around and Geeking Out: Living and Learning with New Media  She received her Ph. D. in Social Anthropology from University College London. Before joining UCHRI, she worked as a research fellow at the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 and University College London and a postdoctoral scholar at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and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where her focus has been on the appropriation of new media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Jamaica and the United State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공모] ≪방송문화연구≫ 제21권1호 기획논문 및 일반 연구논문 공모

<안내> 한국방송공사 ≪방송문화연구≫ 제21권1호 기획논문 및 일반 연구논문 공모
 
1. 회원님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방송공사에서는 등재학술지≪방송문화연구≫ 2009년 제21권1호 기획논문 및 일반 연구논문 공모를 <다 음>과 같이 공모합니다.
 
 
< 다    음 >
 
1. 기획논문
한국방송공사에서 발행하는 ≪방송문화연구≫ 2009년 제21권1호(6월 30일 발행)는 특집으로 ‘미디어 환경변화와 방송뉴스의 위상과 역할’을 기획하였습니다. 관심 있는 미디어 종사자와 언론학자들께서는 관련 연구주제들에 관해 연구개요와 방법론, 그리고 연구내용을 담아 A4 용지 2~3매 정도의 분량의 지원서를 오는 1월 30일(금)까지 book@kbs.co.kr로 접수해주시기 바랍니다.
기안서가 채택된 연구자들께서는 2009년 3월 30일까지 가본을 제출하셔야 하며, 완성된 원고는 일반 연구논문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심사과정을 거치며 최종원고 접수일은 4월30일입니다.

<연구주제>
"미디어 환경변화와 방송뉴스의 위상과 역할"
포털 등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뉴스의 확산이 일상적인 현상이 됨에 따라 방송뉴스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해봐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기존 매체와의 속보성 경쟁에서 벗어나 방송 매체가 가지고 있는 상대적 이점을 최대화하여, 시청자의 알 권리와 복지를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방송뉴스의 역할 정립이 무엇보다 시급한 시기입니다. 따라서 《방송문화연구》에서는 방송뉴스의 취재, 편집, 편성 등 생산현장에서의 전 과정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논문들을 공모해 다매체 환경에서의 방송뉴스의 위상과 역할을 총체적으로 정립해보고자 합니다.

<세부주제>
주제 1 : 지상파방송 뉴스의 미래
새로운 매체 환경에서 지상파 방송 뉴스의 현재는 어떠하며 미래는 어떠할 것인지에 대한 분석 연구.
주제 2 : 방송뉴스의 생산과정 연구
아이템 선정, 취재, 편집 등 방송뉴스의 생산관행을 고찰해보는 연구 또는 그런 고찰 과정을 통해 개선점을 찾아내어 새로운 매체 환경에 맞는 생산 방식을 제안해볼 수 있는 연구.
주제 3 : 방송뉴스의 포맷 연구
방송뉴스의 포맷을 분석한 연구 또는 그런 분석을 통해 다매체 환경에 맞는 뉴스포맷을 제안해볼 수 있는 연구.
주제 4 : 방송사 보도국의 조직 구성 연구
지난 몇 년간 방송사 보도국이 부서제에서 팀제, 전문기자제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해왔다. 이런 조직 변화가 뉴스생산에 미친 영향을 고찰한 연구 또는 새로운 매체 환경과 급변하는 사회현실을 고려하여, 시청자들에게 좀 더 알찬 뉴스를 생산할 수 있는 보도국의 조직 구성을 제안할 수 있는 연구.
주제 5 : 방송기자의 역할 연구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방송기자의 역할 변화를 고찰해보는 연구 또는 방송뉴스   의 객관성과 공정성, 시청자 복지 향상을 위한 방송기자의 역할을 제시하는 연구
주제 6 : 방송뉴스에서의 시민(기자)의 역할 연구
방송뉴스 생산 과정에서의 시민 참여를 고찰해보는 연구나 방송뉴스를 생산하는 시민기자들의 역할과 의미를 고찰해보는 연구

※ 이 밖에도 방송 뉴스 편집이나 뉴스 영상, 뉴스 리포트 구성방식, 방송사 보도국내의 여기자와 남기자의 역할과 위상, 방송사 보도국의 조직문화, 방송기자 선발방식 등 방송뉴스 생산과정과 방송사 보도국의 다양한 특성을 고찰하는 논문 모두 환영합니다.  
 .............................................................

2. 일반 연구논문
(1) 논문 주제 : 방송이론, 정책, 운영과 편성, 산업, 수용자, 방송 문화, 방송 기술 등
직접적으로 방송과 관련된 영역과,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뉴미디어 영역 포함.
(2) 응모 자격 : 방송ㆍ언론 관련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언론계 종사자를 원칙으로 함.
(3) 논문 작성 : 《방송문화연구》 논문작성 규정(http://book.kbs.co.kr)을 따름.
(4) 원고 분량 : 200자 원고지 기준 130~150매
(5) 논문 심사 : 편집위원회가 의뢰한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진을 통한 공정한 심사.
(6) 논문 접수 : book@kbs.co.kr
(7) 원고 마감 : 2009년 4월 30일
(8) 채택된 논문에 대해서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함.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Call for Papers] Digital Media Technologies Revisited

Call for Papers:

Digital Media Technologies Revisited: Theorising social relations,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A two-day conference co-organised by the

ECREA Digital Culture & Communication (DCC) section,

the DGPuK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section and

the DGPuK Media Sociology (MS) section

with support from the Centre for Material Digital Culture (DMDC),
University of Sussex, UK

and the COST 298: Participation in the Broadband Society network

Place: University of the Arts, Berlin, Germany

Dates: Nov. 20-21, 2009

Topic:

This two-day conference on ’Digital Technologies Revisited’ aims to
understand contemporary developments in digital media and digital media
theory by looking backwards as well as forwards. We set out to explore
an in-between time: a time, when much of the hype concerning digital
media has died down, much research material has been gathered and
analyzed and quite a bit about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digital media (especially in comparison to older media forms) has been
understood.

Far from a communication revolution, the media landscape has nonetheless
changed substantially in recent years. In fact, we have undergone a
process of diffusion and appropriation: digital media have become an
important and ever-increasing part of our everyday lives. They suffuse
our communication,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spheres. Not
surprisingly, the perceived connection between the internet and many
areas of social life, from work to play, has steadily increased in
recent years. However, even as digital media become pervasive,
ubiquitous, common and mundane, innovation continues to become an
integral characteristic of digital media forms, the proliferation of
which is challenging to map.

We would therefore like to return to earlier models and theories that
attempted to explain new (digital) media in its ’first wave’ forms.
Additionally, we would like to address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alterations and additions can be used to adapt existing models and
theories for current purposes (e.g. mediated person-to-person
communication; para-social interactions with virtual agents;
pseudo-social interactions with intelligent machines, etc.).

The range of models and theories that can be used, re-visited, or
adapted is wide (i.e. traditional communication studies models, cultural
studies theories, sociology and others). We want to encourage papers
that explore tensions between older and new approaches and older and
newer ‚new media’ formations. Where has there been movement, where not,
and are there in fact new theories emerging?

The social world sits at the heart of these diverse concerns. Social
relations,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are at the heart of our
questions. Within this focus, the possible range of theories and methods
used, is wide. The following provides the range of angles that we propose:

- HCI revisited:
Human-computer-interaction was an early forerunner concerning questions
of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computers (as well as, eventually,
humans via computers). What do we know of these relationships by now?
How do they differ from other human-object relationships? And how do
developments in these fields continue to inform, intersect and diverge
from the social life of digital media forms?

- Virtual reality and AI re-thought:
Virtual reality and AI frameworks are another reference point that
dominated earlier cybercultural theory, and design. What was specific
about these moments and intersections? Why have these frameworks become
less used by technocultural theory (at least for more popular
theorizations)? What has survived in terms of virtual reality and AI
concepts in contemporary formations such as Web 2.0, Facebook and Second
Life?

- Disappearance of the machine – ubiquity, ambience and similar
approaches
A more recent development has been around the merging of machines, and
computational architecture with our environments. Thinking about
pervasive computing, sense perception and intimate technologie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as frameworks for analysis. Where are they at in
terms of the current state of development? And what consequences would
these have for existing theoretical approaches (e.g. of appropriation of
media technologies) and questions of power? What happens to ethical and
political issues, such as privacy, monitoring, etc.? What does pervasive
computing mean for our relationships with machines?

- Identities 4.0?
Identity was a much discussed topic in early web discourses. It is one
that keeps returning in new disguises. Identity, it seems, has survived
the ’post’ in identity politics. However, the valences of identity are
now much more negative than the more utopic versions that proliferated
in early digital media cultures. Identity categories have proliferated,
and the intersections of race, nation, class, gender, sexuality and
belief play a part in generating insecurity and a lack of trust between
citizens, denizens and racialized others, the adult world and ‘youth’,
or children and potential ‘paedophiles’. Can early theorizations of
identity and digital media be brought to bear on contemporary
experiences and what would these look like?

- Bodies
Community, identity and the body were the tripartite features of digital
media theory in the 1990s. Whist community has been reformulated as SL
and social networking, and identity continues to return, the body has
also become an increasingly urgent site of enquiry as convergences of
informational and biotechnological practices of body knowledge become
materialized through digital media practices. These intersections offer
up questions about the precise contours of current biodigital identity
in the form of intersecting DNA databases, personal genomes, and
biometrics. What approaches and questions can address these informatic
corporealisations and their intersection with everyday life worlds?

- Mass media, journalism and public communication
Since the mid-1990s, a broad corpus of theories on the production,
dissemination, reception, and the public and/or personal impact of
online mass media has evolved in the social sciences. How do
journalists’ routines change in online media? Does the public relevance
of journalistic mass media decrease or increase in present and future
times? How can the (societal) diffusion or (individual) appropriation of
new media developments described or analyzed? What do mass media mean to
the audience, and what are the present and future economic perspectives
of online mass media?

- COST 298
Additionally, COST 298 members are invited to send separate abstracts
for a COST panel. COST 298 is an Action within the intergovernmental
framework for European Co-operation in the field of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 In COST 298 European scientists from
telecommunication research departments, universities and operators
together with independent consultants collaborate in cross-disciplinary
groups to analyze the social dimensions of people’s relationship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COST 298 panel, the
same questions of older models and newer developments that guide the
overall conference are asked more specifically concerning the broadband
society. What have we learned in the last four years of the COST 298
network? Only COST 298 members will be eligible to apply for this panel.

Please submit an extended abstract (700 words max.) by the 31st of
May 2009 (and clearly stating which topic section you would like to
submit this to) to:

Prof. Dr. Maren Hartmann - University of the Arts (UdK) – GWK -
Mierendorffstraße 30 - 10589 Berlin - Germany - Phone: +49 30 3185 2943

Email: hartmann@udk-berlin.d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공모] 인터넷에서의 뉴스의 생산과 유통의 발전 방안

■ 세미나명
'인터넷에서의 뉴스의 생산과 유통의 발전 방안: 매체간 에코시스템 구축과 포털의 책임성 기준 확립을 위하여'
 
■ 내용
 
▷ 공모 주제
 
- 제1주제 : 언론사와 포털의 매체상생을 위한 에코시스템 구축 논의
- 제2주제 : 포털의 적절한 법규범적 책임성 기준 설정을 위한 논의
 
▷ 세미나 예정일 : 2009년 3월 20일(금)
 
▷ 세미나 장소 :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
 
■ 공모방식 : 발제를 희망하시는 분은 2페이지 내외의 연구계획서 및 연구경력서를 작성하시어 학회 홈페이지(www.comm.or.kr)의 공모탭 이용하시거나 학회 이메일(office@comm.or.kr)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발제 신청 마감일 : 2009년 2월 6일(금)
 
■ 문의 및 안내 : 한국언론학회 사무국 office@comm.or.kr, 02-762-6833/723-8350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강좌:저작권을 둘러싼 쟁점들



저작권을 둘러싼 수많은 쟁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 주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저작권을 둘러싼 논의는 창작자에 대한 경제적 보상과 그 방식에 집중되어 있다. 창작에 대한 경제적 보상은 창작의 유발동기이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문화를 즐기고 활성화하기 위해서 반드시 보장되어야 하며, 그것은 강력한 법적(처벌)장치를 통해서만 보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저작권에 대한 강한 이데올로기를 구성하는 두 가지 축일 뿐이다. 이제는 저작권에 대한 왜곡된 담론을 넘어 보다 근본적인 질문들을 던질 때가 되었다. 이렇게 물어보자.

저작권을 통해 실재로 경제적 이익을 얻는 자는 누구인가? 저작권은 왜 저자의 권리(author's right)가 아니라 복제의 권리(copyright)인가? 저작물 혹은 창작물은 왜(그리고 어떻게) 향유의 대상이 아니라 단속의 대상이 되었는가? 과연 특정인이 문화적 생산물에 대한 독점적 소유권을 주장하는 것이 문화를 풍부하게 할 수 있는가? 오히려 문화적 생산물을 함께 공유하고 향유하는 것이 문화를 풍부하게 하는 것은 아닌가? 창작물은 풍부한 문화적 토양 위에서 그것들을 향유함으로써 만들어진 것은 아닌가? 저작물은 완전히 고립된 개인만의 창작물은 아니지 않은가? 그렇다면 저작물의 독점적 소유권자로 상상되는 저자란 무엇인가?

이번 강좌는 위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 질문과 그것에 답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는 저작권과 그것이 놓여 있는 사회적 환경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강 저작권의 철학적 쟁점 : 구텐베르크의 신화, 창작자의 권리와 집합지성(01/7/수)
           신승철 / 홍익대 강사
제2강 저작권의 역사적 형성 : 자본주의의 정보적 확장(01/14/수)
           
민호 / 문화사회연구소 간사
제3강 저작권을 둘러싼 현실적 쟁점 : 법적, 기술적 쟁점(01/21/수)
            오병일 / 정보공유연대 활동가
제4강 대안은 수없이 많다": 해커 공동체에서 정보공유 문화까지(01/28/수)
            조동원 / 미디어 활동가,연구자

* 4강은 저녁 6시에 시작해서 저작권과 관련된 영화를 한 편 본 후 7시에 강의를 시작합니다. (상영작 : 이 영화를 훔쳐라, 60분, 이 영화는 http://stealthisfilm.com에서 다운로드 받아 미리 보실 수 있습니다.)

• 일 시 : 2009년 01월 07일 ~ 01월 28일(매주 수 저녁 7시)
• 장 소 : 문화연대 강의실(지하철 5,6호선 공덕역 4번 출구)
• 문의 및 신청 : 02-745-1603 / cultures21@naver.com
• 수 강 료 : 4만원(문화연대, 정보공유연대 회원 2만원)
• 홈페이지 : http://www.kccs.or.kr(문화사회연구소)http://www.ipleft.or.kr(정보공유연대)
• 입금계좌 : 하나은행 162-910007-32504(예금주: 사단법인 문화사회연구소)
• 주 관 : (사)문화사회연구소
• 공동주최 : (사) 문화사회연구소, 정보공유연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이버인권 보호를 위한 법률 제안2 - 통신비밀보호법

[보도자료] 사이버인권 보호를 위한 법률 제안2 - 통신비밀보호법

수 신 : 각 언론사 사회부, 미디어 담당.
발 신 : 언론사유화저지 및 미디어공공성 확대를 위한 사회행동, 참여연대, 함께하는 시민행동, 민주수호‧촛불탄압저지 비상국민행동
문 의 : 오병일 활동가 (진보네트워크센터, 02-774-4551)
제 목 : [보도자료] 사이버인권 보호를 위한 법률 제안2 - 통신비밀보호법
날 짜 : 2008. 12 . 18.

보 도 협 조 요 청 서


1. 정부와 한나라당은 인터넷 여론을 통제하기 위한 여러 악법들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모니터링 의무화, 임시조치 의무화 등을 내용으로 한 방송통신위원회의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모바일 등의 감청을 강화하고 오로지 범죄 수사를 목적으로 통신기록의 보관을 의무화한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안, 강제적인 인터넷 실명제 확대와 사이버모욕죄 신설 등이 그것입니다. 정부와 한나라당이 추진하고 있는 소위 사이버통제법(사이버모욕죄, 인터넷실명제, 인터넷 감청)은 국민들의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 등 기본적 인권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민주주의를 질식시킬 우려가 있으며, 이에 시민사회단체 뿐만 아니라, 각계 전문가 및 야당에서도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2. 우리 시민사회단체들은 '사이버통제법'에 대한 반대와 동시에, 인터넷의 자유와 민주주의, 사회적 약자들의 인권을 보장할 수 있는 '사이버인권법'을 건설적으로 제안할 것을 밝힌 바 있으며, 지난 12월 3일 민주당 전병헌 의원실과 함께 '사이버인권법 제정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공동 주최하였습니다.

3. 사이버인권 보호를 위한 법률 제안 두번째로, 아래 <별첨>과 같이 '통신비밀보호법'의 개정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합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감청 공화국'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수사기관의 감청이 남발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정부와 한나라당은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을 통해 국가정보원을 비롯한 수사기관의 권한을 강화함으로써 한국 사회를 감시사회로 만들려고 하고 있습니다. 통신비밀보호법은 제목 그대로 국민들의 통신 비밀을 보호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합니다.

4. 많은 관심과 더불어 취재보도를 요청드립니다.


<별첨>
사이버인권 보호를 위한 법률 제안 2
- 통신비밀보호버 개정 제안

■ 감청 제도의 민주적 운영

1. 감청 대상을 줄여야 합니다.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은 280여 개에 해당하는 범죄를 대상으로 감청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국가보안법에 규정된 범죄" 전체를 감청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국가정보원의 감청이 남발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폭넓은 감청 사유를 보장하여 수사기관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라도 감청할 수 있도록 하는 나라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미국 · 독일은 감청 대상 범죄를 10~20개로 제한된 범위 안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룩셈부르크와 프랑스는 장기 2년 이상의 범죄, 이탈리아는 장기 5년 이상의 범죄를 대상으로 감청의 대상을 정하고 있습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는 총기, 약물, 밀입국, 살인과 관련된 조직범죄를 위해서만 감청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는 마약범죄와 조직범죄, 중대 폭력범죄에 한해 감청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감청 방식에 따라 대상범죄가 달라지는 방식으로는 오스트리아가 있는데, 오스트리아는 전화도청은 1년 이상 징역에 처해질 범죄에 대해서, 전자통신의 도청에 대해서는 조직범죄나 10년 이상의 징역에 처해질 범죄에 대해서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통신비밀보호법도 감청 대상 범죄를 최소 2년 이상의 징역에 해당하는 형량을 기준으로 줄여야 합니다.

2. 꼭 필요한 경우에만 감청을 허가해야 합니다.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은 범죄수사를 위하여 피의자가 아닌 피내사자에 대해서도 감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으며 감청 허가 청구서의 기재사항이 구체적이지 않을 뿐더러 허가서 한장에 무려 2개월+2개월(연장) 간 감청할 수 있도록 하여 그 기간이 너무 깁니다. 따라서 피내사자에 대한 감청을 중지하고, 감청 허가 청구서는 "다른 방법으로는 그 범죄의 실행을 저지하거나 범인의 체포 또는 증거의 수집이 현저히 어려운 이유" 등을 보다 상세히 기재하도록 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허가서 한장에 허용되는 감청 기간을 10일+30일(연장)으로 제한해야 합니다.

또한 국가안보를 위한 감청의 경우에도 외국인에 대하여 국가정보원이 법원의 허가 없이 감청할 수 있도록 한 무영장 감청 제도를 폐지하고 그 기간 또한 현행 4개월+4개월(연장)에서 2개월+2개월(연장)으로 제한해야 합니다.

3. 법원의 허가 없는 긴급 감청을 폐지해야 합니다.

수사기관이나 국가정보원이 감청하려면 법원의 허가를 받도록 했으면서도 "급하면 나중에 허가 받으라"고 한다면 그 제도의 취지가 제대로 살겠습니까? 많은 수사기관이 이 제도를 허가없는 감청을 위하여 오남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현재 36시간까지는 법원의 허가없이 감청할 수 있도록 한 "긴급 감청" 제도는 순전히 수사기관의 편의를 위해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제도로서 즉각 삭제돼야 합니다.

4. 감청의 집행을 엄격히 감독해야 합니다.

감청 집행시 허가서 표지뿐 아니라 허가서 전체를 제시하도록 하고, 집행 동안 입회인을 두어 감청의 오남용 소지를 줄이는 한편, 감청 내용을 상세히 기록하고 법원에 의해 관리되도록 하며, 집행이 끝나면 감청 대상자에게 예외없이 상세히 통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제도의 민주적 운영

1. 통신사실확인자료는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관하지 말아야 합니다.

헌법에서 보호하고 있는 통신비밀의 권리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통화내역, 인터넷 IP주소 등 통신사실확인자료는 서비스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관하지 말아야 합니다. 특히 수사기관의 편의를 위하여 모든 통신 이용자의 기록을 오랜 기간 보관토록 하는 것은 모든 국민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하는 것으로서 결코 용인될 수 없습니다.

2. 통신사실확인자료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제공돼야 합니다.

통화내역, 인터넷 IP주소 등 통신사실확인자료의 경우 "필요한 경우" 요청할 수 있도록 하여 오남용 소지가 높습니다. 수사기관이 통신사실확인자료의 제공을 요청할 때 법원에 의해 허가를 받도록 한 것은 통신사실확인자료도 엄격한 통신의 비밀이 보호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현재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건수가 1백만 건에 육박한다는 점은 실제로 이 제도가 수사기관에 의해 오남용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피의자가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수사 또는 형의 집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 명확히 명시하고 법원에 허가를 요청할 때도 해당 피의자의 범죄혐의를 소명할 자료 등을 상세히 제출하도록 해야 합니다.

3. 긴급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제도를 폐지하고 국가정보원도 법원의 허가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긴급한 경우 법원의 허가를 사후에 받을 수 있도록 한 긴급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제도는 폐지해야 합니다. 또한 국가안보를 위한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의 경우 국가정보원이 법원의 허가 없이 요청할 수 있도록 한 현행 제도를 개선하여 국가정보원도 법원의 허가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진보적 사회운동진영의 소통방식
참세상뉴스(http://news.jinbo.net)
참세상공동체(http://bbs.jinbo.net)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