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의 사생활과 정치

정치인들의 '친자녀'가 강조되는 건 분명 '수신제가치국평천하' 같은 헛소리와 맞닿아 있다. 하지만 이런 종류의 문제가 모두 가부장적 윤리를 둘러싸고 이루어져 결국 이를 강화하는 것일까에 대해서는 고민이 든다. 
사회적으로 자신이 돌봄을 받아야 하거나 자신이 돌봐야 하는 관계는 자의적으로 선택할 수 없다. 그 관계는 그 사회가 얼마나 공적으로 이를 짊어지려 하는지에 따라서도 다르고 개인이 얽혀있는 가족관계에 따라서도 다르다. 그리고 이로부터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선택의 여지도 성별에 따라, 계급에 따라, 그리고 또 무언가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 누군가를 돌보아야할 관계가 형성된 상황에서 돌봄의 관계를 회피하는 선택을 할 수 있었고 또 그렇게 선택했다는 것에 대한 평가를 피하는 것은 오히려 그 선택이 나타내는 사회적 관계를 가리는 것일 수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이주노동의 확대가 낳은 '제3세계' 돌봄노동의 공백을 누가 어떻게 보충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 어떤 선택들이 나타나는지를 살피는 것은 분명히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문제일 것이다. 예를 들어 자기 인생에 걸림돌이 되니까 '친자'임을 부정하여 그 '자녀'들이 기본적인 사회보장도 받지 못하게 내버려두는 '코피노'들의 아버지들도 그렇다.
어디까지가 '한국적'인 현상인지 모르겠지만, 이에 대한 비판이 엄격한 공사 이분법으로 나아가는 것도 대안적이지는 않은 것 같다. 그 이분법 위에서는 가부장제의 모습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오히려 잘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
2014/06/07 22:49 2014/06/07 22:49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tightrope/trackback/183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