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문의 신해혁명이 위대한 이유
‘혁명의 나라’ 중국을 분석한다 - ⑥

청나라 왕조가 서류상으로 망한 것은 선통제 푸이가 공식 퇴위를 선언한 1912년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2차 아편전쟁에 패한 1860년에 이미 망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정확히 표현해서 청나라는 1860년부터 본격적으로 망하기 시작했는데, 여기서 ‘본격적으로 망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나 ‘망했다’는 것이나 사실상 오십보백보라고 본다.

이는 조선왕조가 공식적으로 망한 것은 1910년이지만, 본격적으로 망하기 시작한 것은 1876년 강화도조약부터라고 보는 견해와 유사할 터이다. 아무튼 1860년부터 본격적으로 망하기 시작한 중국은 숱한 우여곡절을 겪은 뒤 1949년에 이르러서야 새로운 통일국가인 중화인민공화국을 창건해 냈다. 결국 중국...은 무려 한 세기에 가까운 90년 동안 망국에서 건국으로 이행하는 대혼란을 겪은 것이다. 나는 이 기간을 정의하여 가히 ‘혁명의 시대’라고 하겠다.

1860년 2차에 걸친 아편전쟁의 패전으로 중국에는 서양자본주의가 내륙 깊숙이 침투하여 민중들의 생활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거듭된 패전으로 청조는 자주권을 거의 잃었고 민중은 만주족 왕조인 청조에 대한 저항을 노골적으로 표출하기 시작했다. 또한 청조는 전쟁 비용과 과도한 배상금 지불을 일반 세금으로 전가시킴으로써 인민들의 불만을 위험 수위로까지 치닫게 만들었다.

과연 90년이나 되는 ‘혁명의 시대’에 중국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일단 ‘혁명의 시대’였으니 말 그대로 ‘혁명들’이 발기했을 것 아닌가. 물론 혁명에는 실패한 혁명과 성공한 혁명이 있는데, 실패한 혁명은 혁명이 전개되는 기간에만 혁명일 따름이지, 훗날에까지 혁명이라고 호칭되는 법은 없다.

우리는 ‘태평천국의 난’, ‘의화단의 난’ 그리고 ‘신해혁명’, ‘홍군혁명’ 등의 용어들을 들어 알고 있다. 공자가 말한 정명(正命), 즉 ‘바른 이름 붙이기’를 여기에 적용할 때, 나는 위 이름들 중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은 신해혁명 하나밖에 되지 않는다고 본다. 이름을 바르게 붙이는 것은 대상을 바로 이해하는 데 아주 요긴한 항목이다. 그래서 나는 위의 것들을 각각 ‘태평천국농민항쟁’, ‘의화단항쟁’ ‘신해혁명’ 그리고 ‘중국혁명’으로 명명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태평천국농민항쟁(1850~1864)은 수백만 민중이 뜻을 모아 14년 동안 중국의 중요 지역을 장악하며 이상사회를 실현하고자 했던 항쟁이었다. 그들은 청을 몰아내고 한족민족주의를 구현하고자 했으며,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중국을 수호하고자 했다. 무엇보다도 이 항쟁은 반봉건적인 평등한 사회를 실현하려 했다는 점이 큰 의미를 갖는다. 이것은 근대를 지향한 대표적인 농민항쟁으로서 우리의 동학항쟁과 일면 비슷한 성격을 띤다.

의화단 항쟁(1899~1900)은 종교적 이념을 도구로 하여 서구열강의 침략에 대한 중국인들의 강력한 저항 의지를 보여주었다. 불행히도 이 항쟁은 근대무기로 무장한 제국주의 국가들의 침략과 청조의 배신으로 좌절되었다. 하지만 이것은 제국주의 열강이 중국을 분할해서 점령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각인시켰다. 아울러 청조의 반민중성과 무능력을 폭로함으로써 이후 본격적으로 청조를 타도하기 위한 혁명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손문의 신해혁명(1911년)은 성공한 혁명이다. 손문은 1907년~1908년 어간에만 무려 6차례나 무장봉기를 이끌었다. 신해혁명은 원세개의 반혁명에 의해 좌절되는 수난을 겪었다. 하지만 신해혁명이 중국 현대사에 미친 긍정적 영향은 막대하다. 손문은 지금도 중국과 대만에서 동시에 국부로 추앙된다. 손문은 1912년 1월 1일 남경에서 중화민국이라는 정식 국호를 채택했으며 '민(民)의 공의를 취하고 중(衆)을 위해 복무한다'는 총통선서를 했다.

신해혁명은 제국주의에 의존적이었던 청조를 무너뜨렸다. 마침내 인민이 나라의 주인이 되는 최초의 근대적 공화정부가 수립된 것이다. 이는 2,000여 년 동안 지속되어 왔던 전제군주제도가 허물어진 역사적인 대사건이었다. 이 혁명은 비록 자본주의계급의 혁명이기는 했지만 손문은 결코 서양식 자본주의를 추구하지는 않았다.

“문명은 선과(善果)와 악과(惡果)를 동시에 내는데, 선과를 취하고 악과를 피해야 한다. 구미 각국에서는 선과는 부자들이 다 차지하고 빈민은 악과만 먹었다. 소수가 문명의 행복을 차지하였으므로 이처럼 불평등한 세계가 된 것이다. 우리의 혁명은 국민의 국가를 만들어내야 할 뿐만 아니라 사회의 국가를 만들어내야 한다. 우리가 만드는 국가는 구미가 절대로 따르지 못하는 국가이다.”[손문(孫文), 1906년 <민보> 창간 1주년 연설 중에서]

이는 손문이 강유위·양계초 같은 계몽개혁주의 대지도자들을 제치고 구국의 혁명가로서 우뚝 설 수 있게 한 비결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대목이다. 우리나라에는 구한말과 식민지시대를 통틀어 손문 같은 캐릭터를 가진 지도자가 없었다. 이상설은 왕조부흥을 내세운 복벽주의자였다. 김구는 단순한 민족주의 항쟁가였다. 안창호와 이광수는 미·영을 흠모한 계몽주의자들이었다. 여운형에게는 혁명을 위한 구체적 실천이 없었다. 이승만은 친미주의자, 서재필은 종미주의자였을 따름이다.

나는 신해혁명이 있었기에 얼마 후 중국역사상 가장 위대한 마오쩌둥의 중국혁명이 가능했다고 본다. 혹자는 김일성의 인민혁명을 마오쩌둥의 중국혁명과 비슷한 성격으로 파악한다. 하지만 이것은 한반도 북위 38도선 이북지역에서만 통용될 수 있는 논리이다.

나는 김일성의 인민혁명을 과소평가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김일성의 혁명은 사회주의 제국주의 국가였던 소련의 힘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고, 그가 추진한 '조국통일전쟁'은 결과적으로 분단을 고착시켰다. 우리에게는 ‘손문 - 마오쩌둥’과 같은 유용하고 강력한 혁명 세트가 없었다. 그리고 이것은 오늘의 분단 현실과 남측의 비자주성을 야기한 요인 중 하나인 것으로 느껴진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2/15 14:58 2014/02/15 14:58
트랙백 주소 : https://blog.jinbo.net/8434pjr/trackback/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