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달랑 한 줄’,,,메시지 전달, 관객 반응, 흥행 대성공
-봄 작가 겨울무대 마지막 작품 ‘열띤 성원 속 대미장식’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브레이크뉴스 박정례 기자]= 봄 작가 겨울무대 시리즈가 막바지에 이르렀다. 그 마지막 작품 인 ‘달랑 한 줄’이 일요일 공연을 마지막으로 대미를 장식했다. 

‘달랑 한 줄’은 주제의 선명성과 관객들의 호응 면에서 일단 성공을 거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무대 위에서 구현하는 액션과 대사 전달력 뿐 아니라 일부 연기자는 언어의 강약 조절과 함께 말의 묘미까지 살려내는 내공을 충분히 선보였다. 이 극 ‘달랑 한 줄’은 종적(縱的)으로는 요즘 우리 사회에서 급 화두로 부상한 ‘미투(Me Too) 운동’과 맞닿아 있고, 횡적(橫的)으로는 일상생활에서 주고받는 말과 행동으로 인한 상처와 파급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를테면 가해자가 하는 말이나 행동은 어느 특정인과 집단에 씻을 수 없는 역기능을 초래한다는 사실이다. 미투운동과 한 줄의 말과 한행동이 교집합을 이루며 전개되는 극중 사건은 그래서 성희롱, 성폭력, 성폭행에 관한 여성의 피해사실을 제기하고, 각종 갑질 피해와 몰지각한 말과 행동 또한 이의 부당함을 자각하는 개인과 단체가 부단한 이의제기와 저항으로서 고쳐나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송현진 작 ‘달랑 한 줄’은 류근혜 연출에 정혜승, 이은향, 황윤희, 윤혜성이 출연한다. 연실은 남편과 싸우고 집을 나온 뒤, 번역가이며 친구인 명희의 집에서 딸들과 함께 거주하면서 살고 있다. 그러나 개성이 강한 커리어우먼인 명희와 같이 사는 게 쉽지만은 않은 상태고, 연실의 가장 큰 고민은 사고뭉치인 막내딸 현주의 튀는 성격이다. 이에 반해 큰딸 은주는 매사에 순응적이고 착하고 모범적이다. 하지만 어느 날 은주는 걸핏하면 ‘여자니까 조심해야 한다.’며 현주를 다그치는 엄마를 보며 화를 내고 만다. 연실은 평소 착하기만 한 은주의 행동에 당황스럽고도 혼란스런 감정을 느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편 명희는 출판사로부터 계약파기를 당한다. 책에 나오는 표현들이 여성의 입장에서 볼 때 “부당하고 불편하다”며 번역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낙심한 명희는 잠시 약한 모습을 보이고, 이를 본 은주는 명희를 위로한다. 이 과정에서 둘은 ‘성폭행과 성희롱’이라는 비슷한 상처를 안고 있음을 알게 된다. 현주는 명희를 적극 지지하며 “우리가 여성을 비하하는 문장 한 줄이라도 바꿔보자” “작은 행동이라도 해보자”고 제안하며 ‘문장 한 줄 바꾸기’ 투쟁을 시작한다. 이때 연실은 어려운 결정을 내리게 된다. 명희의 투쟁에 동참하기로 했으니 말이다.

연극에서 연출의 몫은 무엇인가? 달랑 한 줄의 연출가 류근혜 씨의 시각을 통하여 조망해본다. 배우들이 극중 역할을 어떻게 규정하고 표현해낼 것인가에 대한 방향이다. 류근혜 연출가는 등장 배우를 그래서 60대, 50대 30대 20대 로 고루 기용하여 역할에서 오는 전달력에 힘썼다고 한다. 어머니 역할을 연기한 연실 역은 60대인 정혜승이, 당차게 사회활동을 해내고 있는 명희 역은 50대인 이은향, 직장과 사회생활에 순응하며 착하게 살아가는 역엔 30대인 황윤희가 담당하도록 한다.

또 교복 안에 면티를 입은 일로 벌점을 받게 되자 오히려 그 티셔츠에 ‘왜 안 되는지 1도 모르겠다.’라는 글씨를 새겨 입고 온몸으로 저항하는 현주 역이다. 현주 역은 그래서 어린 나이 축에 끼는 20대 윤혜성에게 맡겼다고 한다.

작가정신을 보자. 연출가는 ‘달랑 한 줄’이라는 극본에 자신의 철학과 시대정신을 덧입혀 선보이는 일일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연출가의 의도에 따라 무대구성과 소품 선택도 이루어진다. 극의 마지막 장에는 잘록한 허리에 풍만한 가슴을 자랑하는 마네킹이 등장한다. 이 소품은 여성의 전도된 가치를 상징할 것이다. 아름다움을 위해서는 그 어떤 불편함도 불사하는 여성성이다. 하여 여성 자신은 참고, 입 다물고, 그 어떤 폭력과 부당한 처사에도 가정이 사회가 조용하기 위해서는 참고 견뎌야 한다는 가치관을 덧씌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나 강압에 의한 인내는 오래가지 못한다. 자연스럽지 못한 것이기에 때가 되면 불거지기에. 건전한 분출구 없이 참고 견디는 것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류근혜 연출이 “작품을 연출하면서 자기 검열에 시달렸다”고 하는데서 보듯이 미투운동에 힘입어 많은 여성들이 꽁꽁 숨기고 있던 성폭행과 성폭력에 대해 “나도 당했다”며 나섰지만 사회 일각에서는 이내 ‘그만 하라!’는 목소리가 들리는 것이었다. 이를 보며 “관객들이 또 미투문제냐?”며 불편해 할까봐서 잠시 고민을 했지만 표현의 자유야말로 진정한 용기이며 “제대로 된 예술작품으로 승화시켜 무대에 올리겠다”는 결심으로 나서게 됐다고 한다.

그렇다. 말 하지 않는 자의 입은 타인을 감화시킬 수 없다. 한편 큰 고통이 따르는 고백일수록 타인에게 주는 선물은 크다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고백과 나눔은 지난한 용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숨기고 싶은, 그래서 생살을 도려내는 아픔’을 수반한다. ‘달랑 한 줄’은 미투운동과 맞물려 때맞춰 나온 작품일 뿐만 아니라 주제의 선명성과 관객의 반응과 흥행 면에서 드물게 성공을 거둔 작품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봄 작가 겨울무대의 마지막 작품이 열띤 성원 속에서 대미를 장식한 것이다.

*글쓴이/박정례 선임기자.르포작가.칼럼니스트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8/12/02 22:44 2018/12/02 22:44
트랙백 주소 : https://blog.jinbo.net/8434pjr/trackback/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