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가량 팔레스타인 연대 활동을 후원하는 2025년 판화 달력 만들기 모임이 네 차례 진행되었습니다. 32명이 참가했고 총 66만원의 참가비는 가자지구 3차 긴급지원 모금함에 전달되었습니다.

 

실내에서 여러 사람들이 판화 등을 들고 있는 장면의 사진. 가운데에 있는 사람은 팔레스타인 국기를 들고 있고, 주변에 서 있는 17명의 사람들은 검정, 빨강, 초록 등의 색으로 찍은 판화를 들고 서 있다. 각각의 판화는 동물과 식물, 풍경과 문화적 상징 등을 이용하여 팔레스타인 연대의 메시지를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다. 사람들 사이에는 판화 도구 등이 놓여있는 긴 테이블이 여러개 놓여있다.

 

테이블 위에 신문지가 여러장 놓여 있고 그 위에 판화가 찍힌 천이 놓여있는 사진. 위아래로 긴 직사각형 흰 천에 위쪽에는 판화 이미지, 아래에는 2025년 달력 날짜가 찍혀있다. 판화 이미지에는 땅의 위 아래로 다른 종류의 식물이 자라난 모습이 검은색으로 표현되었다.

 

위아래로 긴 직사각형 흰 천에 위쪽에는 판화 이미지, 아래에는 2025년 달력 날짜가 찍혀있는 모습의 사진. 판화 이미지에는 붉은 색의 꽃들과 검정색 '연대' 글씨가 표현되어 있다.

 

첫 번째 모임은 2024년 12월 26일 팔레스타인평화연대 사무실에서 열려 13명이 함께했습니다. 팔레스타인평화연대 활동가가 현재의 팔레스타인 투쟁 상황과 팔평연의 활동 내용을 이야기하고, 3차 모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테이블 위에 판화가 찍힌 천이 놓여있는 사진. 위아래로 긴 직사각형 흰 천에 위쪽에는 판화 이미지, 아래에는 2025년 달력 날짜가 찍혀있다. 판화 이미지에는 대지 위의 나무 한 그루와 유성우가 내리는 모습이 표현되었다.

 

테이블 위에 판화가 찍힌 천이 놓여있는 사진. 위아래로 긴 직사각형 흰 천에 위쪽에는 판화 이미지, 아래에는 2025년 달력 날짜가 찍혀있다. 판화 이미지에는 하늘을 나는 새와 '1.10'라는 문구가 표현되었다.

 

테이블 위에 판화가 찍힌 천이 놓여있는 사진. 위아래로 긴 직사각형 흰 천에 위쪽에는 판화 이미지, 아래에는 2025년 달력 날짜가 찍혀있다. 판화 이미지에는 따뜻한 빵 한 덩어리와 불이 켜진 초의 모습이 표현되었다.

 

두 번째 모임은 1월 10일 까페여름에서 열려 6명이 함께했습니다. 동네 주민부터 멀리 대전과 공주에서 찾아오신 분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SHARE의 활동가가 참가하여 팔레스타인 연대활동에 대해 상세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실내에서 여러 사람들이 판화 등을 들고 있는 장면의 사진. 가운데에 있는 한 사람은 팔레스타인 국기를 들고 있고, 주변으로 9명의 사람들이 앉거나 서 있다. 그 중 두 사람은 구호를 외치듯 주먹을 들고 있고, 일곱 사람은 판화가 찍힌 천이나 종이, 목판을 들고 있다. 각각의 판화는 동물과 식물, 풍경과 문화적 상징 등을 이용하여 팔레스타인 연대의 메시지를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다. 뒤쪽 벽면의 칠판에는 '휴전은 해방이 아니다. Ceasefire ≠ Liberation' 등 팔레스타인 해방과 관련된 문구가 영어, 한국어, 아랍어로 적혀있다. 사람들 사이에는 긴 테이블이 놓여있고 그 위에는 판화가 찍힌 종이 등이 놓여있다.


 

테이블 위에 판화가 찍힌 천 두 장, 종이 한 장과 판화의 목판, 등이 놓여있는 사진. 위아래로 긴 직사각형 흰 천에 위쪽에는 판화 이미지, 아래에는 2025년 달력 날짜가 찍혀있다. 판화 이미지에는 꽃들 위에 놓인 수박 한 조각이 표현되었다. 오른편으로는 여러 장의 천이 쌓여있다.

 

벽면의 칠판에 한 사람이 글씨를 쓰고 있는 모습의 사진. 긴 머리를 뒤로 묵고 귀걸이를 하고 검은 옷을 입은 사람은 칠판에  '휴전은 해방이 아니다. Ceasefire ≠ Liberation. 군사점령 식민지배 아파르트헤이트 중단까지 끝까지 투쟁!' 등 팔레스타인 해방과 관련된 문구가 영어, 한국어, 아랍어로 적고 있다.

 

세 번째 모임은 1월 16일 팔레스타인평화연대 사무실에서 열려 8명이 함께했습니다. 마침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협상 소식이 있던 날이었습니다. 팔평연에서 축하 떡과 다과를 준비해주셔서 같이 음식을 나누며 판화를 만들었습니다. 팔평연 회원이 팔레스타인의 현재 상황과 투쟁 경과, 계속되고 있는 연대 활동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주었습니다.

 

긴 테이블 위에 다섯 개 판화의 목판이 놓여있다. 각각의 판화는 동물과 식물, 풍경과 문화적 상징 등을 이용하여 팔레스타인 연대의 메시지를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다. 옆에는 판화 도구와 여분의 천, 종이 등이 놓여있다.


테이블 위에 놓인 흰 천에 검은색으로 판화가 찍힌 모습의 사진. 판화에는 날개를 펼친 새와 꽃봉오리가 표현되었다.

 

테이블 위에 놓인 흰 천에 검은색으로 판화가 찍힌 모습의 사진. 판화에는 반짝이는 표면을 가진 뱀이 구불구불하게 있는 사이로 세 명의 사람이 미소를 짓거나 손을 내밀거나 외치는 모습으로 자리하고 있고, 아래에 '2025'라는 글씨와 수박 한 조각이 표현되었다.

 

네 번째 모임은 1월 18일 언니네트워크에서 운영하는 퀴어 페미니스트 서점 책방 꼴에서 열려 5명이 함께했습니다. 대구에서 먼 길을 오신 분도 있었습니다. 팔평연 활동가가 팔레스타인 상황과 연대 활동을 소개했고, 언니네트워크 활동가는 책방과 단체의 활동에 대해서 안내해주셨습니다. 이야기를 나누며 차분하게 판화를 완성하고 자리를 정리한 뒤, 일부 참가자들은 광화문으로 이동하여 대통령 퇴진 촉구 집회에 합류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5/01/21 13:56 2025/01/21 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