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9/04

1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9/04/29
    교육은 뭐냐는 말
    G-raf
  2. 2009/04/28
    대화형 매체와 담론형 매체
    G-raf
  3. 2009/04/28
    대...(1)
    G-raf
  4. 2009/04/25
    미디어가 될까
    G-raf
  5. 2009/04/25
    Binaries 'n Bullshit
    G-raf
  6. 2009/04/22
    4월 26일 인디미디어 상영회
    G-raf
  7. 2009/04/19
    언론재개발 라디오의 한 프로그램(1)
    G-raf
  8. 2009/04/19
    채소밭에서 찾은 것은(2)
    G-raf
  9. 2009/04/17
    제안하는 언론재개발의 테마 노래(3)
    G-raf
  10. 2009/04/15
    언론재개발 라디오 설립되었다(1)
    G-raf

교육은 뭐냐는 말


미디어스토리텔링 수업에 늦게 들어왔다. 수강신청을 늦게 했기 때문이다. 늦게 들어왔기 때문에 혼자 있었고 조가 없었다. 그래서 다미가 조에 들어오라고 초대해줬다.

수업을 끝난 후에 첫번째 조원회의를 했고 우리 조별과제, 프로젝트에 대해 정해서 마음에 들었다. 우리 조원들이 각자 다른 조원에 대한 예술품 및 자기자신에 대한 예술품을 만들어서 발표하기로 정했다. 먼저 내가 생각하다가 우리 이야기하고 생각을 나눌수록 좋은 프로젝트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왜 좋은 프로젝트라고 생각하냐면


  1. 우리의 적극적, 창의적, 창조적인 능력을 실험하고 수행해서 발전할 수 있다. 수동적이지 않은 적극적으로 탐험할 수 있는 것은 더 많이 배울 수 있을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험이나 무엇을 해볼수록 능력을 발전할 수 있지만 능력발전인 뿐만 아니라 자기자신을 새로운 관점에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지만 이런 능력발전이라는 것의 형식을 제기해야겠다. 무엇을 해볼수록 능력을 발전하는 것이라면 능력을 발전하기 위해서 무엇을 배타하거나 포함하게 하는가? 또한 사회적으로 정상화된 범주적인 <능력>에게 적응하는 것이가? 능력을 무엇인지를 스스로 재정의하는 것인가? 무엇을 하면서 능력발전이라는 것이 유일한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라면 폐쇄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지 않을까?

  2. 수업과제라는 것을 혁식적인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프로젝트라고 본다. 숙고하다가 반성하다가 하는 것은 인식발전 혹은 인식해체라고 생각할까? 인식발전은 바로 인식해체인가? 잊어버리기를 통해 배울 수 있을까? 교육은 진리라는 것 혹은 객관적인 정확성을 탐색해가는 것으로 구속해놓을까? 질문의 정답을 탐색하는 것은 배우기라고 정의해놓을까? 질문의 심연 속에서 끝없게 변하는 대답이 거주하는가? 사회적으로 정상화되어서의 인식구조에서 벗어나서 인식적인 자치권을 실천하는 것은 광기로 진단할까?

  3. 우리 가지고 있는 정보를 어떻게 대우하는가라는 의문을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프로젝트 방식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정보와 어떤 상황에 따라 주관적인 관계를 지는지를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프로젝트이기도 한다. 내가 조원들을 양적으로 얼마나 알고 있는 상황인 뿐만 아니라 내가 조원에 대해 알고 있는 것 중에 내 시각에서 어떤 정보가 중요할까, 어떤 정보에 대해 말할만할까, , 등등의 우선시키는 정보, 무시하는 정보, 자기자신의 시각에서의 정보의 계급화에 대해 알아볼 수 있을 것 같다. 자기자신에 대한 것 중에 무엇을 표시할까라는 의문을 궁리한 후에 정한 것이 자기자신의 가치관, 자아, 욕망, 세계관, 의식과 무의식을 알아볼 수 있게 해주는 프로젝트다.

  4.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어떻게 대우하고 분배하는 것인 뿐만 아니라 정보와 관계지는 과정에 정보를 재배열하는 것이 있다. 정보를 재배열하는 것은 새로운 정보를 만드는 것이다. 새로운 정보를 만드는 과정이 왜 중요하냐면 지배적인 교육체제에서 학생의 역할은 배타적으로 엄격히 정의해 있다. 학생이라는 주체가 자료, 교과서, 강의, 등이라는 객체를 소비하는 역할이지만 자본경제의 교육체제는 취업준비의 중심으로 작동하는 것이라서 학생은 주체이자 객체이다. 내가 지금 맑스주의에서 나온 비판을 되풀이하여 말하는 것이 교육체제 안에서 자기자신의 수동적인 역할을 취한다. 교육자료를 소비해 외워서 선생님이라는 교육체제의 권위자 혹은 관리자에게 유쾌한 인상을 바쳐 학점을 받는 학생의 역할에서 벗어나면 좋겠다는 말이다. 학생이 아무래도 공부하거나 살아가면 정보를 생산하고 있지만 직접 창의적으로 의식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분명한 기회가 유익하다. 우리 교육체제 안의 역할 및 여러 가지 많은 체제의 광범한 넽워크인 사회 안의 역할을 제기하게 해주는 프로젝트이다.

     

    우리 조별과제를 좋아하게 하는 다른 점도 있을 수 있다. 이제 우리 조별과제를 바꿔서 일련의 학문적 이론들을 공부하고 분석해서 발표하기로 했다. 조별과제가 바뀌었어도 전술한 바와 똑같은 장점들이 있을 수도 있다. 제대로 진행하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대화형 매체와 담론형 매체

대화형 매체와 담론형 매체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은 사람, 동물 혹은 물건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으로 새로운 정보를 만드는 것이다. 대화과정에서 교환하는 정보가 합성되기 때문에 새로운 개념과 발견된 정보가 나올 수 있다.

담론적 커뮤니케이션은 정보를 생산하지 않지만 이미 존재하는 정보를 분배한다.1

담론적 커뮤니케이과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은 상부상조적인 관계를 취한다.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담론을 도용해야 해서 담론의 이용에 의존한다. 또한 담론적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화과정에서 생산된 정보를 분배해야 해서 대화의 이용에 의존한다.2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에서 발신자의 한 메시지는 담론이다. 그러지만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에서 발신자의 담론은 수신자의 해석에 따라 바꿔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발신자가 인식하는 똑같은 담론이 아닐 수가 있기도 한다. 그래서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은 몇명이 참여하는지에 의존하지 않는다. 한 명이 자기 자신이랑 대화를 할 수 있다. 한 명의 마음 속에 여러 가지 있는 담론들을 해석에 따라 재창조할 수 있고 이 여러 가지 정보들을 합성시킬 수 있는 과정에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 실현된다.

담론적 매체는 발신자의 메시지로만 나올 수 있도록 구속하는 커뮤니케이션 기계이다. 송신자가 송신역할을 고집하고 수용자가 수신역할을 고집하도록 하는 담론매체에서도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 생길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테레비전의 담론적 틀 안에서 에서 사람들이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지만 이 를 보는 수용자들이 담론에 대답할 기회가 없다.

대화적 매체에서는 송신역할과 수용역할을 공유하는 영역이 있다. 대화적 매체에서는 참가자들이 메시지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그러지만 대화적 매체가 메시지 교환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을 전체적으로 보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대화적 매체인 수다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정체성(문화적인 코드)에 따라 참가를 인한다. 학생과 선생님이 수다하면서 학생이 수용역할을 취할 기대성이 있고 선생님이 송신역할을 취해야 된다는 문화적인 코드인 기대성이 있다. 왜냐하면 선생님의 사회적 역할은 가루치는 것이고 학생의 사회적인 역할은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수다의 참가자들의 상대적인 적극적과 수동적을 미리 정의해 있다. 그래서 대화적 케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대화적 매체는 코드화된 담론에 따라 작동할 수밖에 없다.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미 존재해 있고 담론이 와서 구속,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규율담론이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정의해 만드는 것이다.3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 만든 정보를 담론으로 분배해서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면서 담론에서 받은 정보를 교환하고 합성해서 새로운 정보를 생산한다. 이 틀에서 보면 대화적 커뮤니케이션과 담론적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는 공평적 순환을 삼다고 볼 수 있다. 정보를 생산하다가 분배하다가 하는 순환과 같이 보인다. 무엇은 어떤 기준들에 따라 정보로 여겨질 수 있는가? 정보가 아닌 것이 무엇인가? 정보라는 것을 정의하는 코드가 무엇을 배타하는가? 정보가 모든 것을 포함한다면 왜 정보라는 특별한 단어를 부를까?

내가 감정을 전달하고 정보를 표현한다고 말하면 안 되는가? 일상생활에 살고 있으면서 감정을 전하고 정보를 느껴서 표현한다는 말이 해독될 수 있는가? 우리가 집에 도달하는 중에 같은 결론에 도착했다는 말이 안 되는가? 내가 술 마시다가 변기에 토하면서 내 입에서 정보가 물질적인 모습으로 흘려 나왔다.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아무래도 수행할 때 의미해독을 가능시키는 코드들의 관계구조를 고집해야 대화할 수 있다. 의미를 얻기 위해서 코드화를 거쳐 의미를 이해하도록 대화에 이용할 수 있는 의미, 코드된다. 각자 단어와 표현의 코드화된 의미인 뿐만 아니라 사람의 정체성도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의 모습을 결정하는 역할을 취한다.

플루서에 따르면 사회는 여러 가지 많은 체제들이 서로 작용하는 넽워크로 구성한다. 이 넽워크 속에 여러 가지 접점들이 있다. 사회인 넽워크 체제영역의 주관적인 관계 속에서 사람들이 인정하는 것은 <가면>이라고 부른다. 가면들은 사회인 넽워크 속에 있는 접점들을 지적하는 것이다. 접점과 어떤 형식으로 관계를 질 수 있는지를 알게 하는 것이 가면의 역할이다. 또한 이 관계형태에서 가면들이 형성된다. 이 관계들은 대화적 관계나 대화의 생산물인 행동적 관계로 실현될 수 있다. 가면에 따라 특별한 대화형식을 수행할 수 있다.4

예를 들어 한국에서 가면에 따라 존댓말이나 반말으로 대화하는 것인 뿐 만 아니라 말의 내용도 결정하는 한 요인이다. 현대 한국 사회는 일부일처체인 성관계가 정상화된 사회이기 때문에 사람이 배우자가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상태에 <맞은> 대화와 행동을 수행한다. 또한 현대 한국 사회는 이성애체와 남녀이원으로 분류된 성적 형태가 정상화된 사회라서 남성에게 <여자친구 있냐>고 여성에게 <남자 친구 있냐>고 물어본다. 현대 한국 사회는 결혼체가 정상화된 사회라서 결혼에 대한 기대에 맞춘 나이에 따라 <결혼했냐>고 물어보거나 <왜 결혼 안 했냐>고 물어본다. 서양인과 같이 보인 사람에게 <매운 음식을 먹을 수 있냐>고 궁금한다.

플루서에 따르면 가면들은 주체범주들을 대표한다. 이 주체번주들은 가면끼리 담론과 대화과정의 생산물이다. 문명형과 사회체제들은 가면들의 관계형태(가면의 춤추기)에 달려있다. 개인적 정체성 혹은 신분은 사회체제 속에 가면()의 상대적 지위들으로 형성된다. 역사적으로 가면들은 엄격히 구분해 있었지만 현대 사회에서 수 많은 가면들을 한 명에 적용할 수 있다.5

정보체제이나 <인류학><정당한> 사람들의 행동과 대화를 설명하거나 표시하는 방법을 통해 사람들의 행동과 대화를 규율한다. <맞은> 행동양식과 대화양식은 가면들에 표함한다. 이런 식으로 가면들이 사회체제끼리의 대화수단이고 각 사회체제와 총체적인 넽워크를 유지해주는 것은 가면들의 한 중요한 작동이다. 이 측면에서 정보의 생산, 축적 및 분배의 역할, , 정보체제가 권위적이다. 사람들이 탈인간화 혹은 기계화를 당한다. 사람들은 권위적 사회체제인 넽워크의 접점으로서 수단이다. 플루서에 따르면 반면에 해방적 정보체제에는 사람들이 서로 분류된 가면이 아니라 사람들이 서로 인간적 속성들이 실현되도록 정보교환,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것이다. 권위적 사회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스스로 만들기 위한 대화이다.6

가면을 인정해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는 대화가 인간성을 인정해 강화하는 것이라면 그 자체가 대화내용도 결정하는 한 요인인가? 플로서가 대화를 구속하고 규율하는 것이 권위적 정보체제라면 해방적 정보체제에도 권위적 속성들이 거주하고 있지 않을까? 인간들이 하고 있는 것을 비인간적이라는 것은 규율담론이 아니랄까?

담론적 커뮤니케이션과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은 두개 다 집단적인 형상이지만 정보와 의미를 직접 만드는 과정에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 서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기 때문에 변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생산된 정보를 분배하는 담론의 역할은 기존의 사회를 유지하는 역할이라서 문제해결, 창의성, 혁신성, 등에 충돌된다. 방송은 송신자와 수용자로 엄격히 분류된 커뮤니케이션 관계형식이라서 담론형 매체이다. 디지털 미디어, 댓글, UCC, 수다, 구어, 블로그, 내용을 누구나 올릴 수 있는 인디미디어,7 등이 넽워크적인 형식으로 발생하는 정보교환이라며 정보, 지식을 계속 만들고 바꿔서 대화형 매체이다.8

대화형 매체가 어떤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영향을 미치는가?

1Flusser, V., Kommunikologie, 1996, 김성재 옮김, ��코무니콜로기(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p.19 참조.

2Flusser, V., Kommunikologie, 1996, 김성재 옮김, ��코무니콜로기(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p.20 참조.

3조현순, 「거식증과 우울증의 정치학: 푸꼬, 보르도, 버틀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의 몸��(2005). p.392 참조.

4Gochenour, P.H. “Masks and Dances: Cybernetics and Systems Theory in Relation to

Flusser’s Concepts of the Subject and Society ,” Flusser Studies 01, (2005). www.flusserstudies.net

5Gochenour, P.H. “Masks and Dances: Cybernetics and Systems Theory in Relation to

Flusser’s Concepts of the Subject and Society ,” Flusser Studies 01, (2005). www.flusserstudies.net

6Gochenour, P.H. “Masks and Dances: Cybernetics and Systems Theory in Relation to

Flusser’s Concepts of the Subject and Society ,” Flusser Studies 01, (2005). www.flusserstudies.net

7http://korea.indymedia.org

8Darroch, M. “Language, Translation and the Telematic City,” Flusser Studies 06, (2008) www.flusserstudies.net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대...

...학교 힘든다. 음악치는 것을 학교나 음악을 잘 아는 사람에게 배우지 않고 실은 음악에 대한 아무것도 배워본 적이 없어서 노래를 만들기에 집착하고 중독되었다. 새로운 노래를 만들 때마다 새로운 싱싱한 방법을 발견하게 되며 능력을 발전하는 것과 같이 느껴서 계속하고 싶다.

노래를 만들기 위한 기술을 가져 이용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딱 중독되었다. 노래를 다운받으며 작은 소리들을 뽑아서 재배열을 하고 <노래>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것을 만든다. 음식낭비물을 찾아뒤지고 재요리해서 먹는 것과 같이 느낀다.

정확한 맞은 정당한 음악종교에 대한 교훈으로부터의 능력이 필요없어서 다행이다. 악기를 못치고 괜찮다.

자위하는 것과 같지?

아이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디어가 될까



다운받기

http://www.archive.org/download/BeTheMedia/mp3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Binaries 'n Bullshit

Is ‘sex’ as socially constructed as ‘gender’?


“Gender” is generally believed to be a socially produced cultural component pertaining to lifestyle, behavior, state of mind, desire, etc. whereas “sex” is generally considered a biologically determined fact of the body. One of the most obvious problems with this hypothesis becomes clear when we are confronted with another common fragment of discourse regarding sex and gender: that “gender” is a cultural component that follows the biologically determined, invariable state-of-being called “sex.” In other words, that gender is determined by sex. A cultural construction determined by a biological fact.

If gender is a culture which can be applied to distinctly “gendered” social norms, then it would seem that gender would have relative self-determination, independent of so-called “biological” conditions. However, according to the popular assumption of gender determined by sex, gender is an assemblage of social norms, mentalities, desires (in the context of heteronormativity)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that is not free to determine, compose, produce or reinvent itself. The implicit assumption is that culture, social norms, modes of expression, desires, etc. (components of “gender”) are determined by and dependent on the totalitarian fact of biology.

In other words, sex and gender as the same thing residing in two different regions (this implies that sex is socially constructed alongside gender). These two different regions parallel the Cartesian dichotomy of “body” and “mind” or “spiritual” and “material.” Sex as the material version of gender residing in the body and gender as the spiritual version of sex residing in the mind.

When these two A/B categories contradict each other or fail to match up with expected social norms, the contradiction often seems to be either overlooked or penalized through cultural regulation, alienation, etc. The “male” who fulfills social expectations of “appearing male” while behaving, moving, thinking or expressing “himself” in a manner that contradicts “his male appearance” relating to anatomy might face social alienation and/or demands that “he” conform to predetermined “male” social norms. Such nonconformity may be overlooked by retreating to the female/male dichotomy, resorting to the “feminine male” reference: if something is not female, then it’s considered male and vice versa. The standards regulating what is considered to be a sexed appearance or gendered behavior are not universal, but are socio-historical constructions just like the related Cartesian dichotomies of body and mind.

What makes these assumptions regarding sex/gender even more problematic is that the biological fact of sex is restricted between the biological fact of A or the biological fact of B, female or male. Therefore, gendered social norms can only fall between two categories which inevitably makes social regulation, demands for conformity, cultural penalization, etc. necessary to sustain these two categories. My assumption here is that gender/sex can’t realistically conform to only two categories such as female and male. I’m assuming with no other evidence aside from my personal observations and life experiences (hardly scientific), that gender/sex can form multiple varieties within one person and that these various sex/genders can be abandoned and new gender/sexes can be freshly created in complete spontaneity, from moment to moment. This assumption is influenced by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gender/sex as “free multiplicities” synthesized from “local and nonspecific connections,” with people becoming “not one or even two sexes, but n sexes.” (Delueze, G. Guattari, F. (1983). Anti-Oedipus. University of Minnesota).

Schools of science such as “biology” or “anatomy” providing “evidence” (as recognized within the ideology of science) for binary sexed bodies is something that should be viewed with skepticism. Science functions quite similar to church hierarchies, providing the unquestionable “truths” to unanswerable questions, legitimizing the status quo (Bey, H. “The Information War,” Hakim Bey and Ontological Anarchy, www.hermetic.com/bey/, retrieved Apr 24, 2009). With the function of providing ahistorical, universalized definitions of the sexed body, science plays a factor in legitimizing oppressive gender roles since gender is commonly perceived to be determined by the biologically defined sex of the body. Groups and individuals that are socially victimized and dominated are socialized into adopting cognitive frameworks of perception that lead people to suppressing themselves and conforming to established categories of what is recognized as normal and acceptable (Bourdieu, P. (1998) Masculine Domin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In this context, exercising gender/sex autonomy, in Guattari/Deleuze terms, “becoming” our own sex/genders can be very difficult since our autonomy is restricted by what is socially recognized. Apply for a passport and check “M” or “F” on the sex section of the application. What is socially recognized is confined to what conforms to social norms, or “normalized” by the preexisting definitions gender/sex. Social norms making social recognition a possibility. In that sense, exercising individual sex/gender autonomy needs to coincide with widespread changes in an entire society (Butler, J. (2004) Undoing Gender, Routledge).


How does the male/female binary relate to the heterosexual/homosexual binary?


“Hetero” refers to the “other” whereas “homo” refers to the “same.” If we were allowed to freely interpret and recreate our own definition of hetero/homosexuality, we wouldn’t necessarily need to confine these sexualities to a gender/sex binary or accept these two sexualities as the only sexualities that exist. If there is an extensive variety of sex/genders, then there would also be an extensive variety or a multiplicity of sexualities that could refer to each and every sexu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numerous gender/sexes if cognitively or linguistically possible, or necessary. Within such a context, “heterosexuality” or “homosexuality” would comprise general, somewhat vague and nonspecific references.

However, if we must restrain our creativity, our dreamy idealism of the “what might be possible,” then we must consider heterosexuality as the sexuality which confines sexual relations between the “female” and the “male,” and homosexuality as the sexuality which confines sexual relations between the “female” and “female” or “male” and “male,” as defined within the restrictive gender/sex binary. Even within contemporary restrictive codes and sexuality references relating to the female/male binary, if we consider the inclusion of bisexuality, then we have a hetero/homo/bi-sexual ternary. “Bi,” signifying “two” or “both,” includes every sex/gender comprising the gender/sex bi-nary when attached to the “sexuality” term.

If all of the sexualities included within the homo/hetero/bisexuality ternary are considered in terms of their codified relation with the male/female binary, “bisexuality” seems like the only sexuality within the ternary that would become linguistically insignificant if our concepts of sex/gender transcend the female/male binary. That is, if “free multiplicities” of gender/sexes become socially recognized, then references to a “bi”sexuality would become incomprehensible because there would no longer be a sex/gender “bi”nary (Delueze, G. Guattari, F. (1987), A Thousand Plateaus, University of Minnesota ).

The connotative meanings of terms constantly change and terms are always free to appropriate and recreate. “Homosexuality” can refer to sexual relationships and sexual preferences between people of the same sex/gender(s) within a vast multitude of various gender/sexes, and “heterosexuality” can refer to sexual relationships and preferences between people of different sex/gender(s) within a wide variety of gender/sexes, unless the connotative meaning of both “homo” and “hetero” are recreated anew. Unless the definition of “bi” is appropriated and/or historically changes, it refers to “two” or “both” which restricts sex/gender as well as sexuality within a bi/ternary system.

Current efforts to free up sexuality which can amount to simply recognizing and giving a straightforward reference to one’s own sexuality(s) are undermined by the gender/sex binary. “Polysexuality” refers to sexual relationships and sexual preferences with various sex/genders outside of the sex/gender binary. “Pansexuality” refers to sexual relationships and sexual preferences with the totality of all possible gender/sexes. The question of which sex/gender(s) is the codified boundary which restricts sexual possibilities within the binary or otherwise signifies the vague and abstract, perhaps “hypothetical” gender/sexes.

Polysexuality can face complications if someone is determined to or feels compelled to signify which specific sex/genders with whom we prefer to engage in sexual relationships. Other than “trans,” which seems to refer to any of the “other” gender/sexes outside of the binary (although “trans” has become a completely new sex/gender which can be diverse), which specific gender/sexes (outside of the binary) can a polysexual person make reference to? What is the function of referring to that which hasn’t received social recognition? Can references to the socially unrecognized widen the boundaries of what is socially recognized or maybe even socially recognizable? Would this action function as a “forcing to recognize” mechanism? Has it, historically? Or would it function as the production of misunderstanding when new concepts migrate into the mainstream, into the realms of the widely recognized?

There certainly isn’t a totalitarian framework within which references to the contemporary socially unrecognized can be determined to have a homogeneous outcome that’s independent of socio-historical context and/or spontaneity alike. “My sex is not ‘female’ or ‘male,’ but ‘human,’ as long as ‘human’ is the animal species that I belong to, among a wide variety of species on this planet, including seaweed which is delicious to eat sometimes.” Perhaps one can undermine the gender/sex binary by making references to the socially recognized, although such references may be disregarded as “humorous” due to not referring to what is codified as sex/gender. A: “Where are you from?” B: “I’m from earth, like you, right?” (no reference to a nation-state). A: “Do you have a girlfriend?” B: “I don’t want a boyfriend or girlfriend, just regular intimate and sexual relationships.” (evading heteronormativity without making references to codified “other” sexualities, but perhaps generating more questions through unclear and general references).

Given the socially recognizable norms and codes through which we are able to exercise our creativities, our capacity for autonomy may seem confined and restrict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socially acceptable. However, history shows that social norms, codes and what is considered “acceptable” are not static or stable. Freedoms are confined within socio-historical contexts, but at the same time, freedoms have the capacity to play a role in creating socio-historical contexts when exercised with vigor, spontaneity and enthusiasm (and...and...).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4월 26일 인디미디어 상영회

제발 오세요. 이 것은 상영회와 워크샵인 뿐만 아니라 술잔치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한국 인디미디어가 국제적 넽워크에 연결되기 때문에 축하함 파티를 해야겠지. 켄장이 전단지를 아름답게 만들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언론재개발 라디오의 한 프로그램

다음 주 화요일 아침 11시반에 촛불미디어센터에서 <미디어가 되자>라는 프로그램을 방송하기 시작할 것이다.

지금 우리 고민하는 것이 무엇이냐면 우리가 2명만 하는 것이며 돕과 내가 아주 바빠서 충분히 준비할 시간을 찾기 어렵다. 그래서 역시 함께 하고 싶은 동지가 계신다면 얼마나 좋겠다. 무엇인가 <라디오 방송에서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면 제발 참여해보십시오.

사실 아직 충분히 준비(계획)를 안 했지만 미디어가 되자는 어떤 프로그램인지 설명할 것이다. 그러지만 기억나야 되는 것은 당신이 참여해오면 이 프로그램이 당신의 욕망에 따라 바꿀 수 있겠지. 그러지?

1 시간, 각 10분으로 나눠 있다

1) 처음으로 시작해서 10분 동안 한국 뉴스를 영어로 방송한다. English Update라고 한다. 정치뉴스, 경제뉴스, 시회뉴스, 용산뉴스, 철거와 재개발 뉴스, 이주노동자 뉴스, 시위와 집회 뉴스, 등등으로 구성한다. 중요한 일을 취재해나왔으면 좋겠다구? 알려주시면 된다. 이메일을 보내주면 된다. 아니면 촛불미디어센터 와서 방송에 직접 참여하시면 되지!

2) 10분 동안 외국, 세계 뉴스를 한국어로 방송한다.

3) 10분 동안 앞으로 생길 행사를 한국어로 전달한다. 시간이 되면 아마 영어로도 전달할 것 같다. 공공적으로 개최할 행사,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 집회, 시위, 상영회, 문화제, 등등에 대해 알려줌으로 구성한다.

4) 10분 동안 인터뷰한다. 아직 누구를 인터뷰, 무엇에 대한 인터뷰를 할지 모른다. 인터뷰해줄래? 무엇에 대해? 아니면 당신이 다른 사람을 인터뷰할래? 등등으로 참여해줘라.

5) 10분 정도 동안 음악을 방송한다. 아무노래나 나오지 않은 것이다. 비판적 혹은 희망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음악을 방송하겠다. 우리 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너무 엄격적인 규제인가? 저항에 관한 음악, 혁신적 음악은 무엇인지 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기준이 없잖아. 사회형상에 따라 구성해가는 이데오로기적 의미잖아. 아이구, 와서 참여해줄래?

6) 10분 동안 제일 재미있을 것이라고 할까? Free Talk!!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이야기, 토론, 등등으로 구성해 나온다.

참 신난다. 연락하거나 그냥 와서 참여해봐. 미디어가 되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채소밭에서 찾은 것은

오늘 넷빈집에서 씨뿌리기를 위해서 채소밭을 준비하고 있었을 때 맛있나 보는 잡초를 찾았다.

냄새도 맡아보니 좋다.

당근과 같이 보이지만 당근은 다년생의 식물이 아니잖아.

이 것은 무엇인지 알고 있는 분이 계십니까?

한번 봐봐.

 

아기 당근과 같지? 아니면 열무?

아무튼 맛있나 보고 냄새가 좋고 아름다워서 궁금하게 해주는 식물...잡초....야채.....과일.....친구.....적대자? 흐음.....

오늘 접촉하기 좋은 하나의 잡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제안하는 언론재개발의 테마 노래



노래를 만들었다. 친구 2명도 <언론재개발>라고 외치고 내가 <행동하는 라디오, action radio>라고 말하고 서울역 1월 23일 시위에서 나온 발언 소리도 나오고 노래를 불린 것도 포함한다. 좀 시끄럽기도 한다. 들으면서 사람의 심장이 더 빨리 시끄럽게 고동되면 좋겠다.

이 노래를 엄청 좋아한다면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http://www.archive.org/details/ActionRadio_93

돕도 짱인 듯 노래를 만들었지 - http://blog.jinbo.net/dopehead/?pid=71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언론재개발 라디오 설립되었다

춧불미디어센터에서 새로운 라디오 방송국이 설립되었다. 415일 저녁에 첫번째 회의를 개최해서 <언론재개발 행동하는 라디오>로 명칭했다.


언론재개발은 철거민의 목소리 중심으로 방송하기로 했다. 인터뷰, 뉴스보도, 행사소식, 음악, 등등을 할 것이다.


매일 2시간 동안 방송할 것이다. 생방송은 11시반부터 12시반까지 나와서 5시반부터 6시반까지 다시 나올 것이다. 취재해 방송할 내용은 용산 상황 및 소식, 용산참사에 대한 시민들의 생각, 전국의 재개발 철거 현장 소식, 등등으로 구성하려고 한다. 매주 화요일의 방송은 영어로 나오기도 할 것이다.


다음 주 월요일 20일에 방송하기 시작하고 당일 저녁에 촛불미디어센터에서 제2의 회의를 개최할 것이다. 모든 회의들은 공공적으로 열려서 누구나 관심이 있다면 올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