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12/9] 존 듀이의 논리학 서문과 목차

출처 : http://www.4shared.com/get/a8DbQSqi/John_Dewey_-_Logic_The_Theory_.html

 

------

 

[20111209_존 듀이의 논리학 서문과 목차.hwp (24.15 KB) 다운받기]

 

------

 

존 듀이, 논리학 - 탐구의 이론, 헨리홀트 출판사(Henry Holt and Company), 1939.
서문과 목차

 


LOGIC
THE THEORY OF INQUIRY
By
JOHN DEWEY
NEW YORK
HENRY HOLT AND COMPANY
논리학
탐구의 이론
존 듀이에 의해
뉴욕
Henry Holt and Company

 

COPYRIGHT, 1938, BY
HENRY HOLT AND COMPANY, INC.
January, 1939
저작권, 1938,
Henry Holt and Company(주)에 의해
1938년, 1월

 

PRINTED IN THE-UNITED STATES OF AMERICA
미국에서 인쇄된

 

 

PREFACE
서문

 

BOOK is a development of ideas regarding the nature of logical theory that were first presented, some forty years ago, in Studies in Logical Theory; that were somewhat expanded in Essays in Experimental Logic and were briefly summarized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in How We Think: While basic ideas remain the same, there has naturally been considerable modification during the intervening years. While connection with the problematic is unchanged, express identification of reflective thought with objective inquiry makes possible, I think, a mode of statement less open to misapprehension than were the previous ones. The present work is marked in particular by application of the earlier ideas to interpretation of the forms and formal relations that constitute the standard material of logical tradition. This interpretation has at the same rime involved a detailed development, critical and constructive, of the general standpoint and its underlying ideas.

이 책은, 약 40년 전에, 『논리학 이론 연구』(Studies in Logical Theory)에서 처음 제시되었던 논리학 이론의 본성을 주목해 본 아이디어의 발전이다; 그것은 얼마간 『경험적 논리학 에세이』(Essay in Experimental Logic)에서 확장되었고 그리고 『우리가 생각하는 방법』(How We Think)에서의 교육에 대한 특별한 언급에 간략하게 요약되었다. 기본적 아이디어가 똑같은 것으로 남은 반면에, 사이에 낀 시절 동안에 상당한 수정이 당연히 있었다. 문제가 되는 것(the problematic)과의 연결이 안 변한 반면에, 객관적 탐구와의 반성적 사고의 정체성 표현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내가 생각하기에, 진술의 양식이 이전의 것의 그랬던 것보다 오해에 덜 열리도록 말이다. 현재의 작업은 이전의 아이디어를 논리학 전통의 표준적인 재료들을 구성하는 형식과 형식적인 관계들의 해석에 적용함으로써 특정하게 특징지어진다. 이 해석은 일반적인 입장과 그것의 밑에 있는 세부적이고, 비판적이고 그리고 건설적인, 발전을 포함한다.

 

In this connection, attention is called particularly to the principle of the continuum of inquiry, a principle whose importance, as far as I am aware, only Peirce had previously noted. Application of this principle enables an empirical account to be given of logical forms, whose necessity traditional empiricism overlooked or denied while at the same time it proves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m as a priori unnecessary. The connection of the principle with generalization in its two forms which are systematically distinguished through out the work and with the probability coefficient of all existential generalizations is, I suppose, sufficiently indicated in the chapters devoted to these topics. The basic conception of inquiry as determination of an indeterminate situation not only enables the vexed topic of the relation of judgment and propositions to obtain an objective solution, but, in connection with the conjugate relation of observed and conceptual material, enables a coherent account of the different propositional forms to be given.
이 연결에서, 관심은 탐구의 연속체의 원리, 그것의 중요성을, 내가 아는 한, 오직 퍼스(Peirce)만이 이전에 노트했던 원리로 특정하게 불린다. 이 원리의 적용은 경험적 기술(記述)이 논리학 형식에 대해 주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것의 필수성을 전통적인 경험주의가 간과하고 부인했었던 반면에 동시에 선험적인 것(a priori)으로서 그것의 해석이 이 불필요하다는 것이 입증된다. 그것의 두 형식 - 일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구별된다 -에서 일반화와 그리고 모든 존재적 일반화의 계수적 가능성과 원칙의 연결은, 내가 가정하기로는, 이 주제에 바쳐진 장에서 충분히 가리켜진다. 불확정적 상황의 확정으로서 탐구의 기본 개념은 객관적 해결을 획득하기 위한 판단과 주장의 관계라는 난처한 주제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찰된 그리고 개념적 재료들의 결합적 관계와 연결에서, 주어진 다른 주장적 형식의 일관된 기술을 가능하게 한다.
 

The word "Pragmatism" does not, I think, occur in the text. Perhaps the word lends itself to misconception. At all events, so much misunderstanding and relatively futile controversy have gathered about the word that it seemed advisable to avoid its use. But in the proper interpretation of "pragmatic," namely the function of consequences as necessary tests of the validity of propositions, provided these consequences are operationally instituted and are such as to resolve the specific problem evoking the operations, the text that follows is thoroughly pragmatic.

“실용주의(Pragmatism)”라는 단어는, 내가 생각하기에, 이 본문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아마도, 그 단어는 그 자신을 그릇된 생각에 빌려준다. 모든 사건에서, 너무 많은 오해와 비교적 비옥한 논쟁이 그 단어에 관하여 모여서 그것의 사용이 피해지는 것이 권해지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실용주의”에 대한 적합한 해석에서, 즉 가정의 유효성에 대한 필요한 테스트로서 결과의, 준비된(provided) 이 결과의 기능은 작용적으로 설치되고 그리고 작용을 불러일으키는 특유한 문제를 해결하리만큼, 따라오는 본문은 철저하게 실용적인이다.
 

In the present state of logic, the absence of any attempt at symbolic formulation will doubtless cause serious objection in the minds of many readers. This absence is not due to any aversion to such formulation. On the contrary, I am convinced that acceptance of the general principles set forth will enable a more complete and consistent set of symbolizations than now exists to be made. The absence of symbolization is due, first, to a point mentioned in the text, the need for development of a general theory of language in which form and matter are not separated; and, secondly, to the fact that an adequate set of symbols depends upon prior institution of valid ideas of the conceptions and relations that are symbolized. With out fulfilment of this condition, formal symbolization will (as so often happens at present) merely perpetuate existing mistakes while strengthening them by seeming to give them scientific standing.
논리학의 현재 상태에서, 상징적 형성에서 어떠한 시도의 부재는 많은 독자들의 마음 속에서 의심할 바 없이 심각한 반대를 일으킬 것이다. 이 부재는 그러한 형성에 대한 어떤 반감에 기인한 것이 아니다. 정반대로, 나는 앞으로 일반적 원리 세트의 수용이 만들어지기 위해 지금 존재하는 것보다 상징화의 보다 완벽하고 지속적인 세트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상징화의 부재는, 첫째, 본문에서 언급된 지점, 형식과 문제가 분할되지 않는 언어의 일반적 이론의 발달에 대한 필요에 기인한다; 그리고, 둘째로, 상징의 적당한 세트가 상징화도는 개념과 관계의 유효한 아이디어의 앞선 설치에 의존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 조건의 이행 없이, 형식적 상징화는 (현재에 너무 자주 일어나는 것처럼) 단지 존재하는 실수들을 영속시킬 것이다. 그것들에게 과학적 입지를 주는 것처럼 보임으로써 그것들을 강화시키는 동안 말이다.


Readers not particularly conversant with contemporary logical discussions may find portions of the text too technical, especially perhaps in Part III. I suggest that such readers interpret what is said by calling to mind what they themselves do, and the way they proceed in doing it, when they are confronted with some question or difficulty which they attempt to cope with in an intellectual way. If they pursue this course, I think the general principles will be sufficiently intelligible so that they will not be unduly troubled by technical details. It is possible that the same advice is applicable in the case of those whose very familiarity with current logical literature constitutes an obstruction to understanding a position that is at odds with most current theory.
동시대의 논리학 토론에 특정하게 정통하지 않은 독자들은 특히 3부에서, 너무 기술적인 본문의 조각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나는 그러한 독자들은 그들이 그들 자신에게 하는 것을 상기함으로써 말해지는 것을, 그리고 그들이 그것을 하는 것에서 나아가는 방식을 해석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들이 몇몇 지적인 문제에 방법에서 대처하려고 시도하는 몇몇 질문 또는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말이다. 만약 그들이 이 과정을 추구한다면, 나는 일반적 원리가 충분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어서 그들이 기술적 세부사항들에 의해 과도하게 곤경에 처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똑같은 충고가 현재의 논리학 문헌과 바로 그 친밀이 대다수 현재의 이론과 불화하는 입장을 이해하는 것에 대한 폐색을 구성하는 이들의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As far as logical treatises and their authors are concerned, I hope the work itself affords sufficient indication of my chief lines of in debtedness. I should however state explicitly that, with the out standing exception of Peirce, I have learned most from writers with whose positions I have in the end been compelled to disagree, it happens that there is no reference in the text to the writings of A. F. Bentley, I wish to record here how much I owe to them. My indebtedness to George H. Mead is also much greater than is indicated by the text.
논리학 논문과 그들의 저자가 관련되는 한, 나는 일 그 자체가 은혜입음에 대한 나의 주요한 선의 충분한 지시를 할 여유가 있기를 희망한다. 나는 하지만, 퍼스에 대한 걸출한 예외와 함께, 내가 동의하지 않을 수밖에 없었던 입장의 지은이들로부터 대부분을 배웠다는 것을 명백하게 언급해야 한다. 본문에 에이 에프 벤틀리(A. F. Bentley)의 글에 대한 언급이 없는 일이 일어났기 때문에, 나는 내가 얼마나 많이 그에게 빚지고 있는지를 여기에 기록하고 싶다. 조지 에이치 미드(George H. Mead)에 대한 나의 은혜입음도 또한 본문에 지시된 것보다 훨씬 거대하다.

 

With emphatic repetition of the disclaimer that is usual in the case of personal acknowledgments of indebtedness, it is a pleasure to mention some of them my obligation to a succession of students for a period of more than a generation in which I have lectured on the themes of this volume can only be stated in this general way. Dr. Sidney Hook has read the several versions of all the chapters of this book and I have profited immensely by his suggestions and criticisms, both as to manner and substance of what was contained in these chapters. Dr. Joseph Ratner read many of the chapters and I am also indebted to him for suggestions and corrections. In some of the more technical chapters I have availed myself freely of the superior knowledge and competency of Dr. Ernest Nagel. It is my fault, not his, if avoidable errors still exist in the chapters referred to.
은혜입음에 대한 개인적 인정의 경우에서 보통인 부인의 단호한 되풀이와 함께, 그들의 일부를 언급하는 것은 즐거움이다 - 내가 이 책의 테제를 강의했던 세대보다 더 많은 기간 동안 학생의 연속에 대한 나의 의무가 이 일반적인 방식으로 단지 언급될 수만 있다. 시드니 훅(Sidney Hook) 박사는 이 책의 모든 장의 몇 개의 버전을 읽었고 그리고 나는 형식과 이 장들에 포함된 내용에 대한 그의 제안과 비판에 의해서 무한히 이득을 봤다. 조셉 라트너(Joseph Ratner) 박사는 많은 장을 읽었고 나는 제안과 수정에 대해 그에게 또한 빚졌다. 몇몇 더 많이 기술적인 장에서, 나는 어니스트 나겔(Arnest Nagel) 박사의 보다 나은 지식과 수행능력을 자유롭게 이용했다. 만약 관련된 장들에 피할 수 있는 실수가 여전히 존재한다면, 그것은 나의 잘못이다, 그가 아니라.


In conclusion, I want to say that the treatise that follows is introductory. It is a presentation of a point of view and method of approach. Although the statement of them has been maturing for over forty years, I am well aware that the presentation does not have and could not have the finish and completeness that are theoretically possible. But I am also convinced that the standpoint is so thoroughly sound that those who are willing to entertain it will in the coming years develop a theory of logic that is in thorough accord with all the best authenticated methods of attaining knowledge. My best wishes as well as my hopes are with those who engage in the profoundly important work of bringing logical theory into accord with scientific practice, no matter how much their conclusions may differ in detail from those presented in this book.
결론적으로, 나는 따라오는 논문이 시험적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것은 시점과 접근법의 제시이다. 그것들의 언급이 사십 년 동안 성숙되었다 할지라도, 나는 제시가 종결과 이론적으로 가능한 완벽함을 가지지 않고 그리고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나는 입지점이 너무 통틀어서 철저해서 그것을 기꺼이 즐기려는 이들이 달성된 지식의 모든 가장 믿을 만함이 입증된 수단과 함께 완전히 조화되는 논리학의 이론을 다가오는 해에 발달시키리라고 또한 확신한다. 나의 희망 뿐만 아니라 나의 최선의 바람은 과학적 실천과 조화하며 논리학 이론을 가져오는 것의 심오하게 중요한 일 종사하는 이들과 함께 있다, 그들의 결론이 세부사항에서 이 책에 제시된 것들과 정말 많이 다를 지도 모른다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J.D.
Hubbards, Nova Scotia
August 24, 1938
제이. 디.(J. D.)
노바 스코샤(Nova Scotia) 허바드(Hubbards)
1938년 8월 24일

 


CONTENTS
PART I
INTRODUCTION
목차
1부
도입

 

I THE PROBLEM OF LOGICAL SUBJECTMATTER 1
II THE EXISTENTIAL MATRIX OF INQUIRY: BIOLOGICAL 23
III THE EXISTENTIAL MATRIX OF INQUIRY: CULTURAL ....... 42
IV COMMON SENSE AND SCIENTIFIC INQUIRY 60
V THE NEEDED REFORM OF LOGIC ... 81
Ⅰ 논리학 주체 문제(SUBJECT-MATTER)의 문제
Ⅱ 탐구의 존재에 관한 매트릭스 : 생물학적
Ⅲ 탐구의 존재에 관한 매트릭스 : 문화적
Ⅳ 상식과 과학적 탐구
Ⅴ 논리학의 필요한 개혁

 

PART II
THE STRUCTURE OF INQUIRY AND THE CONSTRUCTION OF JUDGMENTS
2부
탐구의 구조와 판단의 건설

 

VI THE PATTERN OF INQUIRY .... 101
VII THE CONSTRUCTION OF JUDGMENT . . 120
VIII IMMEDIATE KNOWLEDGE: UNDERSTAND ING AND INFERENCE . . . . . 139
"MX JUDGMENTS OF PRACTICE: EVALUATION 159
X AFFIRMATION AND NEGATION: JUDGMENT AS REQUALIFICATION ... 181
XI THE FUNCTION OF PROPOSITIONS OF QUANTITY IN JUDGMENT .... 199
XII JUDGMENT AS SPATIAL-TEMPORAL DETER MINATION: NARRATION-DESCRIPTION . 220
XIII THE CONTINUUM OF JUDGMENT: GENERAL PROPOSITIONS .... 245
XIV GENERIC AND UNIVERSAL PROPOSITIONS . 264
Ⅵ 탐구의 패턴
Ⅶ 판단의 건설
Ⅷ 즉각적 지식 : 이해와 방해
Ⅸ 실천의 판단 : 평가
Ⅹ 단언과 부정 : 판단과 재취득(requalification)
ⅩⅠ 판단에서 다수의 제안의 기능
ⅩⅡ 공간적-일시적 결정으로서 판단 : 서사-묘사
ⅩⅢ 판단의 연속체 : 일반적 명제
ⅩⅣ 일반적이고 보편적 명제

 

PART 111
PROPOSITIONS AND TERMS
3부
명제와 용어

 

XV GENERAL THEORY OF PROPOSITIONS . . 283
XVI PROPOSITIONS ORDERED IN SETS AND SERIES 311
XVII FORMAL FUNCTIONS AND CANONS . . 328
XVIII TERMS OR MEANINGS 349
ⅩⅤ 명제의 일반적 이론
ⅩⅥ 세트와 시리즈에서 명령된 명제
ⅩⅦ 형식적 기능과 정전
ⅩⅧ 용어와 의미

 

PART IV
THE LOGIC OF SCIENTIFIC METHOD
4부
과학적 수단의 논리학

 

XIX LOGIC AND NATURAL SCIENCE: FORM AND MATTER 371
XX MATHEMATICAL DISCOURSE. ... 394
XXI SCIENTIFIC METHOD: INDUCTION AND DEDUCTION 419
XXII SCIENTIFIC LAWS-CAUSATION AND SEQUENCES 442
XXIII SCIENTIFIC METHOD AND SCIENTIFIC SUBJECT-MATTER 463
XXIV SOCIAL INQUIRY 487
XXV THE LOGIC OF INQUIRY AND PHILOSOPHIES OF KNOWLEDGE 513
ⅩⅨ 논리학과 자연 과학 : 형식과 물질
ⅩⅩ 수학적 담화
ⅩⅩⅠ 과학적 수단 : 귀납법과 연역법
ⅩⅩⅡ 과학적 법칙 : 인과와 연쇄
ⅩⅩⅢ 과학적 방법과 과학적 주체 문제
ⅩⅩⅣ 사회적 탐구
ⅩⅩⅤ 탐구의 논리학과 지식의 철학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