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모터싸이클 다이어리

체 게바라는 지금에 와서는 실체가 없는 이미지이다.
그래서 체 게바라에 대한 책이 나와도, 무슨 상품이 나와도 애써 쳐다보지 않으려고 애썼다. 번번히 그를 이용하는 사람들에 실망했던 기억이 가득하기 때문에..
그래서 체라고 불리기 이전으 에르네스토 게바라였을 때, 떠난 남미 여행의 기록을 영화로 담는다는 소식과 수상했다는 소식이 들렸을 때도 내가 그영화를 보기 위해 극장을 가게 될까 의심했다.
훗..그러나 결국 극장으로 향한 나의 발걸음의 시작부터 머리속이 자글거렸다. '너는 무엇때문에 또 그를 이용했을 지도 모르는 영화를 보러가냐?'
그냥 보고 싶었다고 답할 수밖에..
그 여행에서 만난 무엇이 그를 흔들었을까.
나는 왜 서른 즈음에 돌아가지도 못할 길위에서 앞으로 한발 딛지 못하고 배회하고 있을까.
체게바라를 흔들었던 무엇인가는 아마도 내가 꿈꾸는 무엇인가와 닿아있지 않을까.(감히..)
영화는 너무 좋아서 가슴이 사무치는 것도 아니고, 나쁜 것은 더더욱 아니었다. 그런데 23살의 체 게바라가 사람을 바라보는 시선을 따라가다가 아무도 울지 않는 조용한 영화관에서 나는 혼자 앉아 혼자 꺽꺽 속울음을 삼키며 울고 있었다. 슬픈 장면도 아니고, 클라이막스도 없는데..주루룩 흐르는 눈물도 아니고, 극장이 아니면 통곡을 했을지도 모를 위험천만한 상황이었다.
풍광과 음악이 좋다고 사람들이 그랬다. 그런데 그것보다 인간을 바라보는 20대 초반의 체게바라가 너무 솔직해서 풍광과 음악은 그다지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체게바라의 초심을 제대로 만들어 보고 싶었던 감독의 노력, 감독이 바라보는 사람에 대한 따뜻한 시선도 체게바라와 함께 전달되었다.
함께 여행을 떠났던 늙은, 그리고 실제 인물 알베르토가 두사람이 헤어진 비행장에서 응시하는 그 시선 속에 녹아있는 50년의 세월..
영화관을 나오면서 걷잡을 수 없이 우울해졌다.
체게바라가 나에게 유명한 것은 미모도 판화로 찍은 이미지가 아니라 권력에 집착하지 않고 가야할 길, 그가 처음 떠났던 그길 위에서 멈추지 않았기 때문이다.
누군가, 특히 대단한 인물을 통해 자신을 반추해보는 것은 상당히 비참한 일이다.
집에 돌아오는 길에 스스로에게 자꾸 묻게 되었다. 니가 선택한 길이 맞냐? 그 질문에 대해서는 '맞다'. 그럼 마음의 흐름이 멈추고 있는 것은 아니냐?
결론은 그것이지..멈추지 말고 움직여라, 걸어가라, 적어도 나의 선택이 내맘에 비추어 그르거나 버거운 것이 아니라면 최선을 다해서 살아라..사람에게 진심으로 대하라..

그래서..우울한 하루를 보냈다. 노동자대회를 가야 하는 오늘도 여전히 우울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