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Damien Saez - Jeunesse lève-toi

  • 분류
    일상
  • 등록일
    2010/04/20 21:09
  • 수정일
    2014/11/07 13:01
  • 글쓴이
    푸우
  • 응답 RSS

 

 

 

 

 

Damien Saez - Jeunesse lève-toi
다미앙 세즈 - 젊음이여 일어나라
 
Comme un éclat de rire
Vient consoler tristesse
Comme un souffle avenir
Viens raviver les braises
Comme un parfum de souffre
Qui fait naître la flamme
Jeunesse lève-toi
환한 웃음이
슬픔을 위로하듯
불어오는 바람이
불꽃을 다시 일게 하듯
불길을 태어나게 하는
고통의 향기처럼
젊음이여 일어나라
 
Contre la vie qui va qui vient
Puis qui s'éteint
Contre l'amour qu'on prend, qu'on tient
Mais qui tient pas
Contre la trace qui s'efface
Au derrière de soi
Jeunesse lève-toi
왔다가 가더니
마침내 꺼지는 삶에 맞서서
붙잡고 붙들었는데도
무너져버리는 사랑에 맞서서
자기 뒤에서
지워지는 흔적에 맞서서
젊음이여 일어나라
 
Moi contre ton épaule
Je repars à la lutte
Contre les gravités qui nous mènent à la chute
Pour faire du bruit encore
A réveiller les morts
Pour redonner éclat
A l'émeraude en toi
우리를 추락하게 하는 중력에 맞서며
죽은 자들을 다시 깨우는
소리를 내기 위하여
네 안에 있는 에메랄드를
다시 빛내기 위하여
너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나는 다시 싸운다
 
Pour rendre au crépuscule
La beauté des aurores
Dis moi qu'on brûle encore
Dis-moi que brûle encore
Cet espoir que tu tiens parce que tu n'en sais rien
De la fougue et du feu que je vois dans tes yeux
Jeunesse lève-toi !
황혼에게
여명의 아름다움을 돌려주기 위하여
우리가 아직 타오르고 있음을,
내가 너의 눈에서 본 정열과 열기에 대해
네가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에 네가 붙잡고 있는 희망이
아직 타오르고 있음을 말해다오
젊음이여 일어나라!
 
Quand tu vois comme on pleure
A chaque rue sa peine
Comment on nous écoeure
Perfusion dans la veine
A l'ombre du faisceau
Mon vieux tu m'aura plus !
Ami dis quand viendra la crue
길목마다 자기의 괴로움 때문에
울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네가 보게 될 때
어떻게 우리 피가 마를 때까지
우리를 역겹게 만드는지 네가 알게 될 때
파시즘의 그늘이 뻗어올 때
내 오랜 친구여, 그때 나는 네 곁에 더 이상 없을지도 모르지!
친구여 그 물결이 언제쯤 올지 말해다오
 
Contre courant toujours sont les contre-cultures,
Au gré des émissions leurs gueules de vide-ordures
Puisque c'en est sonné la mort du politique,
L'heure est aux rêves
Aux Utopiques !
텅 빈 쓰레기 같은 입으로 떠드는 방송 프로그램에 중독된
반문화는 항상 흐름의 진행을 방해하지
어차피 정치적인 사회에게 사망 선고가 내려졌으니
그저 꿈이나 꾸고
유토피아나 바라는 수밖에!
 
Pour faire nos ADN
Un peu plus équitables,
Pour faire de la poussière
Un peu plus que du sable
Dans ce triste pays
Tu sais un jour ou l'autre
Faudra tuer le père
Faire entendre ta voix
Jeunesse lève-toi !
이 슬픈 나라에서
우리 DNA가
보다 더 형평해지기 위해
먼지가 조금이라도
모래보다 나아 보이게 하기 위해
너도 알겠지만 언젠가는
아버지를 죽이고
네 목소리를 내야 해
젊음이여 일어나라!
 
Au clair de lune indien
Toujours surfer la vague
A l'âme au creux des reins
Faut aiguiser la lame
Puisqu'ici il n'y a qu'au combat qu'on est libre
De ton triste sommeil, je t'en prie libère-toi !
자연의 밝은 보름달 아래에서
항상 파도를 타지
깊숙이 박혀있는 영혼을 위하여
칼날을 세워야지
어차피 여기서 우리는 투쟁할 때만 자유로우니까
너의 슬픈 잠에서 제발 벗어나다오!
 
Puisqu'ici il faut faire des bilans et du chiffre
Sont nos amours toujours au bord du précipice,
N'entends-tu pas ce soir chanter le chant des morts ?
Ne vois tu pas le ciel à la portée des doigts ?
Jeunesse lève-toi !
어차피 여기서는 보고서와 자료를 만들어야 하다 보니
우리의 사랑은 언제나 벼랑 끝에 몰려있지
오늘 저녁, 죽은 자들의 노랫소리가 들리지 않니?
네 손가락에 닿을 것 같은 하늘이 보이지 않니?
젊음이여 일어나라!
 
Comme un éclat de rire
Vient consoler tristesse,
Comme un souffle avenir
Vient raviver les braises
Comme un parfum de souffre
Qui fait naître la flamme
Quand plongé dans le gouffre on sait plus où est l'âme
Jeunesse lève-toi !
환한 웃음이
슬픔을 위로하듯
불어오는 바람이
불꽃을 다시 일게 하듯
불길을 태어나게 하는
고통의 향기처럼
틀에 박히고 나면 더 이상 영혼이 어디 있는지 모르게 되니
젊음이여 일어나라!
 
Contre la vie qui va qui vient
Puis qui nous perd,
Contre l'amour qu'on prend qu'on tient
Puis qu'on enterre
Contre la trace qui s'efface
Au derrière de soi
JEUNESSE LÈVE-TOI !
Jeunesse lève-toi
왔다가 가더니
마침내 우리를 져버리는 삶에 맞서서
붙잡고 붙들었고
결국 우리가 묻어버리는 사랑에 맞서서
자기 뒤에서
지워지는 흔적에 맞서서
젊음이여 일어나라!
젊음이여 일어나라
 
Au clair de lune indien
Toujours surfer la vague
A l'âme au creux des reins
Faut aiguiser la lame
Puisqu'ici il n'y a qu'au combat qu'on est libre
De ton triste coma, je t'en prie libère-toi !
자연의 밝은 보름달 아래에서
항상 파도를 타지
깊숙이 박혀있는 영혼을 위하여
칼날을 세워야지
어차피 여기서 우리는 투쟁할 때만 자유로우니까
너의 슬픈 혼수 상태에서 제발 벗어나다오!
 
Puisqu'ici il faut faire des bilans et du chiffre
Sont nos amours toujours au bord du précipice,
N'entends-tu pas ce soir chanter le chant des morts
A la mémoire de ceux qui sont tombés pour toi
Jeunesse lève-toi
어차피 여기서는 보고서와 자료를 만들어야 하다 보니
우리의 사랑은 언제나 벼랑 끝에 몰려있지
오늘 저녁, 너를 위해 쓰러져간 자들을 기념하는
죽은 자들의 노랫소리가 들리지 않니?
젊음이여 일어나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살인의 추억>, 무엇을 기억할 것인가

  • 분류
    단상
  • 등록일
    2010/04/19 17:05
  • 수정일
    2014/11/07 13:01
  • 글쓴이
    푸우
  • 응답 RSS

봉준호의 <살인의 추억>은 뒤늦게 80년대를 회상한다. 그는 신군부를 소환하고, 파묻고만 싶었던 (그리고 비경험자인 나는 감히 말할 수 없는) 살아남은 자의 죄의식을 끄집어낸다. 연출자가 불러내는 사건은 절묘하게, 혹은 (지나치게) 작위적으로 개인서사로서의 살인과 거대서사로서의 살인을 비교하고 대조한다.

 

약간 재미없는 법학적인 시선을 투영해보자. 법학에서 그나마 약간의 철학적 담론이 가능한 형사소송절차에 관한 이야기이다. 애초 수사를 통해 밝혀낸 사실이라는 것은, 도저히 실체를 파악할 수 없는 무한한 연속의 총합인 사건을 잘라내고 재구성한 결과물에 불과하다. 봉준호가 무언가를 기억한다고 함은, 수사에서와 마찬가지로 무언가를 재구성한다는 것이고, 동시에 다른 무언가를 망각한다는 것이다. 서정주가 말하지 않은 2할, 침묵을 지켜야만 하는, 자갈로 입이 막힌 망각된 객체는 무엇인가?

 

살인이 영혼에게 주는 압도적인 경종 때문인가? 강간이라는 단어가 주는 울림이 다소 천박한 탓일까? 분명 강간살인사건임에도 불구하고, 봉준호는 살인만을 추억한다. 제목에서부터 강간은 배제되고, 첫 번째 용의자가 산에 올라가 범행 내용을 ‘자백’할 때도, 강간에 대한 기술은 거의 빠져있다. 우리는 피해자가 여성이라는 애매한 그림자 같은 파편을 머릿속에 간직하고 있을 뿐, 사건은 어느새 연쇄살인사건으로 뇌리에 못 박힌다.

 

입체적이지만 결코 이분법을 뛰어넘지 못하는 구조 속에서, 시골형사(박두만, 송강호)와 서울형사(서태윤, 김상경)의 수사방법은 극적으로 대비된다. 적법절차를 거의 모두 무시하고(그렇다고 서울형사가 적법절차를 완벽하게 준수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로지 감에 의존해서 수사를 하는 시골형사는 이성과 논리, 과학에 의해 수사를 하려는 서울형사의 반대편이다. 연출자는 알게 모르게 후자의 손을 들어준다. ‘무고’한 첫 번째 그리고 두 번째 용의자를 누가 구출해 내는가? 서울형사.

 

이성과 논리, 감각과 감성의 이분법은 서양 철학사의 주된 쟁점임과 동시에 각각 남성성과 여성성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남성이 본래적으로 이성적이고, 여성이 본래적으로 감성적이라기보다는, 남성이 이성을 독점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담론의 경계 밖으로 밀려난 감성을 주워 담을 수밖에 없었던 탓이다. 그렇다면, 연출자의 의식적 의도와는 무관하게, 오히려 시골형사가 여성성의 대변자라는 설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바로 이 시골형사가 지목한 용의자들이야 말로 이 사건의 진범이다!

 

영화가 결코 답해주지 않는 물음이 있다. 왜 연쇄강간살인사건이 벌어졌는가? 단지 80년대이기 때문에? 대중은 애초 이 물음을 제기하지 않고, 봉준호도 물음에 답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봉준호가 진실을 아예 은폐하지만은 않은 까닭에 영화 속에서도 진실을 유추할 수 있는 흔적들이 발견된다.

 

우선 첫 번째 용의자가 있다. 그는 젓가락질조차 혼자서 못하는 장애인인데도 사건 당일 피해자를 쫓는 것이 목격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부당한 수사에 시달린다. 뒤에 밝혀지지만 그는 유력한 목격자였다. 목격자? 아니다. 용의자는 사건 당시 현장에 있었으면서도 어떠한 구조의 노력도 하지 못한 채 사건을 지켜보기만 한 방관자이다. 수사기관에다가, 마치 좋았던 기억을 떠올리듯 입가에 미소를 머금으며 당시의 정황을 설명하는 비겁한 방관자이다. 그가 이 연쇄강간살인사건의 첫 번째 범인이다.

 

두 번째 용의자가 있다. 그는 범행 현장에서 자위를 했다는 이유만으로 범인으로 무리하게 몰린다. 단지 변태일 뿐인데 온갖 고문을 당한다. 그러나 그는 단지 변태일 뿐이었을까? 그는 괴물의 형태처럼 나타난 가부장제의 무의식 그 자체이다. 아내의 병간호에 적극적이며, 성실한 기독교 신자이지만, 그 가면 아래에는 여성을 묶고 소유하고 강간하려는 욕망을 숨기고 있는, 바로 가부장제다. 모든 성범죄를 가능케 하는 형제애적이고 무의식적인 동조의식을 형상화한 모습이다. 두 번째 용의자야말로 범죄를 조직하고 조종하는 수괴, 상부구조이다.

 

서울형사는 이성과 논리로 두 용의자의 혐의를 풀어준다. 그는 첫 번째 용의자를 장애인으로, 두 번째 용의자를 변태로 재호명함으로써 방관자와 그 방관을 가능케 하는 무의식에게 더러운 면죄부를 안겨준다. 대신, 이성과 논리는 새로운 용의자를 소개한다. 관객은 새로운 용의자가 진짜 범인이라고 믿고 싶다. 세 번째 용의자는 이상할 정도로 강한 여성성을 지닌다. 그의 외모부터 말투, 고운 손, 작업장에서 ‘여고생이 연애편지 쓰듯’ 다소곳이 앉아있는 그의 모습. 전형적인 남성성과는 거리가 멀다. 아니, 오히려 영화적 설정 때문에 범인이 남성일 수밖에 없기에, 남성의 몸을 빌린 여성이 범인으로 지목되는 상황이라고 봐야겠다. 서울형사, ‘고귀한’ 이성과 논리가 제시한 대안은 가부장을 완벽하게 구제하는 것이며 어차피 피해자로 전락해버린 여성, 주체적인 말하기를 할 수 없는 여성에게 가해자로서의 책임까지 지워버리는 것이다. 고운 손과 감성적인 얼굴로 대변되는 세 번째 용의자는, 전형적인 사이코패스의 징후를 지니고 있고, 영화 또한 이를 암시하고 있지만, 그는 여성의 변주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80년대가 재구성되기 위해서는 서사가 닫히면 안 된다. 그래서 세 번째 용의자는 다시 이성과 과학의 이름하에 무죄를 선고받는다. 여기서 여성으로서의 세 번째 용의자가 구출되는 작용은 이성적, 역사적 반성의 효과에 불과해 보인다. 정말 이성과 과학이 그를 구했는가? 미국에서 보냈다는 종이는 오히려 서울형사로 하여금 그에 대한 살의를 일으키게 한다. 사실상 세 번째 용의자를 구해준 것은, 비에 젖은 무기력한 종이쪼가리가 아니라 그의 뒤에 버티고 서있던 터널이다. 그는 터널(자궁) 안으로 들어가면서 비로소 이성의 폭력으로부터 안전해진다. 나는 봉준호가 어디까지를 의식했으며 어디부터를 지각하지 못했는지는 알 수 없다. 연출자로서의 그가 담아낸 역사적 진실 안에 가면을 쓴 여성의 잔재를 찾는 작업이다.

 

잔재는, 봉준호가 등장시키는 수많은 이름 없는 ‘수사 도우미’들에게서도 나타난다. 수사가 난관에 봉착할 때마다, 어디선가 힌트를 주는 사람이 나타난다. 첫 번째 용의자의 경우, 시골형사의 부인과 부인에게 링거를 맞은 할머니가 단서를, 두 번째 용의자의 경우 역시 부인과 여자인 점쟁이가 단서를, 세 번째 용의자의 경우 여자 학생과 여자 교사와 여자 피해자, 그리고 여자순경이 나타나 약간씩의 단서를 제공하고 바로 퇴장한다. 오로지 수사의 진행을 위해 등장한 인물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 내레이션의 가능성을, 연출에 의해 소멸되기 전까지 비춰준다. 바로 가부장제 밑에서, 가부장제의 보조적인 역할로 존재하고 있음에도, 그 역할을 맡으면서라도 존재하고 있음이, 그 존재 없이 남성은 주체성을 확립할 수 없음이, 보조로서의 여성을 타자화시키지 않는 한 남성의 주체가 없음이 카메라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애초 열쇠는 시골형사가 쥐고 있다. 그는 아내와의 섹스를 고작 위안거리로 삼는 팔루스의 형상화 이상도 이하도 아니면서도 반이성이라는 반주체성의 향유자이기도 하다. 엔딩신에서 여자 아이와 시골형사와의 대면은 그런 면에서 분열된 자아 간의 대화이기도 하다. 팔루스와 반이성의 대화 끝에, 관객을 응시하는 것은 팔루스다. 팔루스는 젠더를 봉인해버린 채, 강간을 망각으로 보내버리고 관객에게 오로지 살인의 추억만을 선사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시작은

  • 분류
    일상
  • 등록일
    2008/11/16 13:34
  • 수정일
    2014/11/07 13:02
  • 글쓴이
    푸우
  • 응답 RSS

어렵게 블로그를 열었다. 나에게 무려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다고 뻐기는 인터넷 때문에 시행착오를 겪었다. 그런 수모를 당하면서까지 블로그를 개설할 가치가 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그저 시행착오를 겪었고 그저 인터넷으로부터 무시당했을 뿐이다.

자신의 정체성을 굳이 한정지을 필요가 있을까 싶다. 왜 이 선택을 했는지 아직은 모르겠다. 진보가 지닌 의의와 한계와 허구성 중에서 하나를 택할 필요는 없다. 택일의 관계다 아니다. 내가 보기에는 택일인 것 같은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