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 쓰기

울산지역은 1987년 7~9월 노동자대투쟁이 일어난 뒤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노조를 비롯한 대공장 노동조합이 발전해왔습니다.

 

1997~1998년 IMF 이후에 대기업들은 정규직 신규 채용을 거의 하지 않고 사내하청노동자를 늘려왔습니다. 그 결과 현대중공업에는 정규직보다 훨씬 많은 2만여명의 사내하청노동자들이 정규직 임금의 2/3에도 못미치는 임금을 받고 정규직이 누리는 기업복지에서 배제된 채 일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도 7000여명의 사내하청노동자들이 있습니다. 정규직과 같은 컨베어라인에서 한쪽 바퀴는 정규직이, 다른 쪽 바퀴는 비정규직이 달고 있지만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정규직 노동자들보다 훨씬 적은 임금을 받습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생산라인에 신차가 투입되거나 차종이 단종됐을 경우 가장 먼저 정리해고 대상이 됩니다.

 

1998년 36일 동안 정리해고에 반대해 공장점거파업을 벌였지만 결국 정리해고를 당할 수밖에 없었던 현대자동차 정규직 노동자들은 “언제 잘릴지 모르는데 있을 때 벌자”며 잔업과 특근에 매달려왔고, 비정규직 노동자를 자신들 고용의 안전판으로 삼아왔습니다.

 

평균근속이 20년 가까이 되는 현대자동차 정규직 노동자들은 주야맞교대로 1년에 2000시간 이상 일합니다. 그렇게 일해서 받는 연봉이 5000~6000만원 가량 됩니다. 기업복지로 자녀들 대학등록금까지 보장받습니다. 그런데 막상 얘기를 들어보면 늘 돈에 허덕입니다.

 

늘어난 소비를 감당하려면 일을 더 할 수밖에 없는 ‘과소비-과노동’의 악순환이 10년 넘게 계속돼왔습니다. 동료가 일하다 쓰러져 과로사로 목숨을 잃어도 노동조합 대의원들이 산업재해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잔업과 특근을 끊으면 “죽은 사람은 죽은 사람이고, 산 사람들은 살아야지” 하며 항의하는 지경까지 갔습니다.

 

비정규직 노동조합을 정규직 노동조합에 받아들이자는 1사 1노조 규약 개정안은 정규직 노동조합 대의원대회에서 몇 차례나 부결됐습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연대하는 금속노조 총파업에 대한 찬반을 묻는 조합원 총투표는 큰 표차로 부결됐습니다. 최근에는 단체협약 요구안에 정규직 장기근속 조합원 자녀 우선채용 조항을 통과시켜 일자리 세습이라는 비난을 사기도 했습니다.

 

우리는 인간답게 살고 있나?

 

활동가 ㅇ씨는 묻습니다. “1987년 여름에 ‘인간답게 살고 싶다’고 노동조합을 만들었는데 24년이 지난 지금 과연 우리는 인간답게 살고 있는가?”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정규직 노동조합 조합원들을 보더라도 인간답게 사는 것 같지 않습니다. 아파트에, 승용차에, 임금은 올라갔지만 지긋지긋한 주야간 맞교대 장시간노동은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잔업과 특근을 더 하겠다고 아우성이고, 노동조합 대의원이나 집행부 선거에서도 생산물량을 확보해서 잔업, 특근을 더 따내는 활동가나 현장조직을 선택합니다.

 

비정규직 문제를 외면하고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연대하지 않은 결과 정규직 노동자의 자식들은 하청노동자가 돼 아버지와 함께 컨베어를 탑니다. 군대 가기 전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비정규직 아르바이트로 일하던 아들이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차별을 보면서 노동조합 활동가인 아버지에게 “아버지가 해온 노동운동이 이런 거예요?”라고 따지는 일도 있었습니다.

 

몇몇 정규직 활동가들은 출근시간 정문을 돌면서 정규직 노동운동을 참회하고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연대하자는 삼백배를 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역부족입니다.

 

많은 활동가들이 ‘무엇을 할 것인가’보다 노동조합이나 상급단체 간부 같은 ‘무엇이 될 것인가’를 목표로 활동합니다. 다른 사람이 ‘무엇’을 얘기하는가를 듣지 않고 ‘누가’ 얘기하는가를 보고 미리 판단하고 재단합니다. 현장조직들과 정파들 사이에 벌어지는 대립과 갈등, 이합집산은 여의도 국회 정치판 못지않습니다. ‘노동운동=권력게임’이 된지 오래입니다.

 

말로는 ‘성찰과 반성’을 얘기하고 ‘아름다운 연대’를 얘기하지만 막상 현실은 철저히 ‘정규직 이기주의’와 ‘눈 앞의 실리주의’를 따라 굴러갑니다. 활동가 ㅇ씨의 고민은 깊어만 갑니다.

 

 

켜켜이 쌓이는 상처, 마음의 병

 

노동운동만 고민일까요? 지역으로 눈을 돌려도 답답하긴 마찬가집니다.

 

울산지역에는 노동조합만이 아니라 환경운동, 시민운동, 인권운동, 학부모운동, 장애인운동, 여성운동, 문화운동을 하는 단체들이 많이 있습니다. 민주노동당이나 진보신당, 사회당 같은 진보정당들과 사노위, 노건투 같은 사회주의 정치조직들도 있습니다. 시민사회단체와 진보정치조직에서 일하는 활동가들 가운데는 10년 넘게 전업 활동가로 일해온 사람들도 적지 않습니다.

 

많은 활동가들이 10년 넘게 운동을 해왔는데 자기 활동과 삶의 전망이 잘 보이지 않는다고 토로합니다. 최저임금 수준의 상근 활동비, 실무만 되풀이하면서 내용은 쌓이지 않는 활동의 악순환, '시민 없는 시민운동' 같은 문제들도 고민입니다. 활동을 시작할 때 품었던 “세상을 바꾸겠다”는 꿈도 점점 희미해지는 것 같습니다.

 

정파조직들 사이의 갈등과 반목도 오래 됐고 심각합니다. 자기 정파 식구가 아니면 철저히 외면하고 배척합니다. 다수파는 소수파를 무시하고 배려하지 않습니다. 경쟁할 때는 경쟁하고 협력할 때는 협력하는 ‘룰’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습니다. 상처를 받고 운동판을 떠난 사람도 많습니다.

 

활동가들이 자기 마음을 살피고 돌보는 방법을 모릅니다. 마땅한 프로그램을 찾기도 어렵습니다. 마음의 병이 깊어져서 고통을 당하는 활동가들이 주위에 많이 있습니다. 노동조합 상급단체에서 상근하는 활동가들 대부분이 우울증 증세를 앓고 있다는 통계조사도 있습니다.

 

가만 들여다보면 ㅇ씨의 가슴에도 켜켜이 상처가 덧쌓여 있습니다. 활동은 점점 관성화돼가고, 활동 속에서 즐거움과 보람을 찾기가 점점 어렵습니다. 가슴이 답답해진 ㅇ씨는 해고자 ㄱ씨를 불러 저녁 소주 약속을 잡습니다. 소주 한잔에 동료와 수다라도 떨면 ㅇ씨의 고민은 좀 나아질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05/09 14:05 2011/05/09 14:05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plus/trackback/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