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의화 국회의장, 남북국회회담 위한 방북 추진

 
국민통합선언 1년, 정부 대북정책 수정 촉구
정성희 기자  |  tongil@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4.06.20  11:56:59
트위터 페이스북
   
▲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민통합회의' 1주년 기념 심포지엄 <국민통합선언 1년, 다시 평화와 통일의 길을 묻는다>가 열렸다. [사진-통일뉴스 정성희 기자]

19대 후반기 국회의장직을 맡은 정의화 국회의장이 방북 계획을 전하며 남북국회회담 추진에 강한 의지를 밝혔다.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민통합회의' 1주년 기념 심포지엄 <국민통합선언 1년, 다시 평화와 통일의 길을 묻는다>에 참석한 정의화 국회의장은 마무리 인사말을 통해 "정부간 대화채널이 꽉 막힌 상태에서 국회 차원의 대화가 절실하다"며 빠른 시일 내 남북국회회담을 성사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정 의장은 남북국회회담 추진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을 만나 전했다"면서 "정부 수준의 대화가 성숙해지도록 '마중물'의 역할을 하겠다. 어려운 남북관계의 물꼬를 트겠다"고 말하면서 6월 이내 국회의장 직속 국회 남북화해협력 자문위원회 구성, 국회의원 설문조사, 토론회 등 일련의 계획을 설명했다.

특히 정 의장은 과거 정치군사적 환경 변화에 따른 남북국회 실무회담의 좌절을 염두에 두고 "당일치기라도 평양 가서 최고인민회의 김영남 상임위원장이나 최태복 의장과 밥 먹고 남북국회회담 개최에 합의하고 돌아오겠다. 그런 다음 실무회담을 열어 세부 일정과 계획을 논의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한반도 평화를 지켜내는 가운데 조국의 통일을 이루는 것이야말로 우리에게 주어진 시대적 소명"이고 "통일의 비전은 우리나라가 더 크게 일어서는 필수과제"라면서 "분단 60여년의 남과 북의 차이는 5천년 우리 민족의 동질성에 비한다면 아무 것도 아니"라고 역설했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공동대표를 역임하고 5선 의원으로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통외통위) 상임위원회 활동 등을 통해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 실현에 적지 않게 애를 써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날 행사 인사말에서도 정 의장은 "본인은 의사 출신이고 처가 쪽은 평안도인데, 효도 차원에서라도 평양과 의주에 병원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 이날 심포지엄에서 19대 후반기 국회의장직을 맡은 정의화 국회의장이 방북 계획을 전하며 남북국회회담 추진에 강한 의지를 밝혔다. [사진-통일뉴스 정성희 기자]

이에 앞서, 지난해 발표한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민통합 선언문' 참가자 66인을 대표해 박남수 천도교 교령은 이 날 행사의 여는 인사말에서 "1년 전 선언문이 발표되고 많은 모임을 가졌고 국회 결의안까지 압도적 찬성으로 채택되었는데 아무런 진전이 없었다"며 남북관계 후퇴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우회적으로 강하게 질타했다.

보수, 중도, 진보를 두루 망라한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민통합회의'의 성격을 보여주듯이, 이날 행사에는 법륜 스님, 윤여준 전 환경부장관, 안홍준 새누리당 소속 국회 통외통위 위원장, 김성곤 이미경 이부영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전ㆍ현직 의원 등 각계 인사와 시민 약3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띤 토론회가 진행되었다.

한편, 김형기 평화재단 평화연구원 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에서도 정부의 대북정책을 비판하고 그 수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비료 지원 등 인도적 지원을 정치군사적 변수와 연계시키는 문제, 5.24조치 고수로 교류협력을 제약하는 문제가 특히 강하게 지적되었다.

반면에 북측의 핵무기 보유와 핵-경제 병진전략, 미국의 대북 적대정책과 훈련-제재로 한반도의 평화와 비핵화, 6자회담 재개와 평화회담에 대해 비관적 진단이 많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