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ary No. 275, Feb. 15, 2010  

 


일상화된 혼돈/카오스

("Chaos as an Everyday Thing")



익히 알고 있다시피 (1) 주류 언론이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대해 끊임없이 놀라워하며 (2) 다양한 분야의 고명하신 석학들께서 내놓는 단기전망이 현실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쪽으로 가고 많은 유보조항이 달린 채 언급된다든지 (3) 현 체제의 권력기구에서 위험을 무릅써가며 예전엔 금기였던 걸 말하고 관련용어를 들먹이며 (4) 보통 사람들이 두려움과 분노를 겪지만 무엇을 해야 할지 몹시 막막해 할 때, 우리는 카오스/혼돈과도 같은 상황을 살고 있는 것이다.

 

최근 눈에 띄는 수많은 “놀라운 결과들”, 이를테면 (수십년 간 민주당 텃밭이었던) 메사추세츠 주 상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가 당선된 일이라든가, 두바이의 재정파탄, 미국 내의 덩치 큰 여러 주들과 유럽연합 소속인 4~5개 국가에서 일어난 사실상의 재정파탄 사태, 세계적으로 극심하게 요동치는 환율 상황을 곱씹어보라.

 

세계 언론과 정치 지도자들은 이같은 “놀라운 결과들”에 대해 연일 논평중이다. 이들은 지금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전혀 일치점을 못 찾고 있고, 심지어 상황 호전을 위해 뭘 해야 하는지에 관해선 한 술 더 뜨는 모습을 보이기조차 하는 중이다. 예를 들어, 미국 메사추세츠 주 선거결과에 대해 이뤄진 명민한 언급은 딱 두 번 있었다.

 

하나는 버락 오바마가 스스로 했던 말인데, “[공화계인] 스콧 브라운이 [전통적으로 민주계 지지였던 메사추세츠 주에서] 당선된 건 내가 대통령이 됐던 이유와 똑같다. 국민들은 화가 나 있고, 좌절해 있다.”고 한 것이다. 또 하나는 <뉴욕타임즈> 외부 칼럼니스트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찰스 M. 블로우가 쓴 글이었다. 이 글의 제목은 “군중의 지배”였다. 그는 “군중과 마주한 여러분을 환영한다. 분노에 찬 상처받은 유권자로서, 경기침체에 넌더리를 내고 정치적 스펙트럼을 오락가락하며 몸에 묵은 때를 벗기면서, 여전히 변화를 열망하고 살해욕구를 품고 있는 군중 말이다.” 이들은 처음에 오바마를 뽑더니만, 지금은 그를 내치고 있다. 왜? “군중은 변덕스럽다.”

 

지금 캘리포니아 주와 그리스, 세계체제 내의 대다수 정부들에게서 우리가 보고 있는 건 무엇일까? 정부 수입은 하향세인데, 주로 줄어든 조세 수입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세계 어디가 됐든 사람들이 수중의 돈이 바닥나리라는 두려움으로 소비를 줄이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이와 동시에, 실업률이 세계적 규모에서 상당히 더 커졌다는 바로 그 이유로 국가 지출에 대한 요구는 격해졌다.

 

국가들로선 충족시켜야 할 요구들은 더 커졌는데 지출할 돈이 줄어든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럼 국가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건 뭘까? 조세를 늘릴 수 있다. 그러나 자기가 내야 할 세금이 오르는 걸 반가워할 납세자는 거의 없다. 그리고 국가로서 두려운 건 기업들이 자국에서 떠버리는 일이다. 글쎄, 이렇게 되면, 국가로선 지금 당장이든 앞으로든 이를테면 연금 같은 지출을 삭감할 수 있다. 그러면 국가는, 대중들의 반란까지는 아닐지라도 소요 사태와 마주하게 된다.

 

그러는 사이 “시장”이 반응한다. 예를 들면 선호하던 거래통화를 바꾸는 식으로 반응한다는 이 시장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거대기업들과 헷지펀드 같은 금융구조들로, 초단기지만 아주 중요한 돈벌이가 목적인 세계 금융체계를 굴러가게 하는 것들이다.

 

정부는 결과적으로 불가능한 선택지들과 맞닥뜨려야 하고, 해당정부의 주민들로선 상황이 훨씬 더 안 좋은 셈이다.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 법한지 이들은 내다볼 수가 없다. 그렇다 보니 이들은 훨씬 더 광폭해진다. 보호주의나 외국인혐오, 대중선동에 세차게 휩쓸린다. 하지만 이렇게 해서 해결되는 건 거의 없다.

 

이쯤 되자 세계적 선지자 중에서도 가장 빛나는 토마스 I. 프리드먼께서 “예전엔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이란 제목의 칼럼을 하나 쓰신다. 뭘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는 걸까? 다보스 포럼에서 미국인 아닌 사람들이 미국의 “정치적 불안정”에 관해 하는 이야기를 그는 들었다. 그는 자기 경험상 그런 표현은 러시아나 이란 아니면 온두라스 같은 나라들만을 대상으로 써왔다고 했다. 상상해보라. 사람들은 실제로 미국이 정치적으로 예측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얘기를, 프리드먼은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었다.

 

적어도 40년 넘는 세월 동안, 미국의 정치적 불안정에 대해 글을 쓰고 설명해온 사람들은 상당수에 이른다. 그러나 토마스 프리드먼은 이 얘길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고 했다. 여지껏 자기 스스로 구축한 보호막 속에서, 미합중국의 주류 정치체제와 다른 곳의 위성국가들이 설치한 보호막 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이다. 이런 기초적인 현실을 알아차리기에 프리드먼 같은 이들이 마주한 상황이 정말로 나쁜 건 틀림이 없다. 미국은 정치적으로 불안정하며 이는 향후 10년 간 더해지면 모를까, 덜해지진 않을 듯하다.

 

유럽은 더 안정적일까? 그렇더라도 약간일 뿐이다. 라틴아메리카는 어떨까? 마찬가지다. 중국은 미국보다 더 안정적일까? 모르긴 몰라도 그럴 테지만, 보장할 순 없다. 중국이라는 거인이 비틀거릴 때, 그같은 상황에 많은 것들이 연루될 수 있다.

 

일상화된 혼돈/카오스란 바로 이런 것이다. 그러니까, 단기 예측이 불가능하며 심지어는 중기적 예측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요동은 큰 규모로 급속하게 일어난다. 그래서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한테 두려움을 불러일으킨다.



이매뉴얼 월러스틴


원문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2/18 05:26 2010/02/18 05:26

 

연부네 집님의 [나는 허영구-이정행을 지지한다!!!] 에 탄력 받아, 서비(준) 까페서 퍼온 글.

 

 

이번에 민주노총 부위원장 후보로 나온 정승호 후보께서는 참신하게도,
자신의 목소리를 널리 알려진 투쟁현장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목소리로 냈던데요,
각 인터뷰들 하나하나가 정말 탐스런 "드래곤볼"이구나ㅎ 싶어 여기다가도 걸어봅니다.

"노조결성"이 두려워 망설이는 (비정규직)노동자분들께도

이 분들의 목소리는 적잖은 뒷심이 되줄 것도 같고요.

 

(음, 드래곤볼이 여기서 왜 뜬금없이 튀어나오냐 싶은 분들은

이 글을 일독해 주심 되겠슴다만, 뭐 안 읽는다고 해도 전체 흐름 파악하는 덴

크게 지장이 없겠고요.ㅋ;)

 


얼마 전에 보니까, 오도엽씨는 자기 블로그에다 하종강씨의 책제목을 차용해
"그래도 희망은 민주노총"이란 제목의 포스팅을 하셨던데요.

정승호 후보께서 한 인터뷰 내용들을
의도적 오독을 살짝 보태 음미해보자면, 글쎄요,
노동운동이 어쨌거나 희망이면 희망였지,
왜 민주노총이 굳이 희망여야 하는지 납득한다는 게
가혹한 희망고문 아니면 거의 엎드려 절받기 아닌가 싶어요.ㅎ 개그맨 박성광의 빼어난 유행어인
"국가가 나한테 해준 게 뭐가 있는데!"란 말을 차용해
"민주노총이 (비정규직)노동자들한테 해준 게 뭐가 있는데!"랄 수도 있겠다 싶고.

외려, 정승호 후보가 자신의 목소리라 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충실히 따른다면,
앞으로 진행해야 할 건 민주노총의 강화가 아니라, 사위 멕일라구 장모가 때려잡은 씨암탉 마냥
푸~욱 고아서 뼈만 발라내듯 먹어치우는 일이겠다 싶기도 하구요.ㅎ

근까, 민주노총의 통수권을 단순히 장악한다거나 양도받는대서
뭐가 크게 달라질 상황도 아니겠다고 할까요. 
맑스가 <프랑스 내전>이란 글에서 1871년의 파리 꼬뮌에 대해
노동계급은 "기존의 국가기관을 단순히 장악하여 자신의 목적을 위해 그것을 사용할 수 없다"고 했고,
그래서 레닌은 <국가와 혁명>에서 이행기의 기존 이데올로기국가장치들이
"양도받을 수 있는" 종류가 아니라 (창조적?ㅎ) "파괴"를 동반해야 하는 거라고 했던 것처럼 말이죠.

가당치도 않는 억지만은 아닌 게,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민주노총의 조직(화) 패턴은 내걸고 있는 슬로건만, 그마저도 덜 위험하게 (지배블럭과) 달랐다 뿐이지
사실상 국가장치화돼 있길래 하는 얘깁니다.
"노동자"들이 살맛 나는 꼴은 태생적으로 못 보는 국가라는 사회적 조직과,

지금의 민주노총은 과연 얼마나 다른가. 때릴 줄밖엔 모르는 국가보다,

그걸 얼르고 달래려 드는 민주노총이 더 숭악스러워 보이는 형국은 아닌가.

그래도 우리가 민주노총이란 조직을 우회할 수 없다면,
그건 민주노총을 다시 세우는 게 아니라 이런 점들을 두루 환기하고

갈아엎기 위함이어야잖겠나.. 싶네요.
 


하여 전,

민주노총 조직의 성원도, 대의원도, 그야말로 뭣도 아니지만,

이런 생각을 북돋워준 정승호 후보께도 건투를 일단 응원하고 싶다능!ㅎ


 

 

현장에서 본 “위기” 01: 코스콤 정인열 동지 인터뷰


현장에서 본 “위기” 02: 기륭전자 노동자들 인터뷰


현장에서 본 “위기” 03: 동희오토 이백윤 동지 인터뷰


현장에서 본 “위기” 04: 홈플러스/이랜드 이경옥 동지 인터뷰


현장에서 본 “위기” 05: 울산과학대학 김순자 동지 인터뷰

 

[정책공약] 우리에겐 ‘총노동’으로 단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23 02:14 2010/01/23 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