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일견 익숙해 보이다 못해 진부한 듯도 한 이 질문이, 과거에는 어떤 식으로 이뤄졌고, 반면 지금은 어떤 패러다임 전환 혹은 인식론적 전회를 통해 그 “질”을 달리하고 있는지 구분해줄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그간에는 근대화, 또는 근대-세계의 형성 자체가 당위적인 선인 양 간주되며 이런 사회변동 과정을 보다 더 앞서 겪지 않은 비서구 세계 전체가 태만과 낙오의 딱지를 (서구 주류학계가 그래왔던 것만큼이나) 스스로 붙이는 식으로 이뤄졌더랬잖아요? 하지만 요즘엔 근대-세계의 형성 자체는 역사적 “필연”과는 무관한 국지적 맥락이 작용해서 그리 됐을 뿐이란 시각에서, 근대 세계체제의 형성과 지리적 팽창이 초래한 경제-문화-정치적 효과에 초점을 맞춰 앞서 던진 질문을 재정위하고 있으니까요.
 
전 이런 질문의 질적 전환 과정을, 역사적 자본주의하에서 제도화된 “국가”의 역할이 비서구 세계의 정치공동체 내지 통치체와는 어떤 점에서 상이했는지 초점을 맞춰 살펴봤으면 합니다. 앞질러 결론부터 말하자면, 비서구 세계에서 “근대화”가 이뤄지지 않았던 건, 자본축적과 자웅동체를 이루는 제도적 조절장치이자 정치문화적 후견기구로 기능했던 근대(민족)국가(좀더 정확히는 열국체제)와 달리, 비서구 통치체의 존립근거는 끊임없는 자본축적 또는 근대적 잉여가치의 발생 소지를 미연에 방지,차단하려는 데 있었기 때문이라는 거죠.

 

즉, 비서구 세계(들)에선 대체로 근대적인 자본축적 양상, 잉여가치 발생 메커니즘을 좋거나 바람직한 것이긴커녕, “윤리적”으로나 통치체 운용상의 안정성 측면에서나 해악적인 것으로 봤다는 겁니다. 그것은 서유럽 지역서 발흥한 근대-세계보다 “발전”이 뒤처졌거나 “미개”해서가 아니라, 외려 “근대화”를 촉매로 구조화되는 사회관계가 불러올 여러 해악들을 직관적으로 감지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할까요.[이같은 메커니즘을 경제인류학적으로 이론화한 논의로는 클라스트르의 <폭력의 고고학>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미개”사회가 자본주의적 근대화가 안 된 건 “미개”해서 못 한 게 아니라 (자본주의적 축적이 불러올 재앙을 미리 내다보고) 안 한 쪽이라고 주장한 책이거든요.]
 
이 주장에 따르자면, 이런 (자본주의적) 잉여발생 방지 메커니즘이야말로 자본주의적 축적 매커니즘보다 지구상의 역사적 체제(들) 혹은 생산양식에 더 “보편적인” 속성이었다고 할 수 있게 됩니다. 외려 기이한 건, 그런데 어떻게 16세기 서유럽 지역에선 그런 독특하고도 기괴한 잉여발생 매커니즘이 ‘창궐’하고, 심지어 공고화될 수 있었나 하는 점이 되고요. 이런 과정을 추동했던 서유럽적 맥락이 뭐냔 물음은 이렇게 되면, 이른바 “세계보편문명의 발흥지”에 대한 열패감 어린 호기심 따위가 아니라, “우째 그런 웃기고 자빠진 일이 일어날 수 있었댜?”라는 의문으로 사태를 다시 볼 수 있게 해줍니다.ㅋ

 

물론, 이 때 말하는 근대-세계의 발전이야 (자유주의자들은 물론 정통 맑스주의자들까지 공유했듯이) 결코 예전보다 더 나은 사회관계의 창출이 아니라, 자본주의적인 잉여발생-착취 체계가 글로벌한 스케일로 발전해가는 과정임을 뜻할 뿐이지요. 역사적 자본주의 문명을, 그 지리적 확장의 내적 계기로써 인종주의`성차별주의 및 식민주의와 더불어 발전해온 독특한 역사적 체제로 보는 세계체제 분석 학파의 시각에서 보자면요. 단지 특정 분파의 시각이 아니라, 사실 실제로 그랬던 거라고 봐야 한다는 생각이긴 합니다만.
 


암튼 이런 시각에서 젤 첨에 한 질문을 다시 던지게 되면, 그건 두 가지 효과를 발휘하게 되죠.

 

하나는 기존의 “근대화론”적인 시각이 실제의 근대세계의 역사를 얼마나 유럽중심주의적으로 파편화, 재단해왔는지 드러낼 수 있다는 것. 또 하나는, 자본주의 세계의 형성을 이전보다 “더 나은” 경제`사회양식의 등장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매우 독특한(좀더 까놓고 말하잠 그 어떤 생산양식보다도 실로 기괴한) 생산양식의 창궐^^에 불과하다는 경제인류학적인 문제틀을 도입할 수 있다는 것. 이는 당장 지금 여러 반체제 운동 진영들이 어떤 체제(들)로의 전환을 꾀할 것이냐는 탈자본주의적 이행 전망과 맞닿는 것이기도 합니다.

 

더불어, 근대세계의 지리적 팽창 와중에 압살돼버린 비자본주의적인 생산양식 내지 사회관계(들)을 재조명하고, 이것들을 또다른 이행의 잠재성과의 관련성 속에서 재해석할 수 있는 여지도 생기게 되지요. 자본주의 이행이라는 경로로 수렴될 수 없는 (그러나 그렇게 수렴돼야 하는 양 다뤄져 왔던) 사회적 이행 양상에 대한 재접근의 길까지 열리는 셈이랄까요. 이 두 가지 효과는 일치하진 않지만, 서로 밀접히 연결돼 있다고 해야 할 거예요.
 
단, 조심해야 할 건 비서구세계의 통치체가 근대국가/열국체제가 육성하고 떠받쳐온 역사적 자본주의의 잉여발생 매커니즘을 미연에 차단하려 했단 점을 강조하다 보면 자칫 왕정에 기초한 재분배 체제(들)을 옹호하는 식으로 논의가 엉뚱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거예요. 역사적 자본주의가 압살`질식시킨 생산양식을 재발견하는 일은, 이 생산양식에 사실상 기생하며 통치기반을 지속시키려 했던 왕정 체제 등 비 혹은 전근대적 통치체를 옹호하는 일관 하등 관계가 없는 건데도요.
 
따라서 이런 경로를 밟지 않으려면, 단일한 역사적 체제(들)도 내적으로 중층 구조를 이루며 상호모순과 긴장을 이루고 있다고 했던 브로델 식의 구조사적 분석틀이 도입돼야 하잖나 합니다. 물론 브로델이 자본주의 문명을 분석하면서 도입한 삼층도식(자본주의-시장경제-물질문명 같은)을 그대로 끌어다 쓸 순 없겠지만요. 응용할 순 있겠죠. 거듭 말하지만, 착취의 지리적,지정학적 표현인 중심-주변-반주변이라는 기축분업 개념 같은 경우 어디까지나 자본주의 사회구성체의 역사적 독특성을 설명하고자 도입된 거였으니까요.

 

중요한 건 비서구 지역의 역사적 체제들의 독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효한 독자적 설명틀을 정립, 정의하는 일일 겁니다[이 중 “동(남북)아시아” 지역 같은 경우는 “조공체제”라고 부를 수 있겠지요. 제가 알기로 조공체제의 개별 통치체가 지닌 자율성은 근대 세계체제의 국가간 체제보다 외려 더 높았다고 하는데요. 거듭 말하지만, 이게 조선시대가 더 좋았다거나 아름다웠다는 얘기일 리는 없겠죠. 예컨대, 이태진 설대 교수와 그 후학들처럼 '식민사관'을 극복했답시고 이와 비슷하게 반응하거나 지적으로 왕당파연하는 것 자체를 막을 수야 없겠습니다만ㅋㅋ; 이 얘길 하는 건 어디까지나 전근대 지역체제의 역사적 성격과 동학을 제대로 이해하잔 것 뿐이니까요.].
 
제가 보기에, “국가의 역할” 다시 말해 근대-세계의 등장과 팽창 과정서 근대국가/열국체제가 수행한 역할은 뭐며, 여타 전근대 통치체와 비교해 지니는 종별성은 또 뭔지를 실마리로 하여 자본주의 이행을 둘러싼 인식론적인 (대)전환이 (얼추 지난 30여년 간) 학계에서 어떻게 이뤄져왔는지, 또 이런 전환이 반체제 운동(들)은 물론 이의 일부이기도 한 비판적 역사사회과학 진영에서는 어떤 지적 과제를 던지고 있는지 정리만 해도, 아주 훌륭한 작업이 되잖을까 싶구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0/05 02:38 2011/10/05 02:38

 

[페르낭브로델센터 연례 학술대회]

성차화된 상품사슬들
: 가계와 여성을 전지구적 상품사슬 분석에 어떻게 끌어들일 것인가

 

때&곳: 2011년 10월 14~15일, 빙햄튼대학교

 



기본 개념에 대하여

여성과 노동자, 그리고 가계는 오늘날 전지구적 가치사슬 분석에서 지배적인 산업중심의 기계적 접근들과 대다수 세계체계 연구자들의 상품사슬 분석들 속에서 무시됐다. 이들 분석 속으로 성차/가계가 어떻게 통합돼야 하는지에 관한 개념화 작업은 이들 연구에서 전혀 혹은 좀처럼 이뤄지지 않았고, 노동자들의 목소리는 거의 다 지워져버렸다(Dunaway 2001, Collins 2005, York & Ergas 2011). 이번 연례 학술대회에서 우리는 상품사슬 분석에 대해 성차별주의와 노동자, 가계를 놓고서 지적으로 세계체계 차원의 근본적 탐색을 꾀했던 1970~80년대 당시의 문제설정을 되살리고, 여성과 가계, 노동자들과 노동자 저항을 상품사슬 분석 속에 통합시킬 여러 대안적인 재개념화 작업에 나서려 한다.

상품사슬이라는 개념은, 1970~1980년대 세계체계적 시각에서 연원한 것으로, 여성과 가계를 세계경제와 그로부터 빚어지는 지구적 양극화에 대한 분석 작업 속으로 통합시키는 데 아주 유망한 도구들 중 하나다. 홉킨스와 월러스틴(1986: 159)은 하나의 상품사슬을 “궁극적인 목표가 하나의 완성된 상품에 있는 노동 및 생산 과정의 그물망”으로, 사슬을 이루는 모든 자리 또는 마디들은 저마다 “독특한, 아주 특정한 생산 과정”을 표상하는 것으로 그려냈다. 단일한 하나의 상품사슬에선 보통 여러 형태의 임금 및 비임금 노동이 쥐어짜인다. 따라서 상품사슬들은 불평등 교환에서 핵심을 이루는 구조적 기제다. 이 사슬들은 자본주의 세계체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다음 세 가지 점에서 그렇다. 그 체계의 파생물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체계내의 국지적 경제들을 서로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그리고 체계에 속한 모든 인구가 이 사슬들에 붙들리고 쥐어짜이는데, 그 어느 가계도 여기서 거의 벗어날 수 없다는 점에서다.

세계체계적인 시각에서는 상품사슬 분석에서 중심 축을 이루는 또다른 개념을 도입했다. 월러스틴(1983)에 따르면, 자본주의 세계체제에서는 점증하는 보상에 대한 노동자들의 요구치를 억누를 수 있는 통제기제가 구조화됐다. 그 기제는 반半프롤레타리아트 가계로, 오늘날 전 세계에 걸쳐 지배적인 양식으로 자리해 있다. 남반구에서부터 이뤄지는 모든 상품사슬은 이처럼 수천에 달하는 (반프롤레타이트) 가계들의 뒷받침을 받는데도, 이 가계의 노동자들과 그 식구들이 자본주의적 영역들에서 지불받는 공식 임금으로 취득하는 건 그들의 생계에 필요한 것 중 아주 일부에 불과하다. 상품사슬 속에서 가계한테 주어진 역할의 전모를 잡아내려면, 우리는 자본주의가 얼마만큼 (부불노동과 지불노동 양자를 통해) 무급노동을,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쥐어짜내는지 살펴봐야 한다. 전형적인 상품사슬 분석틀을 끌어와 기껏해야 쉽게 분별가능한 교과서적인 임금노동자들과 하도급 노동자들을 묘사하고 말기보다는, 우리는 상품사슬이 남반구 가계로 외부화(혹은 전가)하는 비용은 물론이거니와, 앞서 언급한 은폐돼버린 가계노동과 화폐거래 이면에 자리하면서 자본주의적 상품사슬을 보조해주는 비공식 투하노동 또한 살펴봐야 한다.

거시구조적인 수준에서 봤을 때, 특정한 상품사슬은 정말이지 중심부와 반주변부, 주변부 권역 사이에 나타나는 잉여의 불균등 분할을 보장해주는 전지구적 기제다. 모든 상품사슬에 존재하는 각 마디들은 가계들의 성차화된 관계 속에 깃들어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그같은 수탈이 일어나기 오래 전부터, 상품사슬은 그 구조상 아예 가려지고 지불되지 않은 노동을 최대한 쥐어짜내게끔 짜여왔다. 성차화된 상품사슬 구조를 드러내려면, 그 그물망의 각 마디에서 잉여를 누가, 어떻게 만들어내는지에 대한 탐색 또한 우리에겐 필수적이다. 이 작업을 해내기 위해, 가계의 문턱을 넘어 그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이로써 우리는 잊혀진 여성들을 발견하고, 그들이 자본주의 기업의 회계장부나 정부의 국민총생산(GNP) 계정상으로는 보이지 않는 잉여들을 발생시키는 데 남성들보다 더 많은 시간 일했음을 알게 될 것이다.


학문적 실마리들을 여럿이 함께 엮어가기

노동자와 여성, 가계를 중심에 놓고서 상품사슬에 관한 대안적 개념화 작업을 하게 될 이번 대회에선, 학제간 연구자 그룹이 모여 다음의 네 가지 영역을 실마리 삼아 이들을 하나로 엮어낼 예정이다.


1. 우리는 상품사슬의 성차화된 성격을 어떻게 드러내야 할지를 둘러싼 개념화 작업에 나설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여성들의 노동과 남반구 가계에서 발생하는 부불 보전분을 그 태반으로 하여 상품사슬이 불균등하게 형성되는 방식들을 다룰 것이다. 여기선 폭넓은 형태로 이뤄지는 여성들의 지불 및 부불 노동, 무급 및 유급 노동을 상품사슬 분석 내부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점이 강조될 것이다.

2. 우리는 하도급 노동을, 낮은 생산비용을 유지하는 최상의 접근 경로로서 남반구 상품사슬 대다수에서 지배적인 기제로 면밀히 다룰 것이다. 법인기업들은 이같은 노동 기제를 선호하는데, 노동자 가계로부터 지불이 안 된 채 은폐됐거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투입물을 뽑아낼 수 있고, 생산비용 중 많은 부분을 지역 공동체와 노동자 가계로 외부화함으로써 (중심부 국가로의) 수입 가격을 지속적으로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3. 다수 국가산 노동자들의 유출이 고도로 구조화·제도화돼왔는데도 불구하고, 초국적(혹은 이주) 노동자들의 흐름에 대해 상품사슬 분석틀을 응용한 적은 아직 없었다. 이 점을 개념적으로 간과한 결과, 그간 우리는 1) 초국적 노동 흐름이 세계경제상의 수지맞는 영역으로서 어떻게 체계적으로 조직화됐는지, 2) 이들 노동 흐름이 상품사슬상 유입된 곳에서의 노동 가격을 낮추고자 유출된 곳의 가계와 여성노동 양태를 어떻게 재편하는지에 대해 적절하게 분석하지 못했다. 우리는 초국적 노동자들, 그 중에서도 특히 여성 노동자들을 전지구적인 사슬의 마디를 이루는 상품으로 개념화하고, 이와 같은 노동력 유출이 유출되는 국가들의 가계에 어떤 파급효과를 부르는지 면밀히 살펴볼 것이다.

4. 우리는 마지막으로, 상품사슬 속에서 벌어지는 노동자 저항에 대해 면밀히 살펴볼 것이다. 그간 강단학계에선 전지구적 가치사슬에 관한 오늘날의 분석들 속에서 노동자들이 얼마나 침묵당해왔는지에 주목한 국제 NGO들과 연구자/활동가들이 펴낸 연구작업물 및 단행본들과 보조를 맞추지 못했다. 먼저, 관련 성과를 축적한 이 연구 집단에서는 노동자들의 저항이 일어난 상품사슬상의 여러 마디들에, 그리고 노동자들이 각 마디들을 가로질러 스스로 조직화한 방식에 초점을 맞춘다. 다른 한편, 이들 연구자 중 다수는 이들 상품사슬 내에서 이뤄진 노동자들의 권리 신장을 지지하면서, 남반구 노동자들의 생활조건을 향상시키는 데 책임 있는 법인기업들이 어떤 방식들로 제약·구속돼야 하는지 드러내보일 것이다.


인용문헌

Collins, Jane. 2005. A New Directions in Commodity Chain Analysis of Global Development Processes. Pp. 1-15 in New Directions in the Sociology of Rural Development, ed. Philip McMichael.

Dunaway, Wilma A. 2001. "A The Double Register of History: Situating the Forgotten Woman and Her Household in Capitalist Commodity Chains." Journal of World-System Research 7 (1): 2-31.

Hopkins, Terence and Immanuel Wallerstein. 1994. "Commodity Chains: Construct and Research." Pp. 17-20, 48-50 in G. Gereffi and M. Korzeniewicz, eds., Commodity Chains and Global Capitalism. Westport, CT: Praeger.

Wallerstein, Immanuel. 1983. Historical Capitalism. London: Verso Editions.

York, Richard and Christina Ergas 2011. "Women's Status and World-System Position: An Exploratory Analysis." Journal of World-Systems Research 17 (1).

 

 


행사일정


첫째날, 2011년 10월 14일(금)

개회사
리차드 리(페르낭브로델센터 소장, 빙햄튼대)

 

 

9:30 - 10:30 기조발표 1

- 윌마 A. 듀나웨이(버지니아공대),

“전지구적 시야에서 본 반半프롤레타리아화 과정: 상품사슬 분석에 씌인 성차화된 비가시성의 가면 벗기기”
 


11:00 - 12:30 세션 1: 가치화 과정에서 누락된 여성 노동의 재검토와 (재)개념화

좌장: 카먼 베인(아이오와주립대)

- 프리티 라마무르티(워싱턴대),

“가치, 정동, 페미니스트 상품사슬 분석: 하나의 개념적 틀거리”

- 도날드  A. 클레랜드(테네시대 명예교수),

“부불노동, 전지구적 상품사슬상의 응달진 가치”

- 데이브 브로드(레지나대, 캐나다),

“여성노동의 개념화: 가계, 평상노동, 그리고 비공식 경제”
 


1:45 환영사
 


2:00 - 4:00 세션 2: 전지구적 생산의 여성화: 임노동, 하도급, 비공식 영역, 그리고 가계

좌장: 니콜라 예이츠(개방대, 영국)

- 로버트 J. S. 로스(클라크대),

“피라미드 바닥의 사슬 속에서: 전지구적 의류 생산상의 비공식 경제와 장시간 노동”

- 사니예 데데오글루(워윅대, 영국),

“이스탄불에서의 여성노동과 가계, 그리고 전지구적 산업 생산: 터키 피복산업의 경우”

- M. 세실리아 마카부악-페롤린(민다나오주립대, 필리핀),

“상품사슬에 포획된 어촌 가계: 필리핀 채취구역의 수출용 해산물(생산)에 어민들이 충당되는 방식”
 


둘째날, 2011년 10월 15일(토)

9:30 - 10:30 기조발표 2

- 제인 콜린스(위스콘신대),

“상품의 신비: 세계체계 내 상품사슬 연구에 관한 페미니스트적인 접근”

 

11:00 - 12:30 세션 3: 초국적 노동자들을 전지구적 사슬상의 상품(화된 인격)으로서 재개념화하기

좌장: 토마스 D. 홀(데포대 명예교수)

- 니콜라 예이츠(개방대, 영국),

“성차화된 초국적 노동과 가계를 상품사슬 분석에 인입하기: 전지구적 돌봄 사슬에 대한 이론화 작업”

- 나데즈나 샤프키나(캔사스주립대),

“새로운 전지구적 성 교역에서 보이는 전지구적 상품사슬”

- 루스 피어슨(리즈대, 영국),

“국경을 넘나드는 이주와 사회적 재생산, 그리고 경제발전: 태국의 수출공단에서 일하는 버마산 여성노동자들에 대한 사례연구”

 

2:00 - 3:15 세션 4: 상품사슬상의 노동자 저항과 노동자 조직화, 그리고 노동표준들

좌장: 로버트 J. S. 로스(클라크대)

- 마리나 프리에토-캐론(포츠머스대, 영국), “사회적 재생산과 노동권: 전지구적 생산 네트워크상의 니카라과 여성노동자들과 조직화 전략들”

- 카먼 베인(아이오와주립대), “성차화된 가시성의 장들을 구성하기: 칠레산 수출용 신선과일 생산 영역에서 소매업자에게 요구되는 노동기준”

 


3:45 - 5:00  세션 5: 집단토론
여성과 가계를 상품사슬 연구에 인입하는 데 필요한 전략들
좌장: 윌마 A. 듀나웨이(버지니아공대)


 

 

원문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09/24 08:15 2011/09/24 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