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의성어 의태어 말놀이

의성어나 의태어를 이용해서

말놀이를 해주면 아이한테 좋다고 합니다.

 

사물이나 상황을 인식하는 데도 좋고

아빠엄마가 아이한테 보내는 사인으로도 좋답니다.

 

"뽀송뽀송 기저귀~"

 

유치원 아이들 '참새~짹짹'할 때의 리듬으로 해봤는데

정말 효과가 있습니다.

기저귀 갈 때 싫어하던 게 없어졌습니다.

 

"냠냠 이유식~냠냠 이유식~"

 

이유식 먹일 때도

효과가 있습니다.

 

인제 슬슬 재미도 있습니다.

 

한 명이 먼저 하면 다른 한 명이 따라합니다.

 

"울룩불룩 미루 근육~"

"울룩불룩 미루 근육~"

 

"삐쭉삐쭉 미루 머리~"

"삐쭉삐쭉 미루 머리~"

 

낮에 장을 보러 갔습니다.

그래도 내일이 새해 첫날인데

새 반찬을 먹고 싶습니다.

 

"우리 있잖아.. 집에 가면서

누가 의성어 의태어 말놀이 많이 할 수 있는 지 시합하자!!"

 

"좋아~"

 

저의 제안에 주선생님이 흔쾌히 응합니다.

이런 건 시합을 해야, 새로운 게 많이 나옵니다.

 

그때부터 저는 새로운 의성어 의태어를

마구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뽀득 뽀득 미루 이빨~"

"탱글 탱글 미루 엉덩이~"

 

평소에 집에서 안 하던 것들입니다.

 

"꺼억 꺼억 미루 트림~"

"뿌웅 뿌웅 미루 방구~"

 

깔끔 떠는 주선생님이

안 할만한 것들입니다.

 

이런 걸 잘 간직했다가 게임 후반부에 하나씩 하면 됩니다.

 

장을 다 보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감기몸살은 다 나았지만

기침이 완전히 안 달아나서 딱 두번 콜록거렸는데

주선생님의 잔소리가 시작됩니다.

 

"상구~난 있잖아, 진짜 새해에는 상구가 기침 좀 안했으면 좋겠어...

생각을 해봐..벌써 기침 시작한 지 얼마가 지난 거야..내가 그런 식으로 자기 관리 안하면

상구는 더 화냈을 거야...안 그래?"

 

"알았어...노력할께.."

 

그래도 잔소리는 계속 됩니다.

 

다 맞는 말이긴 한데

그렇다고 참회와 반성의 표정을 짓긴 좀 그래서

그냥 웃고 있었습니다.

 

"근데 상구 왜 웃어...진심으로 공감하는 표정이 아니잖아..."

 

"아냐, 공감해...진짜 열심히 노력해서 기침 안 하게 할께..."

 

얘기를 하다 보니까

벌써 집까지 반 넘게 왔습니다.

 

빨리 의성어의태어 시합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냅다 선빵을 날렸습니다.

 

"뽀송뽀송 기저귀~!!!"

 

"나 안 해~~!"

 

"왜~애?"

 

"그거 할 기분이 아니야, 지금..."

 

"에이, 그냥  하지.."

 

반성하는 표정을 지어서

주선생님 기분을 푼 다음에

시작할 걸 잘못했습니다.

 

비장의 무기들이 많은 데

아쉽습니다.

 

내일쯤 주선생님 눈치 봐서

한번 더 제안해봐야겠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