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오징어 땅콩 과자

제 시골집에는 12월 31일이 되면

모든 식구가 모여서 하는 조촐한 송년회 자리가 있습니다.

 

다섯 식구가 옹기종기 모여 앉아서

지나간 한 해를 돌아보고

오는 해의 소원을 비는 그런 자리가 아니고

 

12시 땡 치면 보신각에서 종 33번 칠 때

한 사람이 '오징어땅콩' 한 봉지씩 잡고

 

종 한 번에 과자 하나, 또 한 번에 또 과자 하나

이런 식으로 과자를 33개 먹는 행사입니다.

 

이거 처음 한 게

80년대 중반쯤이었습니다.

 

"야~우리도 한 해를 보내면서 뭔가 함께 하는 일을 만들어보자~"

"맛있는 거 사 먹어요~~!!!"

 

"맛있는 거 뭐~~?"

"과자 같은 거...짜장면은 배달 안 할테니까.."

 

"과자? 어떤 거?"

 

그때 아버지와 우리 3형제가

이런 대화를 나눴던 것 같습니다.

 

하나씩 집어 먹기 편하고

한 10년이 지나도 안 없어질 것 같은 과자를 골랐습니다.

 

그게 '오징어땅콩'이었습니다.

 

이 과자 때문에

실제로 우리 식구는

다른 동네에 가서 살면서도

매년 마지막 날엔 꼭 모였습니다.

 

그러면서 이 모임은

우리 식구끼리의 굳은 약속 같은 게 됐습니다.

 

95년을 빼면

재작년까지 한 번도 빠지지 않았습니다.

 

95년엔 제가 학생운동 한다고 덤벙대다가

집에 갈 수 없게 됐었는데

나중에 6개월쯤 지나서 집에 가보니까

제 책상 위에 오징어땅콩 한 봉지가 놓여 있었습니다.

 

"야~!! 올해는 아예 내려 올 생각을 안 한 거냐?"

 

오늘 아침에 아버지가 전화를 하셨습니다.

생각해 보니까 오늘이 12월 31일입니다.

 

육아휴직하고 집에만 있다 보니까

휴일도 까먹고, 이제는 해 바뀌는 날도 생각 못하고 있었습니다.

 

"너, 진짜...너무 하는 거 아냐?"

 

"인제 혼자가 아니고 세명이라서 움직이기도 어렵고..."

 

"약속을 했으면 끝까지 지켜야지..."

 

그냥 웃으면서 통화하고 끊었는데

곰곰이 생각해보니까

아버지한테는 좀 서운한 일일 것 같긴 합니다.

 

결혼하고 미루도 생겨서

전혀 내려갈 생각을 안 했었습니다.

 

이제 혼자 움직이는 것도 아니고

오징어땅콩이 옛날처럼 맛있지도 않고 해서

별 의미를 안 뒀었는데

그게 아닌 모양입니다.

 

그러고 보니까 옛날일이

생각납니다.

 

새해 첫날 0시가 지나면

우리 3형제는 막 이리저리 다니면서

'올해 처음!'을 외치곤 했었습니다.

 

"이야~내가 올해 처음으로 물 마셨다.."

"올해 처음으로 오줌 싼 건 나다~~!!"

"나는 문 열었다 닫았다~"

"나는 트림했다~~~!!"

 

이런 게 부모님한테는 모두

아이들과의 추억입니다.

 

이제 저한테는 미루가 생겨서

새롭게 아이와의 추억이 가능해졌고

 

부모님은 3형제가 모두 결혼해서

옛날같은 '아이들과의 추억'이 더는 없을 듯 합니다.

 

평소 저답지 않게

오늘 밤엔 생각이 좀 많아질 것 같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