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103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4/10/09
    대추
    돌 & 쑨
  2. 2004/10/08
    달개비
    돌 & 쑨
  3. 2004/10/07
    단풍나무
    돌 & 쑨
  4. 2004/10/06
    민들레처럼
    돌 & 쑨
  5. 2004/10/05
    느티나무
    돌 & 쑨
  6. 2004/10/04
    누드베키아
    돌 & 쑨
  7. 2004/10/02
    나비(2)
    돌 & 쑨
  8. 2004/10/01
    깻잎
    돌 & 쑨
  9. 2004/09/25
    관상용 고추
    돌 & 쑨
  10. 2004/09/24
    돌 & 쑨

대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달개비


 

 

닭의장풀 [Dayflower]

 

외떡잎식물 분질배유목 닭의장풀과의 한해살이풀.

 

달개비·닭의밑씻개라고도 한다. 길가나 풀밭, 냇가의 습지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 밑 부분은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땅을 기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리며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 윗부분은 곧게 서고 높이가 15∼5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며 길이가 5∼7cm, 폭이 1∼2.5cm이다. 잎 끝은 점점 뾰족해지고 밑 부분은 막질(: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잎집으로 된다.

 

꽃은 7∼8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의 포에 싸여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포는 넓은 심장 모양이고 안으로 접히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가 2cm 정도이다. 꽃받침조각은 3개이고 타원 모양이며 길이가 4mm이다. 꽃잎은 3개인데, 그 중 2개는 크고 둥글며 하늘색이고, 나머지 하나는 바소 모양이고 흰색이며 작다.

 

2개의 수술꽃밥이 없는 4개의 헛수술이 있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타원 모양의 삭과이고 마르면 3개로 갈라진다. 봄에 어린 잎을 식용한다. 한방에서 잎을 압척초()라는 약재로 쓴다. 열을 내리는 효과가 크고 이뇨 작용을 하며 당뇨병에도 쓴다. 생잎의 즙을 화상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우수리강() 유역·사할린·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단풍나무


 

단풍나무라고 하기엔 너무 작은 것이지만 그래도 단풍나무이긴 하다.

 

마을에 있는 단풍나무아래에 자라던 것을 키워보겠다고 가져왔다.

 

그냥 두었으면 더 잘 자랐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민들레처럼



 

민가 중에 거의 처음 알게 되고, 술마시며 같이 불렀던 노래 중 가장 많이 불렀던 노래가

 

민들레처럼인 거 같다.

 

가을이 되었는데 민들레가 피어서 이상하다 싶었다.

 

봄에만 피는 것인 줄 알았는데.

 

가을 날씨가 봄 날씨와 비슷해서 그렇게 피는 것도 있다는 말을 들었다.

 

정말 생명력이 강한 가부다.

 

비슷한 환경만되면 또다시 피어나는 민들레...

 

민가를 부르면서 노래부르는 것만으로 만족하지 말고,

 

노래가 삶이 되어야 하는 거라고 생각했었는데

 

민들레야 말로 그렇게 살고 있는 거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시골 동네에 가보면 거의 볼 수 있다.

 

동네 어른들이 쉬기도 하고, 농사를 짓던 마을 사람들이 막걸리 한 잔 걸치며

 

낮잠을 자기도 했던 곳이다.

 

그리고 예전에는 나무나 물, 해 등 자연에 대한 경외심이 높았기 때문에 신령제 등을

 

드리기도 했다.

 

그런데 요즘 도시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찾아보기란 참으로 어려운 거 같다.

 

나무가 심어져 있는 곳은 거의 없을뿐더러 공원에 심어진 나무조차 아스팔트땅위에

 

있어야 한다.

 

가을이 되어서 낙엽이 지면 그 많은 잎들을 미화원아저씨들이 쓸어담고...

 

낙엽이 떨어져서 부엽토가 되어야 한다던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누드베키아


 

봄에 길가에 피는 꽃이다.

 

해바라기와 비슷하게 생기기도 하였지만 크기가 작다.

 

고대산을 올라가기 전의 역전(이름은 잘 모르겠고)에는 한 줄로 길게 피어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나비





 

나비는 봄에서 여름까지 줄기차게 볼 수 있다.

 

꽃이 많은 곳에는 거의 군집을 이루고 있다.

 

그냥 날라다니는 것인 줄만 알았는데, 생태계에서 맡은 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글고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배추흰나비... (생각이 안나네)

 

교실 창을 열어 놓으면 자주 들어온다.

 

난 괴롭히고 싶지 않은데, 교실에서 어찌할 바를 모르고 돌아다니다가 죽는 경우도 있다.

 

내 마음은 서로 해끼치고 살지말자인데, 어쩌다보면 서로 해가 될 때가 있는 거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깻잎


 

깻잎은 내가 좋아하는 채소였다. 특이한 향때문에 많이도 먹었었다.

 

어렸을 때 시골 큰 집에 놀러갔더니 큰 엄마가 차려주신 밥상에 아는 게 깻잎밖에 없어서

 

깻잎으로 밥 한 공기를 먹었더니 내가 시골에 있던 내내 깻잎만 주셨던 기억도 있다.

 

사실 그 때는 좋아서 라기 보다는 다른 나물을 먹기 싫어서였는데...

 

그런데 깻잎에 그렇게 농약이 많이 뭍어있다는 말을 들었다.

 

깻잎에는 벌레가 많기 때문에 농약을 많이 치지 않으면 위와 같은 모양이 나오지를 않는다고

 

한다.

 

어떤 시골에서는 아예 깻잎은 먹지도 않는단다.

 

흐... 그런 거 생각하면 먹을 게 얼마나 될까도 싶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관상용 고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올 해는 풍년이라고 하는데,

 

비 피해를 본 지역도 많을 거 같다.

 

밥만 먹다가 벼가 익어가는 모습을 보니까 신기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