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103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4/10/22
    무궁화
    돌 & 쑨
  2. 2004/10/21
    (1)
    돌 & 쑨
  3. 2004/10/20
    목련
    돌 & 쑨
  4. 2004/10/19
    모과나무
    돌 & 쑨
  5. 2004/10/18
    금잔화
    돌 & 쑨
  6. 2004/10/16
    맨드라미
    돌 & 쑨
  7. 2004/10/15
    개망초
    돌 & 쑨
  8. 2004/10/14
    나팔꽃
    돌 & 쑨
  9. 2004/10/12
    등나무
    돌 & 쑨
  10. 2004/10/11
    더덕밭
    돌 & 쑨

무궁화


 

무궁화는 우리나라꽃이다.

 

지나가다 보면 벌레들이 많아서 이런 꽃을 왜 국화로 정했을까 싶었다.

 

그런데 다른 편으로 생각해보니 그나마 벌레들의 먹이라도 되는 게

 

의미가 있을 수 있겠다 싶다.

 

 

통일로를 지나다보면 아주 잘 조성된 무궁화길이 있다.

 

그 곳에서는 행사가 많이 열리고 마라톤도 열려서 무궁화길을 조성해 놓은 거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무는 매우 영양가가 높은 음식이라고 한다.

 

동네에서 자라는 무였는데 어찌나 튼튼하게 자라던지.

 

그런데 위 사진처럼 무가 땅 위에 올라오면 맛이 떨어진단다.

 

무청은 무보다 더 영양이 좋아서 시래기국을 끓여 먹으면 좋다.

 

이렇듯 식물은 인간들에게 아낌없이도 주는 것 같다.

 

자랄 때는 공기 정화시켜요, 죽어서는 사람에게 영양분을 제공해요...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말은 아무래도 어불성설이다.

 

거의 모든 동, 식물에서 영양분을 얻어먹고 사는 빈대라고 볼 수 도 있지 않을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목련


 

 

개인적으로 목련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꽃이 질 때 그렇게 추하게 되는 꽃은 별로 없으니까.

 

무엇이든 끝맺음이 중요하다.

어떻게 떠나갈 것인가?

어떻게 죽어갈 것인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모과나무


 

작년에는 모과가 대여섯개 열렸다고 하는데 올 해는 하나도 찾아볼 수가 없다.

 

모과는 생기기는 못생겨도 향이 좋아서 술을 담그는 데에 많이 쓰인다고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금잔화


 

화단에 많이 심어지는 꽃이라고 한다.

 

봄에 꽃씨를 심으면 여름에서 가을까지 줄곳 꽃을 피운다.

 

아직도 남아있는 꽃들이 있다.

 

영어로는 메리골드라고 부른단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맨드라미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비름과의 한해살이풀.

 

계관()·계두()라고도 한다. 열대 인도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90cm 정도 자란다. 흔히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 또는 달걀모양의 바소꼴이며 잎자루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편평한 꽃줄기에 잔꽃이 밀생하며, 꽃색은 홍색·황색·백색 등이다. 화피조각은 5개로 바소꼴이다.

편평한 꽃줄기의 윗부분이 보다 넓어지고 주름진 모양이 마치 수탉의 볏과 같이 보인다.
열매는 달걀모양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옆으로 갈라져서 뚜껑처럼 열리며 3∼5개씩의 검은 종자가 나온다. 꽃은 지사제로 약용하거나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꽃말은 ‘열정’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개망초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왜풀·넓은잎잔꽃풀·개망풀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30∼100cm이다. 풀 전체에 털이 나며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시들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밑의 것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길이 4∼15cm, 나비 1.5∼3cm이다. 잎 양면에 털이 나고 드문드문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는 날개가 있다. 줄기 윗부분의 잎은 좁은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로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도 털이 있다.

6∼9월에 흰색 또는 연한 자줏빛 두상화가 산방꽃차례를 이루어, 가지 끝과 줄기 끝에 가지런하게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으로 줄 모양 바소꼴이고 긴 털이 난다. 화관은 혀 모양으로 길이 7∼8mm, 나비 1mm 정도이다. 열매는 수과로 8∼9월에 익는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퇴비로도 쓴다. 한방에서는 감기·학질·림프선염·전염성간염·위염·장염·설사 등에 처방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 두해살이풀이라 ... 한해살이풀은 들어봤어도 두해살이풀은 못들어 본 것 같다. 두번째 겨울은 넘기지 못한다는 것인가? 하긴 끊임없는 고난을 견뎌낸다는 것은, 존경할만한 일이지만 때론 가혹한 일인 것도 같다. 어떤 어려움이든 견뎌내겠다는 의지도 똑같은 어려움이 두 세번 반복되면 약해진다. 누구나 그럴까... 아마도 올 겨울은 쉽지 않은 시기가 될 것 같다.

by 쑨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나팔꽃


 

나팔꽃은 한 해 살이 식물이다.

 

4월 경에 씨앗을 심으면 8월경에 꽃이 피고

 

꽃이 지면 그 자리에 씨앗이 맺힌다.

 

겨울이 되면 시들어서 죽는다.

 

모아두었던 씨앗을 다시 심으면 예쁜 꽃이 열린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등나무


 

등나무 그늘은 정말 시원하다.

 

한 여름에 그 밑에 앉아 있으면 절로 땀이 식는다.

 

봄에는 포도송이처럼 보라색꽃이 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더덕밭



 

연천에 있는 더덕밭이다.

 

무슨향이 나는가 싶더니 더덕향이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