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햇살을 찾아 4] Kyaw와 Soe 이야기

  View Articles

Name  
   류은숙  (2006-10-30 23:32:10, Hit : 145, Vote : 392)
Subject  
   [햇살을 찾아 4] Kyaw와 Soe 이야기
그 공장의 Mon족 출신 노동자의 도움으로 Soe와 Kyaw는 그들이 가진 돈의 나머지 전부인 천5백바트(약 4만5천원)에 트럭을 빌려서 Suphan Buri Province의 공사장으로 돌아갔다. 그 공사장의 인부는 Soe와 Kyaw 일행에게 방콕에 가서 일자리를 찾아보라고 하면서 그들을 위해 방콕에서 미터 택시를 불렀다. 11명을 태우기 위해서는 택시가 3번을 왔다갔다 해야 했고, 한 사람당 천5백바트의 요금이 들었다. 하지만 그 택시 운전사는 아직껏 요금을 받지 못했다. Soe와 Kyaw 일행이 임금을 받고 있지 못하고 있고 거의 굶어죽을 지경이기 때문이다.  

Mon족 출신인 Soe와 Kyaw 일행 11명이 방콕에 도착한 때는 타이의 경제위기가 터진 97년 초였다. 경제 위기 때문에 건설 일은 드물었고, 임금 지불도 자주 끊겼다. 고용주가 결국은 돈을 주리라고 믿으며, Kyaw와 Soe는 고된 일을 계속했다. 하지만, 또다른 근심거리만 생겼다. 그들의 노동 일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돈을 벌 수 없다는 거였다. 이동야채가게 주인은 맘이 좋아서 그들에게 외상을 주었지만, 그것만으론 전체 가족이 먹기에 충분치 않았다. 그들은 먹을 것을 찾아 공사장 인근의 연못가에서 풀도 뜯고 고기도 낚았다. 때때로 그들은 오이하고만 밥을 먹거나 볶은 쌀만을 먹어야 했다.

그들과 친해진 후에, 우리들은 신선한 음식을 가지고 그들을 방문하려 최선을 다했다. 그런데 크리스챤 조직 출신의 카렌족 사람이 그들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 그의 주장은 타이인과 버마인(바로 우리들을 가리키는 말이었다)이 자신들의 삶을 위협한다는 거였다. “버마와 거기 출신 사람들한테는 뭔가 수상한 게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진짜 피해자인 Kyaw가 오히려 우리를 위로하려 했다. “때때로 사람들은 이상한 생각들을 해요. 그 누구도 어떤 사람도 믿지 않으려 해요.”

Soe가 말했다. “신경쓰지 마세요. 그들이 우릴 돕지 않겠다면 그러라고 하세요. 괜찮아요. 여기 사람들은 서로를 두려워하고 있어요.”

Kyaw는 주장했다. “어쨌든, 난 내 돈을 받을 때까지 기다릴래요. 또 옮기고 싶지 않아요. 어딜 가도 똑같을 거예요. 하지만 경찰이 우릴 체포하려 한다면 떠날 수밖에 없겠죠.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난 떠나지 않을래요. 붙잡힐까 무서워요. 하지만 모든 일이 끝을 보게 될테니 붙잡히는게 나을지도 모르죠.”

Soe가 우리에게 물었다. “근데 공사장이 도망치면 어떡하죠? 그런 소문을 들었어요. 우린 어떻게 해야하죠?”

물론이었다. 공사장은 프로젝트 소유주에게 돈을 받은 후에 실제로 도망쳤다. 전체 노동자들이 최종 임금이라고 받은 것은 겨우 2백바트(약6천원)였다. 프로젝트 소유주는 그들 노동자 전부에게 일을 다시 하도록 재고용하겠다고 했지만 이전 공사장이 가져간 돈에 대해서는 책임질 수 없다고 했다. Kyaw와 Soe 일행이 실제로 받았어야 할 돈은 만7천바트(약51만원)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