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The nitty-gritty of solitary confinement

*수감자를 독방에 가두는 것에 대해 문제제기하는 미국 이야기에 관한 을 읽었다.

 

in spite of the known mental-health deterioration stemming from long-term isolation.” As one expert explained to me, “Their behavior is destined to deteriorate under those conditions. Then their poor behavior is used to justify why they should be there.”

 

이름이 낯설지만은 않은 Human Rights Watch 도 독방 수감의 문제를 지적했다고 한다. 감옥 갔다온 병역거부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의견이 갈리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독방을 원했던 사람들도 많았던 것 같은데. 출소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그리고 말도 안 통하고 친구도 옆에 없는 타지에서 한동안 생활해보면서 나는 설령 내게 독방의 기회가 온다할 지라도 독방을 선뜻 택하진 않겠구나 싶은게 독방에 대해 내가 내린 결론이었다. 말 그대로 정말 내 이익과 관련해서만 생각을 해오다가 이번에 이렇게 독방 수감이라는 문제를 인권차원에서 접근하는 글을 읽고 나니 아 이런 접근도 가능하구나 생각이 들어서 링크를 걸어둔다.

 

 

*집에 들어왔는데 아무도 없길래 잠깐 우쿠레레를 혼자 띵가띵가 치다가 문득 작년 겨울 더블린 공항에서 하룻밤 자고 다음날 아침 더블린 시내로 들어가던 때가 떠올랐다. 버스 안에서 따땃하니 잠에 빠져들었는데 깨고 나니 꽉차 있던 2층 버스가 어느 새 한가해지고 버스도 한적한 곳을 달리고 있는 거다. 그래도 설마 더블린 시내를 지나쳤겠어 믿었지만 내가 자느라 시내에서 못 내린게 맞았다. 휴우.

살짝 당황을 한 채로 바로 내려 맞은편 버스 정류장을 찾아 헤메던 바로 그 때 그 마을의 흐릿한 이미지와 깨끗한 하늘 차가운 공기가 함께 떠오른다. 근데 그 땐 왜 그렇게 잽싸게 다시 버스를 갈아탔을까. 그 마을을 좀 더 둘러보았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후회가 든다.

90분짜리 버스패스를 끊어서 탄 버스였고 잠에서 깼을땐 그 90분이 다 되가고 있었기에 돈을 아껴보려는 마음에 잽싸게 다른 버스를 갈아탔었겠지. 너무 낯선 곳이 불안도 했을거고. 하지만, 자다 깨어보니 나타난, 원래 목적지와는 전혀 다른 우연한 곳을 둘러보는 것도 여행의 매력이겠건만. 쩝, 이 아쉬움이 왜 오늘 갑자기 찾아드는 건지 모르겠다. 

다음에 더블린 갈일이 만약 다시 생긴다면 그 땐 그곳을 꼭 한번 다시 찾아보리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