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책이나 관념이 아니라 실제로 제주의 4.3을 알게 된 것은 90년대 후반 조성봉 감독과 함께 일하면서였다. 나는 함께 작업해보지 않겠느냐는 조성봉 감독의 제의로 조 감독의 작업실에서 여러 가지 일들을 함께 했다. 나는 막연하게나마 조성봉 감독이 <제주 4.3 항쟁> 희생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레드헌트"의 감독이라는 걸 알고 있었다. 나는 조성봉 감독을 만나 처음으로 "레드헌트"를 보았다. 충격적이었고 비극 그 자체였다. 당시 조성봉 감독은 막 "레드헌트 2"의 촬영을 마치고 편집을 준비하고 있었다. 화가 강요배의 그림도 그 때 처음 접했다. 지난 4월 3일은 <제주 4.3 항쟁> 60년이 되는 날이었다.

동백꽃 지다…강요배 그림·김종민 증언 정리 | 보리


경향신문(2008년 03월 28일 17:08:45)

“둘째 오빠가 행방불명되어 버리자 우리는 졸지에 ‘폭도집안’으로 몰렸어요. 어머니와 언니 그리고 당시 열세 살이던 나까지도 서북 청년회에 끌려가 말할 수 없는 고문을 당했습니다. … 난 그때의 충격으로 성장이 멈춰, 다 자란 후에도 몸무게가 30㎏밖에 되지 않았어요.”

제주 4·3 항쟁이 50주년을 맞는다. 1948년부터 1949년까지 2년에 걸쳐 분단을 막고자 한라산에 올랐던 1만4000여명에 달하는 일반인들이 희생됐다. 아들이 산으로 사라졌다는 이유로 어머니가 총살을 당했고 임신부가 대검에 찔려 죽었다.

처참했던 역사는 부정됐다. 세월이 한참 흐르고 당사자들이, 관련자들이 세상을 떠나갈 즈음이 되어서야 공식적인 조사가 이뤄졌다. 하나 뼛속깊이 그 신산스러운 역사를 간직해온 개인들의 상처는 시간이 지났다고 쉬 아물어지는 것이 아니다.

요즘 4·3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책은 사라지는 역사, 기억되지 못하는 역사를 상기시기키 위해 만들어졌다. 강요배씨가 80년대 말부터 제작했던 연작 역사화에 4·3 당사자들 34명의 증언을 모으고 책 앞뒤에 서경식 도쿄 경제대 교수가 쓴 추천의 글과 서중석 성균관대 교수의 해설을 덧붙였다.

제주도 사람이었던 화가 강요배씨도 젊은 시절엔 정작 4·3에 대해 잘 몰랐다고 한다. 그는 8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직접 4·3 관련자들의 증언을 듣고 답사를 다니면서 연작 역사화 ‘동백꽃 지다’ 50여점을 제작했고, 10여년 전 동명의 전시회를 통해 발표했다.

책장을 넘길 때마다 그림과 똑닮은 생생한 증언을 읽다 눈시울이 뜨거워지고 작가가 참혹했던 역사를 온몸으로 이해한 뒤 그려낸 그림을 보다 먹먹해진다. 예술의 사회적 책무를 운운하는 시대가 지났다고는 하지만 사회의 상처, 숨겨진 역사를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보듬는 일 역시 예술가의 중요한 역할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2만5000원 〈 윤민용기자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1/15 10:54 2011/11/15 10:54

누가 무엇을 위해 일하는가(경향신문 2007. 11. 17)


우리 주변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자신의 휴일은 무슨 일이 있어도 챙겨야 한다’는 사람과 ‘휴일에도 나와서 일해주면 기특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후자에 속하는 편인 필자로서는 읽는 내내 놓아버리고 싶은 충동을 느낀 책이다. 학교에서나 직장에서나 “성실해야 한다” “노동은 내 존재의의” 등의 신념을 철저히 내면화하며 살아온 ‘범생이’에게 ‘노동지상주의’를 근본부터 꼬집는 이 책은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하지 않는 자여 먹지도 마라!”라는 구호는 한국사회에서 1980년대만 해도 자본가를 향한 공격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불과 20년 사이 이 구호는 ‘유연한’ 고용·해고 덕에 낙오된 사람들이 쓰러져 가는 것을 정당화해 주는 이데올로기로 바뀌었다.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마르크스주의적 비판’이라는 정기간행물을 발간해온 독일의 좌파 지식인 그룹 ‘크리시스(Krisis)’는 이러한 변화는 ‘노동지상주의’ 자체가 가진 한계에서 나온 당연한 귀결로 본다. 이들은 ‘일자리 창출’과 ‘완전고용’을 이루겠다는 좌파와 우파 모두의 다짐은 부정돼야 한다고 본다. 오히려 “누가, 그리고 도대체 무엇을 위해 완전 고용돼야 하는가”를 물어야 한다는 더욱 근본적인 입장이다.

우리는 ‘여유로움’이 ‘자유시간’으로 바뀐 세상에 살고 있다. 여유로움은 무언가를 획득하려는 활동 과정에서 분리된 여분이 아니라 그 자체가 완전히 자립적인 삶의 목적이었지만 자유시간은 더 많은 노동을 뽑아내기 위한 준비시간일 뿐이다. 비극은 ‘추상적 노동’이라는 것이 생겨난 근대 자본주의 산업문명에서 시작한다. 가치 증식이라는 목적만을 향해 움직이는 상품생산 경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노동은 구체적인 활동과 시간의 리듬에서 분리돼 나와 양과 질로 ‘추상화’됐다.

저자들은 다시 마르크스를 읽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노동-마르크스주의자들이 당혹스러워하며 페이지를 넘겨 버렸던 그 ‘어두운’ 마르크스를 외면하지 않고 말이다. “‘노동’은 그 본질상 자유롭지 못하고, 비인간적이며, 비사회적이고, 사적 소유에 의해 조건지어지고, 사적 소유에 의해 창조된 활동이다. 사적 소유의 지양은 ‘노동’의 지양으로 이해될 때만 비로소 실현될 것이다.”(‘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1845). 단지 노동 시간을 줄이자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재생산을 경영, 시장, 교환과 돈에서 해방시키자는 뜻이다. 공허해 보이기도 하고, 현실성 없어 보이기도 하지만 이들의 근본적 문제제기는 곱씹어볼 만한 가치가 있다. ‘우리는 본래 놀이인(호모루덴스)으로 태어났다’는 호이징하의 말을 떠올려 보면 더욱 그렇다. 김남시 옮김. 1만5000원

〈손제민기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1/15 10:47 2011/11/15 10:47

그렇다. 이번 생에서 파멜라는 영원히 깨어나지 못한다. 그런데도 제프는 그녀의 눈동자를 한 번만 더 마주보고 싶었고, 그녀의 목소리를 잠깐이라도 듣고 싶었다. 그리움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커서 그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수치심이나 죄책감마저 잊은 채 이렇게 몰래 그녀의 뒤를 쫓고 있었다.

그녀와 함께 살던 날들의 기억이 그의 마음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1/06 22:26 2011/11/06 2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