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 전 다녀 온 문상에서 오랜만에 봤던 한 언니,
어린이집을 운영한다 했다.
자본금도 없고 교사 둘이서 최저임금 받으며
아이들 밥까지 챙겨가며 이것저것 정신없이 보낸다지만
넘치는 행복을 느끼고 있단다.
왜 내 아이가 주던 기쁨을 과거의 나는 몰랐을까,
다른 아이들과 시간을 보내면서 자주 느끼곤 한다고...
사람들을 잘 모르던 시기에 타로 모임을 통해 언니를 만나고,
언니를 생각하며 처음 리딩을 했던 카드가 은둔자 카드였다.
타로를 보면서 처음으로 울었던 기억, 마음 열지 못하고 있던 나에게
그 경험은 잊지 못할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다.
고행하는 은둔자처럼,
가급적 만나고 싶은 사람들만 만나며,
내 삶에 집중하고 싶었다.
그것이 어떤 형태이든 상관 없었다.
.........
기대했는데 다시 생리를 시작한다.
쥐어짜는 듯이 배가 아프다.
실로 오랜만인 통증, 눈물 나올 뻔 했다.
시간이 어떨 때는 약이고 어떨 때는 독 같다.
무슨 환자마냥...
몸이 반응하는 것에 기다리는 일을 되풀이 하고 있다.
아마도 과거의 아픈 기억 어디 쯤에 나는 매어 있고,
현재의 시간은 늘 흐르고 있기에,
기대했다 실패하는 것도, 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것도
인정하지 않으려는 것이리라. 무척이나 어리석게도.
나의 성이 통제당하고 있다는 명백한 현실과
그 속에서 내가 선택했던 어떤 중대한 인생의 변화 같은 것들이 있었다...
결혼이 그래왔고
남편을 설득해 임신과 출산을 계획하는 것이 그러했다.
헌데....
나는 정말로 이걸 원하고 있을까?
정말로,
정말로,
원하고 있을까?
나는 몇 가지 과정을 '의식적으로' 건너 뛰었다.
임신하고 열달의 기간을 조심조심 하며 아이를 품고 있어야 하고,
아이가 내 몸을 찢고 나오는 출산을 거쳐야 하고
(이것은 거의 하나의 장면처럼 각인되어 몇 초면 끝날 것처럼 여기고 있다)
커서는 다 알아서 한다 하더라도 아이가 어릴 때,
못해도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내가 옆에 있어야 하지 않은가?
내가 못 받았던 부분이기에, 얼마나 유년시절의 기억들이 처참해지는지 안다.
그래서 더욱 많은 애정을 주고 싶다. 일정 정도 다른 활동을 포기할 각오도 지금은 되어 있다.
안 봐도 훤하게 교육운동을 하겠지. 정신이 제대로 박혀 있으면...양질의 무상보육(교육)을 요구하며 싸우겠지?
그럼, 무상보육이 되기 이전에는? 매일 아이와 함께 붙어있을 자신이 있는가? 없다, 당연히.
그러면, 그러면, 할머니 할아버지다. 나의 부모님, 배우자의 부모님...
원체 서로 원하셨으니 예쁘게 키워주시겠지.
그렇지만 이렇게 하면 안 되지 않는가? 양육의 책임을 또 서로의 부모에게?
한 두 번 맡기다 보면 생활이 된다. 아니다, 이건
그리고...
혹여나 남편과 헤어지게 된다면?
다른 사랑하는 사람이 생겨, 멀어지게 된다면
아이를 이해시키거나 설득하는 것은 두번째 일이다. 아이가 받을 상처에 대해서는 솔직히 고려가 되질 않는다.
문제는 나다. 내가 아이를 이전처럼 그대로 사랑할 수 있는가. 무조건적이고도 무상의 책임을 해야 하는 것인데, 나는 과연 아이가 아주 어릴 때부터 다 자란 성인이 될 때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 아이를 타자화하기는 힘들 것이다. 그렇다면 남편이나 애인을 사랑하는 것처럼, 그렇게 아이를 사랑하면 안 되는가?
쪽팔리는 말이지만,
존경받는 엄마가 되고 싶었다.
아이에게 본보기를 보이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게 나를 발전시키는 길이 될 수 있다고도 여겼다.
엄마의 삶이 나를 추동했던 힘이었으므로. 나도 그렇게 살고 싶었다.
헌데.....
내 삶이 이런 방식으로 계속된다는 것,
이제는 되물어야 한다.
대체 뭔가...
지쳐 있던 내 삶에 그렇게라도 변화를 주고 싶어서인가?
타인의 시선이나 관계에서 오는 유무형의 압박 때문인가?
왜 사슬 속에 자신을 옭아매 넣고는, 스스로 괴로워하는가?
답은 간단한데, 용기 없이 물음만 던진다.
이 글에 관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