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게바라의 20대 라틴아메리카 여행을 담은 영화, 모터싸이클다이어리...

지금까지 ‘체 게바라’라는 이름이 내게 어떤 의미였나. 쿠바혁명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고, 혁명 직후 은행 총재가 되었다는 정도와 5년 전 누군가가 준 체 게바라 평전이 읽지도 않은 채 내 책장 제일 꼭대기에 꽂혀있다는 것이 내가 그에 대해 알고 있는 전부였다.

이 영화가 체 게바라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이번에 영화를 보면서 알게 되었다. 혁명가의 상징에서 이제는 자본주의의 상품으로, 전 세계 어디서나 그의 얼굴을 티셔츠에서, 거리에서 만날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그의 유의미성이 사라지거나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모든 사전 정보 없이 영화 자체만을 본다면, 이 영화는 두 20대 두 남자의 로드무비다. 앞날에 대한 막막함, 혹은 결정되어 지는 것에 대한 거부 등이 그들을 떠나게 만든 것일까. 내가 보냈던 20대 중반의 방황이 순간 오버랩 되었던 것은 나에 대한 부정도, 그들에 대한 긍정도 아니다. 그들의 여행은 흔히들 하는, 도시에 발자국 찍기 식의 여행이 아니다. 폐기처리 일보직전의 오토바이 하나에 달랑 몸을 싣고 둘은 대륙 종단에 나서는 것이다. 물론 걸어가고 싶었겠지만, 대한민국국토종단이 아니라 대륙종단인 이상 오토바이라는 독특한 운송기구를 선택하게 된 것일까. 그리고 그들이 천천히 조금씩 북쪽으로 올라가면서 만나는 것은 라틴아메리카의 자연, 지형, 문명, 그리고 사람들... 길 위의 사람들...



 

여행하는 이들은 모든 길 위의 이들이 여행하는 이들이거나 정착한 이들일 거라 생각했다. 그러나 실상 길 위에는 수많은 정착하지 못한, 집을 빼앗기고 땅을 빼앗긴 이들이 있었다. 먹을 것은 풍족했던 옛날을 회상하는 가난한 이들이 있었다. 가진 거라곤 고장 난 오토바이와 여자친구가 준 15달러밖에 없는 두 청년은 어떠한 선택을 하는가.

일단 그들은 목적했던 여행의 마지막, 페루의 나환자촌을 방문하고 그 곳에서 나환자들을 치료하고, 그들과 부대끼고, 환자와 의사와의 관계를 넘어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를 맺고, 둘은 그 여행의 끝에서 각자의 길로 나아간다. 그리고 그 둘이 어떻게 되었을까.

이 영화가 여기서 끝을 맺고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왜 굳이 체 게바라를 소재로 하면서 체 게바라의 일대기나 혁명기의 영웅적 모습이 아닌 20대 중반의 맹목적인 여행을 보여주는가. 그것은 단지 체가 왜 혁명에 뛰어들게 되었는지가 아니라, 나를 그 상황에 투영시키거나 나의 20대를 생각게 하면서 나의 삶의 방향을, 목적을, 그리고 주변의 사람들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체는 분명 의사로서의 길을 갈 수도 있었다. 같은 여행을 한다 해도 다른 결정을 내릴 수도 있었다.

-------

여기까지 쓰고 책장 꼭대기 체 게바라 평전을 읽기로 하였다. 바로 영화가 끝나는 부분까지 책으로 다시 체를 만났다. 구체적인 몇몇 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비슷한 흐름이었으나 한 가지 영화만으로 알 수 없었던 중요한 사실은, 체의 조상이 라틴아메리카인이 아니라는 것.. 난 라틴아메리카 혁명이 민족주의에 기반한 사회주의 혁명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라틴아메리카 혁명은 아르헨티나인, 칠레인, 쿠바인 등의 민족성이 아니라 라틴아메리카 대륙이 가지는 공통분모에 대한 이해 없이 판단하기 힘들 것이라는 막연한 가정을 가지고 다시 체의 당시 고민과 여행을 따라가 보았다. 체는 어린 시절부터 부모의 영향 등으로 반체제운동에 깊은 고민이 있었으나, 여행을 떠나기 전 그의 미래는 민중과 함께하는 의사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여행은 그를 의사가 아닌 혁명가로 변모시키는 중대한 계기가 되는 듯하다. 처음 그들이 계획했던 여행은 자신의 조상들의 문명이 있는 유럽으로 가는 것이었다. 그러나 핏줄의 근원이 아니라 현재 살고 있는 땅, 라틴아메리카를 여행하게 되는 것. 유럽의 자손이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인으로서 뿌리를 찾아 떠나는 여행, 백인들에 의한 지배가 있기 전의 문명, 마추픽추에 올라 자신의 정체성을 재부여하고자 했던 것이 이 여행의 시작이다. 백인으로서가 아니라 라틴아메리카인으로서 라틴아메리카 대륙을 체험하고 그가 결국에 이르른 결론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까.

최근에 호치민 평전을 읽으면서, 누군가의 일생을 통해 역사를 배우는 것이 꽤 흥미로운 작업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오랫동안 먼지쌓인 빨간 표지의 이 책을 이제는 읽을 때인 듯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4/01 17:38 2005/04/01 1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