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민족단체들, 을사늑약 111년 맞아 한일군사정보협정 규탄

“일제의 군사식민지화 받아들일 수 없다”민족단체들, 을사늑약 111년 맞아 한일군사정보협정 규탄
김치관 기자  |  ckkim@tongilnews.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승인 2016.11.17  17:38:44
페이스북 트위터

 

   
▲ 120개 민족단체들은 을사늑약 111년을 맞은 17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중단을 촉구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오늘 11월 17일은 일제에 의해 나라의 주권을 빼앗긴 통한의 을사늑약 111년을 맞이하는 날이다... 박근혜 정부가 과거사 문제의 해결없이 제2의 군사식민지화 을사늑약으로 갈 수 있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추진을 합리화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

120개 민족단체들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반대민족운동본부와 한일군사협정반대국민행동 공동 명의로 17일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일군사정보보협정 체결 중단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신상철 단군민족평화통일위원회 공동대표가 낭독한 성명서를 통해 “‘박근혜-최순실’ 국정 농락으로 온 국민이 분노하며 ‘대통령 하야’, ‘탄핵’이 거론되는 시기에, 박근혜는 더 이상 안보와 국방을 말하고 지시할 자격이 없다”며 “박근혜 정부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추진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특히 “집단적 자위권을 골자로 하는 안보법 시행으로 날개를 단 아베 정권은 거침 없이 군사대국화의 길로 나서고 있다”며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은 자위대의 한반도 재진출과 일본의 군국주의 재무장을 사실상 지원하고, 뒷받침함으로써 한국의 주권과 평화를 스스로 훼손하는 조치이기에 일제의 군사식민지화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분명히 했다.

   
▲ 한복을 입은 신상철 단군평화통일협의회 공동대표가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나아가 “한일군사협력은 한미일 군사동맹 완성과 동북아 MD 구축을 위해 강력히 요구해 왔던 사안”이라며 “한미일 3각 동맹은 북정러 3각 동맹을 강화시켜서 결국 동북아 평화의 토대를 근본적으로 뒤흔들어 한반도는 그 대립의 각축장이 될 것”이라고 유려를 표하고 “국회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반대 결의문을 채택하고 국회비준을 거부하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한민구 국방장관의 해임을 요구했다.

사회를 맡은 윤승길 한민족운동단체연합 사무총장은 “대통령이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스스로 반대하고 일본에 반대의견을 내기 바란다”고 말하고 “일본의 군사식민지를 만드는 1단계 협정을 반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독립운동관련 단체들은 5천년 역사를 부정하는 건국절 반대운동을 하지 않는다면 그 단체는 문을 닫아야 한다”는 점과 “일본의 군사식민지화 되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에 묵인, 방관, 지지하는 독립운동단체가 있다면 간판을 내려야 한다”는 점을 반복 강조했다.

   
▲ '군사식민지 반대'를 쓰는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 기자회견 참가자들이 '군사식민지 반대'를 내걸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 - 통일뉴스 김치관 기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