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데이? 혹시, 조난구호? 땡, 아니다. 올해로 121주년을 맞이하는 ‘국제 노동자의 날’을 달리 부르는 말. 사연은 1886년 5월 4일, 미국 시카고 헤이마켓 광장에서 비롯한다. 사흘 전인 5월 1일 미국-캐나다 노동조합연맹과 국제노동자협회의 주도로 하루 8시간 노동을 핵심요구로 내건 총파업이 벌어졌다. 수많은 노동자들이 미국 각지에서 고된 노동을 거부하고 총파업에 참여한 와중에, 노동자 4명이 경찰의 발포로 사망한다. 그 다음날인 5월 4일 시카고 헤이마켓 광장에선 약 8만 명의 노동자들이 모여 경찰 발포에 항의하는 집회가 열렸다. 집회 해산 도중 폭탄이 터지면서, 이날도 노동자에게 총을 쏜 경찰 7명을 비롯해 많은 노동자들이 사망했다.
항의집회 주동자로 지목된 독일계 이주노동자들 중 4명은 졸속 진행된 재판에서 결국 사형을 언도받았다. 피고 중 하나인 파슨스는 사형 언도 전 다음과 같은 최후진술을 남겼다. “내가 원했다면 자본가가 될 수도 있었을 거다. 그러나 나는 노예로 살기를 원하지 않는 것처럼 다른 사람을 노예로 부리기도 원치 않는다. 그게 내가 이 길을 가는 이유이며, 또한 그것이 나의 유일한 죄다.” 교수대로 끌려가는 동안 노동자들이 함께 부른 건 미국의 애국가인 ‘별이 빛나는 깃발’이 아니라, 그 당시만 해도 국제주의적 계급연대를 상징하던 노래 ‘라 마르세예즈’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매년 5월 1일은 자본주의 세계 각지의 노동자들의 끝간 줄 모르는 자긍심을 새삼 확인하고 자본제 특유의 쥐어짜기 본능에 맞서 싸워 이뤄온 일정한 성취를 기리는 날이 됐다. 물론, 과거를 그저 추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금과는 판이하면서도 좀더 나은 세계를 앞당겨 경축하는 날로서 말이다.
이번 달 마지막 날인 4월 30일에 열릴 서부비정규노동센터 빈털터리 포럼에서는, 이같은 국제 노동절/메이데이의 취지를 한껏 되새김해 볼 예정이다. 그러니까, 진정 글로벌하거나 인터내셔널한 노동자연대의 중요성과 의의를 오늘에 되살려 보자는 거다. 오로지 대기업 CEO 내지 초국적 자본가들만 그러고 놀란 법, 당연히 없을 테니까.
해서 일단은, 일본 불안정노동자들이 주축이 되어 결성된 프리타일반노조의 조합원을 초청해, 각자의 처지에 관해 함께 듣고 이야기하는 자리를 가질 참이다. 국경을 가로질러 그려가야 할 공통된 실천과 변화의 전망은 어떤 것일지 모두어보는 자리가 되겠다. 가히 지구적 규모로 사회적 양극화 추세가 나아지긴 커녕 한층 더 심각해질 것으로 보이는 지금, 한국과 일본에 살고 있는 우리 불안정·파견·간접고용 노동자들이 마주해온 상황을 짚고, 특히 이번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누출 사고가 불안정노동자들에게 끼치는 악영향의 실상을 확인하려 한다. 이번 사고가 우리, 불안정노동자 대중에게 정치적으로나 실천적으로 던지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가늠해보기 위해서다.
쪽바리 또는 조센진 VS. 울트라닛뽄 또는 대~한민국. 사실, 반도와 열도 사이에서 그간 반복돼온 실속없는 드잡이질의 뿌리는 그 두께로나 너비로나 만만치가 않다. 물론 이 지루한 반목의 장막이 웬만큼 얄팍해졌다곤 하나, 마치 같은 태반에서 자란 쌍생아처럼 태극기와 일장기 휘날려가며 벌이는 한-일 합동 드잡이 퍼포먼스 선동은 아직도 곧잘 먹힌다. 근데 이 선동이 그럭저럭 잘 먹힌 덕에 우리, 깃발 없는 이들의 살림살이는 좀 나아졌을까? 글쎄, 되돌이켜 보면 그야말로 죽 쒀서 개 준 꼴이었다고 하기에 충분한 정황만 흐드러지잖나 싶다. 프리타일반노조는 이번 ‘후쿠시마 재앙’을 놓고 ‘정보 피폭’의 덫에 걸리지 말자고 호소한 바 있다. 조국과 ‘민족’의 이름으로 펄럭이는 태극기와 일장기 물결에 휩싸인 나머지, 정작 국경을 가로질러 함께 싸워야 할 ‘자본주의의 개’들이 어디서 뭘하는지 눈멀어선 곤란하다는 얘기겠다. 그럼 우린 어떻게 글로벌한 정보 피폭의 장막을 찢고, 저마다 고르고 자유롭게 꿈꾸고 누릴 ‘좋은 삶’에 눈뜰 수 있을까? 4월 30일, 서비 빈털터리 포럼에 와 보시라.
****
며칠 전 서비 상임활동가의 대타로 <은평시민신문>에 보냈던 4.30 빈털터리 포럼 소개 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