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새로운 자본주의 세계의 두가지 과제

현금 우리가 살고있는 최대의 과제는
공산주의이념이 붕괴된 이 마당에
최소한 그 이념에 권위를 주고있는 실험의 장이 사라지고 있는 이 마당에,
자본주의라는 유욕의 체계를 억제시킬수 있는 공산주의에 상응하는
새로운 조직화된 힘(organized curbing power)을
어디에 어떻게 확보하느냐 하는 그 일점에 모아진다.
공산주의의 기권은 자본주의라는 인간본연의 주류(主流)에대한 지류(支流)로서의
억제기능,인간본연에 대한 인간당연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또다시 그러한 기능의 회복을 도모하지 않으면 안된다.

자본주의는 문명의 자연이로되 <자연의 자연>은 아니다.
인간이 자연과의 관계를 떠나 생존할 수 없다면
자연의 자연을 파괴하는 문명의 자연은 방치되거나 방임될수 없다.
인간의 욕망을 억제시키는 궁극적 힘은 욕망을 발생시키고 있는 몸
그 자체로부터 나올 수 밖에 없는 것이지만
욕망을 억제시킬수 있는 힘이 나오기 전에
욕망 그 자체의 오판에 의하여 몸을 파멸시키는데까지 이를 수 있다는데
문명속의 인간의 비극이 있는 것이다.
그러한 현상을 우리는 "질병'이라고 부르며,
그 질병의 종국은 "죽음"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는 두가지 문제를 생각해 볼수있다.
그 첫째는,자본주의라는 인간세의 현상 그 자체의 인식을 순화시키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여태까지의 자본주의의 인식이 오로지 공산주의와의 대결속에서대자적으로 설정되어왔던 그러한 측면들을 과감히 털어 버리는 것이다.
여태까지의 자본주의의 인식이 오로지 공산주의에 대립되는 그 무엇으로서,공산주의와 대결키위하여 자기동일성을 유지 존속되어야만 하는 그 무엇이라는 생각에서 탈피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자본주의라는 기존의 이념을 없애버리는 것이다.
그렇게되면 자본주의는 자신의 인식체계를 위하여 또다시 자신을 소외시키지 않으면 안될 것이므로
그결과는 자본주의 자체의 근본적 수정 내지는 다양성의 확보라는 방향으로 발전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우리가 키워나가야 할것은 결코 자본주의가 아니다.
그것은 오로지 건간한 사회며 보람있는 인간상이며,
그 사회를 구성하고있는 개개 모두의 건강(health)이다.
이 건강을 위하여 자본주의라는 경제적 행위는 과연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가 라는 과제만을 철저히 점점해 봐야 하는 것이다.
인간의 경제적 행위방식이 반드시 파괴적인 집약적 도시화나 막중한 자본의 투자,대량생산,고도의 테크날로지,개발주의 통제 플래닝 등으로 특징지워지는 기존의 모델에 순종해야만 할 필요가 있는가?
인간의 형이상학적 본질이나 본성의 다양성을 무시하고 도시 문화의 효용증대만을 꾀하는 현금의 경제학에 자본주의 혹은 경제현상의 미래를 맡길수 있겠는가?
과연 경제현상을,인간이라고 하는 토탈한 걸작품과 생명없는 아톰의 법칙과를 동일시 하려고하는 과학성에 의거하여 법칙지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우리가 생각해야 할것은 우리 삶의 경제 현상일 뿐이며,자본주의가 아니다.
공산주의가 없어지면 자본주의도 없어져야 마땅하다.
자본주의가 없어진 경제에 남는것은
오로지 인간의 과제일 뿐이다.

둘째,자본주의의 독주나 독선을 막는 힘은 궁극적으로 자본의 논리 그 자체에 의하여 나올수 밖에 없다.
이것은 칼 맑스가 자본주의는 자본의 확대재생산이라는 잉여가치창출의 법칙 그 자체에 의하여 필망할수 밖에 없다는 논리와도 상통하는 것이지만,
여기에 우리는 필망이라는 한 시점적 묵시성을 설정할 필요는 없다.
그렇다고볼때 지금 자본의 논리를 제어할수 있는것으로서
인류에게 싹트고 있는 가장 근원적 공통의식을 묶는 개념이 바로 "에콜로지"라는 것이다.
현금 에콜로지에 대한 관심은 인간이라는 유기체와 그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문명의 구조에대한 관심으로까지 확대되었고,
또 모든 유기체의 스스로 그러함에 폭력을 가하는
모든 문명의 폭력에대한 자성의 공동체의식 내지는
그 폭력을 관장할수 있는 정치,사회적 역량의 증대를 꾀하는 민권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에콜로지의 미래적 가능성을 극대화 시킴으로써 매우 총체적인 문명의 억제기능을 강화하는데 과감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에콜로지운동의 비극은
첫째,그것이 아직까지는 자본의 논리에 종속되어 있다는 것이요,
둘째 그것이 공산주의와 상응하는 조직력(일례를 들면 공산당 조직과도 같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극의 해결도 일시에 이루어질 수있는 것은 아니지만,
과거의 정치조직 형태와는 다른 의미에서
지구촌적 공동체 의식이 확산되어 가면서,
그리고 소국과민(p.s작은정부,소화小化,아나키즘등을 의미하는듯함)의
제도적 변혁이 초래되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윗글은 김용옥의 생태공동체운동에관한 언급이 나온 부분을 읽다가 발췌한겁니다.씌여진 때가 1991년 소련의 공산주의의 붕괴라는 시점중이라 그무렵의 사회적 분위기도 읽을수 있게되더군요...

생태공동체운동은 과거 공산주의 사상을 뛰어넘는
더욱 근원적이고 절대절명의 시대의 요청입니다만...
현재의 이 운동의 한계성을 뛰어넘을수있는
개인들과 조직의 역량을 키워나가야 하는데...
암튼 포기하지말고 멋지게 살아봅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