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정치적 판단과 윤리적 판단 (1)
- pug
- 2006
-
- 이사
- pug
- 2006
-
- <변화의 지각>에서, 2
- pug
- 2006
-
- 죄
- pug
- 2006
-
- <변화의 지각>에서, 1
- pug
- 2006
115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오늘(과 내일 새벽엔) 꼭 발제문 쓴다. 쓰고 주말에 즐겁게.. 읽자.
아, 구질구질.
봄철날 한종일내 노곤하니 벌불 장난을 한 날 밤이면 으레히 싸개동당을 지나는데 잘망하니 누어 싸는 오줌이 넙적다리를 흐르는 따근따근한 맛 자리에 펑하니 괴이는 척척한 맛
첫여름 이른 저녁을 해치우고 인간들이 모두 터앞에 나와서 물외포기에 당콩포기에 오줌을 주는 때 터앞에 밭마당에 샛길에 떠도는 오줌의 매캐한 재릿한 내음새
긴긴 겨울밤 인간들이 모두 한잠이 들은 재밤중에 나 혼자 일어나서 머리맡 쥐발 같은 새끼요강에 한없이 누는 잘매럽던 오줌의 사르릉 쪼로록 하는 소리
그리고 또 엄매의 말엔 내가 아직 굳은 밥을 모른던 때 살갗 퍼런 막내고무가 잘도 받어 세수를 하였다는 내 오줌빛은 이슬같이 샛맑았다는 것이다
- 백석, <동뇨부(童尿賦)>
*벌불: 들불 / 싸개동당: 오줌을 참다가 기어코 싸는 장소 / 잘망하니: 얄미우면서도 앙증스런 모습, 얄밉게도 / 물외: 오이 / 당콩: 강낭콩 / 재밤중: 한밤중 / 쥐발 같은: 쥐발같이 앙증맞은
====================
'구질구질' 때문에 이게 생각났는데 다시 읽어보니 전혀 그렇지 않고나. 백석은 진정 개그쟁이!
여기에 가끔 출몰하는 ㄱㅇ이가 이걸 보면 좋아하겠군.
내가 남성이라는 게 죽고 싶을 정도로 부끄러웠던 적이 있었다. 그런데 쉽게 바꿀 수 없기에 내가 가지고 있어야만 하는 어떤 것이 죽을 정도로 부끄럽다면, 그리고 그 말이 거짓이 아니라면, 아마도 살 수 없을 것이다. 살다보면, 타협해야만 하는 순간이 생기기 마련인 것 같다.
들뢰즈 덕분에 '-되기'라는 말이 유행해서, '여성-되기'라는 말도 심심찮게 들렸다. 들뢰즈는 '여성도 여성-되기를 해야 한다'고 말하고 들뢰즈주의자들도 여기에 동의하는 듯 하지만 나는 이런 말들 때문에 들뢰즈로부터 멀어진 것 같다. 그(혹은, 들뢰즈주의자들)가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지 모르겠으나, 그는 내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했다. 나는 그게 좀 불편했다.
남성이라도 여성-되기를 해야만 하는 걸까. 그런데 여성-되기라는 게 그저 그런 수사나 은유가 아니라면, 도대체 어떻게 남성이 여성이 '될' 수 있을까. 그리고 왜 꼭 되어야만 할까. 나는 이런 질문들 앞에서 딱히 답을 못찾겠고, 그저 조금 슬프고 안타깝다. 무엇 때문인지도 아직은 잘 모르겠다.
나는 왜 비장애인이라는 것 때문에 괴로워하지는 않았을까. 한국에 사는 한국인이라는 것 때문에 괴로워한 적은 없을까. 나는 왜 내가 인간이라는 것 때문에 괴로워하지 않았을까. 아마도 타협했기 때문일 것이다. 나도 모르게. 생태주의나 장애인 담론을 아주 들어보지 못한 것도 아니었을텐데, 여성주의를 접하고 내가 그랬던 것만큼 엄격한 잣대를 여기에는 들이밀지 않았다. 타협이었을 것이다.
나는 무엇에는 타협하고 무엇에는 타협하지 않나? 나도 잘 모르겠다. 여성-되기보다 장애인-되기는 물리적으로 더 쉽다. 그래서 타협했을까. 지구의 암세포인 인간으로써, 내가 살아있는 게 지금 곧바로 죽는 것보다 환경에 더 악영향을 미칠지 모른다. 그런데도 살고 있다. 타협했을까. 그랬을 것이다. 여성주의자들은, 생태주의자들은 타협했을까? 그들도 타협했을 것이다.
내 생도 수많은 타협의 산물이다. 다른 사람의 생도 그렇다. 열심히 열심히 낑낑대며 기어가고 있다. 앞뒤에 친구들이 보인다. 주변 사람들도, 슈퍼집 아주머니도 주인집 할머니도 전공수업 선생님도 보인다. 모르는 사람들도 많이 보인다. 다같이 기어간다. 이마에는 다들 '타협'이라고 쓰여있다. 눈물은 나지만, 왠지 기분은 좋다.
덧) '타협'이라는 말의 뉘앙스는 여전히 좋지 않다. 그런데 이건 단지 뉘앙스의 문제일 것이다.
발단은 별 거 아니었다. 그저 엄마한테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을 읽어봤냐고 물어봤고, 엄마가 읽어봤다고 대답한 것 뿐이었다. 그냥 한 번 물어본 거였다. 굳이, 왜 물어봤냐고 묻는다면, 아마도 내가 원래 엄마한테 이런저런 일들, 특히 최근에 겪은 일 중 내게 의미있는 것으로 남겨졌던, 그래서 나를 성숙하게 만들었던 것 같은 일들을 조잘조잘 얘기하기 때문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죄와 벌"을 읽은 것도 그러한 '일'이었고, 엄마는 (예상 외로) 읽었다고 대답했다. 딱히 예상 외라고도 할 수 없는 것은, 딱히 읽었거나 읽지 않았을 것이라고 예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엄마도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대답은 그렇게 했지만 사실은 읽지 않았을 수도 있다. 하지만 엄마의 대답은, 그걸 물었을 때의 내 의도나 대답의 진위 여부와는 상관 없이, 내게 어떤 끔찍한 기억/예상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그런 질문을 왜 던졌을까. 여기에서부터 이야기를 풀어나갈 수 있겠다. 왜 나는 내가 건강하게 잘 지내고 있으며 학교 공부는 그럭저럭 되어가고 있고 최근에 LCD 모니터를 새로 샀으며 방 한 구석에 곰팡이가 피었다는 것 말고도, 베르그손이 왜 중요한 철학자이며 이혼에 대한 그런 시각에는 어떤 문제가 있고 내가 "죄와 벌"을 읽고 깨달은 점이 무엇인지 따위를 엄마에게 얘기하는 것일까? 물론 꽤나 '학술적인' 이 질문들이 내 삶의 아주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며, 소소한 것들이 나의 일상이듯 상대적으로 무거운 저 주제들 또한 나의 일상이기 때문일 것이겠지만, 나는 아무래도 한 가지 사악한 의도를 숨기고 있다. 나는 그걸 의식하고 있고, 또한 특별히 내가 그렇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사실 나는 엄마를 계몽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엄마에 대한 나의 우월성을 확인하려 하는 것이다.
엄마는 자신의 자녀교육이 세상에서 가장 탁월했다고 믿고 있다. 그런데 나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이후로 엄마에게 배운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물론 타협지점은 있다. 엄마는 '아기-나'에게는 최고의 엄마였다. 그러나 그 후로는 아니다. 내가 자타의 비난을 무릅쓰고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는 결정적인 이유는 바로 엄마가 내게 책을 골라주지 못했다는 것이다. 엄마는 어린이백과나 어린이 문학전집은 사 주었지만, 그 뒤로는 내게 무슨 책을 읽혀야 하는지 몰랐다. 따라서 나는, 초중고 12년 동안 도대체 무슨 책을 읽어야 하는지 알지 못한 채 침몰하고 만다. 정보를 얻을 곳도 없기에 방황한다. 그런데도 엄마는 자기가 가장 잘났다. 특히 자녀 교육에 있어서 그렇단다. 나는 화가 난다.
다소 거칠게 정리된 나의 개인적인 '지성사'는, 엄마로부터 벗어나려는 나의 '가족사'로 다시 쓰여질 수 있다. 내가 집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할 때, 나는 엄마의 무지를, 교양 없음을, '교양 있는 척'을 그토록 증오했던 것이다. 나는 교양과 지식을 얻고 싶었다. 그럼으로써 집과는 단절된 존재로서 나를 새롭게 수태하고 싶었다. 자기가 '최고의 무엇'이라고 반복해서 되뇌이므로써 얻게되는 효과가 아닌, 진짜인 지식과 교양을 얻고 싶었다. 엄마는 그 위약 효과의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엄마 때문에 나는 길이 잘못 들었다. 가진 것도 없으면서 있는 척을 한다. 집은 천박한 곳이었고 나는 거기를 떠나 교양인과 지식인의 세련된 공간으로 진입하고자 했다. 집이 특별히 천박했던 건, 그곳에 유사-교양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나는 엄마를 부끄러워했다. 나는 내가 배운 새로운 것들을 엄마의 코 앞에 들이대며 윽박질렀고, 그 때 느끼는 우월감을 내가 엄마로부터 벗어난 징표로 여겼다. 베르그손이나 도스토예프스키도 모르면서 교양은 무슨... 그런데, 읽었다니!
엄마는 "죄와 벌"을 읽었다. 당장에 이 말을 듣고는 거의 놀라지 않았는데, 사실 엄마가 엄마 말로 '소싯적에' 책을 좀 읽었다는 걸 나는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광수의 "무정"을 읽다가 울기도 했고, 에리히 프롬의 어려운 책을 읽고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단다. 그러다가 발밑으로 달려드는 세월에 묻혀, 야금야금 불어나는 삶의 무게에 눌려, 읽다가 말다가, 눈도 아프고 허리도 아프고 회사에서 돌아오면 잠자기 바쁜 십 수년의 생활이 결국에는 지금에 이른 것이다. 이 내세울 것 없는 평범한 한 사람의 인생은 오롯이 자식놈에게 바쳐졌다. 그런데 인제 이 자식이라는 것이 윽박지른다, 지금껏 뭐 했냐고. 왜 책을 안 읽혔냐고.
그런데, 그런데 말이다. 뒤늦은 반성과 효도는 엄마에게 직접 가서 하는 것으로 좀 더 미루고, 다른 생각에 좀 더 붙어있어야만 한다. 띄엄띄엄 시집과 소설을 읽고, 대단한 능력은 없기에 그런 능력을 가진 사람들의 격정과 환희를 그저 조금씩 빌려 쓰고, 자신은 주변 사람들과는 다른 고귀하고 세련된 종족이라고 생각하며, 그런 슬픈 자존심만으로 보잘것없는 일상을 버텨내는 것. 그것은 엄마의 인생이기만 한가? 나의 인생일 수도 있지는 않은가?
엄마가 이룬 것이 보잘것없다면, 내가 이룰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내가 지금 엄마보다 당당한 것은, 살 날이 더 많이 남았다는 것뿐이지 않을까? 따라서 내 삶을 평가하려는 시도에 '잠깐 기다려 보세요, 아직 더 남았다니까요'를 더 쉽게 외칠 수 있는 것뿐이지 않을까? 내가 철학자가 되고자 한다면, 엄마는 지금의 모습이 되고자 했던 것일까? 엄마는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삶을 살고 있지만, 나는 내 능력으로서는 택도 없는 높은 지위를 꿈꾸면서 서서히 질식하는 중은 아닐까?
나는 내가 좋은 대학에 왔기에 별종인 줄 알았다. 그러나 머리는 엄마 쪽을 닮는 거라기에 비로소 자주 왕래하지 않는 외가 친척들 쪽으로 눈을 돌리니, 유명한 대학 안 나온 사람이 없다. 나는 내가 특별히 '순수학문 지향'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 쪽도 상당수가 '순수과학' 전공이다. 그래도 나는 철학을 택했기에 내가 별종인 줄 알았다. 그러나 그것도 물려받았다. 엄마와 아빠는 수 년째 '종교 전쟁' 중이다. 둘이 대립하는 지점을 보면, 영락없는 철학적 문제가 놓여 있다. 많은 것이 정해져 있다. 운명이다. 나는 지금 누군가의 손바닥 안에서 놀고 있다. 그게 누구든, 울면서 기도라도 하고 싶은 심정이다.
내가 무엇을 배웠든, 그것을 단 한 명의 후손에게라도 전할 수 있다면. 그래서 내가 어렵게 배운 것을 그의 발 밑으로 깔아줄 수 있다면. 그렇다면 더 나아지지 않았을까, 이 모든 게?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단 한 명의 제자도, 자식도 키우지 못한 채, 끔찍한 반복만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증오와 멸시와 환멸의 반복을? 멸종의 그 순간까지?
답의 일부분이라도 얻기 위해서는 내가 엄마 나이 정도는 먹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내가 이룬 것에 대해 책임질 수 있는 나이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 때가 되면,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구체적인 대답 하나는 얻게 되겠지. 그리고 아마 나는 그걸로 만족할 것이다. 인생은 그리 끔찍하지 않을 수도 있고, 다른 의미에서 끔찍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심지어는 인생이 반복하는 것이라 해도 그게 그리 끔찍한 것만은 아니지, 하고 생각하면서 스무 살 먹은 자식에게 '하는 일 없이 쳐박혀 책이나 읽는 저 벌레같은 인간이 싫어' 하는 소리를 들으며 살 수도 있다. 벗어날 수 없는 것은 아무래도 껴안고 가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것을 아름다운 것으로 만들어야만 내가 그걸 견뎌낼 수 있을 것이다. 내게는 그래야 할 책임이 있다.
- 2006년 2학기, 조금만 더 잘 살아보아야겠다.
Bent double, like old beggars under sacks,
Knock-kneed, coughing like hags, we cursed through sludge,
Till on the haunting flares we turned our backs,
And towards our distant rest began to trudge.
Men marched asleep. Many had lost their boots,
But limped on, blood-shod. All went lame, all blind;
Drunk with fatigue; deaf even to the hoots
Of gas-shell dropping softly behind.
자루를 짊어진 늙은 거지들처럼, 두 배로 휘고,
무릎은 덜컹거리고, 노파처럼 기침하면서, 우리는 진창을 헤치며 저주했다,
그러다 섬광이 출몰하면 등을 돌렸고,
다시 먼 휴식을 향해 터벅터벅 걷기 시작했다.
졸면서 행군했다. 대부분 구두를 잃었으나,
다리를 절며 나아갔다, 피딱지를 신발 삼아. 모두가 절름발이었고, 모두 눈멀었다;
피로에 취해서; 귀도 멀어서 심지어 독가스탄이
뒤로 부드럽게 떨어지며 삐이 소리를 내는 것도 듣지 못했다.
Gas! GAS! Quick, boys!─An ecstasy of fumbling,
Fitting the clumsy helmets just in time,
But someone still was yelling out and stumbling
And flound'ring like a man in fire or lime.─
Dim through the misty panes and thick green light,
As under a green sea, I saw him drowning.
In all my dreams before my helpless sight
He plunges at me, guttering, choking, drowning.
가스다, 가스야! 빨리, 제군들!─미친듯이 더듬어
딱 맞춰 투박한 헬멧을 썼건만,
누군가는 아직 소리치며 비틀거리며,
불이나 덫 속에 있는 듯이 몸부림을 치고 있었다.
희뿌연 창과 두꺼운 녹색 빛 사이로 어슴프레
그가 익사하는 게 보였다, 마치 녹색 바다처럼.
내 모든 꿈에서 그는 어쩔 줄 모르는 내 앞에 나와
내게로 달려든다, 흐르며, 질식한 채, 물에 빠지듯.
If in some smothering dreams, you too could pace
Behind the wagon that we flung him in,
And watch the white eyes writhing in his face,
His hanging face, like a devil's sick of sin,
If you could hear, at every jolt, the blood
Come gargling from the froth-corrupted lungs
Bitter as the cud
Of vile, incurable sores on innocent tongues,─
My friend, you would not tell with such high zest
To children ardent for some desperate glory,
The old lie: Dulce et decorum est
Pro patria mori.
만약 어떤 숨막히는 꿈에서, 너 또한
우리가 그를 던져넣은 마차 뒤를 따라갈 수 있다면,
그러면서 그의 얼굴 위에서 몸부림치는 그 눈알을 볼 수 있다면,
그 축 늘어진, 악마도 질려버릴듯한 얼굴을,
덜컹거릴 때마다 피가 그르륵 소리를 내며
거품으로 오염된 폐로부터 솟아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면,
결백한 혓바닥에 난 불치의 사악한 종기에 닿은
쓰디쓴 새김질거리처럼,─
친구여, 만약 그렇다면 네가 그토록 높은 열의로
절망적인 영광에 혈안이 된 아이들에게 그런 말을 하지는 않을 것을,
그 오래된 거짓말: 나라를 위해 죽는 것은
달콤하고도 바람직하다는 것.
─ Wilfred Owen, 'Dulce et Decorum Est'
1
그해 늦봄 아버지는 유리병 속에서 알약이 쏟아지듯 힘없이 쓰러지셨다. 여름 내내 그는 죽만 먹었다. 올해엔 김장을 조금 덜 해도 되겠구나. 어머니는 남폿불 아래에서 수건을 쓰시면서 말했다. 이젠 그 얘긴 그만하세요 어머니. 쌓아둔 이불에 등을 기댄 채 큰누이가 소리질렀다. 그런데 올해에는 무들마다 웬 바람이 이렇게 많이 들었을까. 나는 공책을 덮고 어머니를 바라보았다. 어머니. 잠바 하나 사주세요. 스펀지마다 숭숭 구멍이 났어요. 그래도 올 겨울은 넘길 수 있을 게다. 봄이 오면 아버지도 나으실 거구. 風病에 좋다는 약은 다 써보았잖아요. 마늘을 까던 작은누이가 눈을 비비며 중얼거렸지만 어머니는 잠자코 이마 위로 흘러내리는 수건을 가만히 고쳐 매셨다.
2
아버지. 그건 우리 닭도 아닌데 왜 그렇게 정성껏 돌보세요. 나는 사료를 한줌 집어던지면서 가지를 먹어 시퍼래진 입술로 투정을 부렸다. 농장의 목책을 훌쩍 뛰어넘으며 아버지는 말했다. 네게 모이를 주기 위해서야. 양계장 너머 뜬, 달걀 노른자처럼 노랗게 곪은 달이 아버지의 길게 늘어진 그림자를 이리저리 흔들 때마다 나는 아버지의 팔목에 매달려 휘휘 휘파람을 날렸다. 내일은 펌프 가에 꽃 모종을 하자. 무슨 꽃을 보고 싶으냐. 꽃들은 금방 죽어요 아버지. 너도 올봄엔 벌써 열 살이다. 어머니가 양푼 가득 칼국수를 퍼담으시며 말했다. 알아요 나도 이젠 병아리가 아니예요. 어머니. 그런데 웬 칼국수에 이렇게 많이 고춧가루를 치셨을까.
3
방죽에서 나는 한참을 기다렸다. 가을 밤의 어둠 속에서 큰누이는 냉이꽃처럼 가늘게 휘청거리며 걸어왔다. 이번 달은 공장에서 야근 수당까지 받았어. 초록색 추리닝 윗도리를 하나 사고 싶은데. 요새 친구들이 많이 입고 출근해. 나는 오징어가 먹고 싶어. 그건 오래 씹을 수 있고 맛도 좋으니까. 집으로 가는 길은 너무 멀었다. 누이의 도시락 가방 속에서 스푼이 자꾸만 음악 소리를 냈다. 추리닝이 문제겠니. 내년 봄엔 너도 야간 고등학교라도 가야 한다. 어머니. 콩나물에 물은 주셨어요? 콩나물보다 너희들이나 빨리 자라야지. 엎드려서 공부하다가 코를 풀면 언제나 검댕이가 묻어나왔다. 심지를 좀 잘라내. 타버린 심지는 그을음만 나니까. 작은누이가 중얼거렸다. 아버지 좀 보세요. 어떤 약도 듣지 않았잖아요. 아프시기 전에도 아무것도 해논 일이 없구. 어머니가 누이의 뺨을 쳤다. 약값을 줄일 순 없다. 누이가 깎던 감자가 툭 떨어졌다. 실패하시고 나서 아버지는 3년 동안 낚시질만 하셨어요. 그래도 아버지는 너희들을 건졌어. 이웃 농장에 가서 닭도 키우셨다. 땅도 한 뙈기 장만하셨댔었다. 작은누이가 마침내 울음을 터뜨렸다. 죽은 맨드라미처럼 빨간 내복이 스웨터 밖으로 나와 있었다. 그러나 그때 아버지는 채소 씨앗 대신 알약을 뿌리고 계셨던 거예요.
4
지나간 날들을 생각해보면 무엇하겠느냐. 묵은 밭에서 작년에 캐다 만 감자 몇 알 줍는 격이지. 그것도 대개는 썩어 있단다. 아버지는 삽질을 멈추고 채마밭 속에 발목을 묻은 채 담배를 태셨다. 올해는 무얼 심으시겠어요? 뿌리가 질기고 열매를 먹을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심을 작정이다. 하늘에는 벌써 튀밥 같은 별들이 떴다. 어머니가 그만 씻으시래요. 다음날 무엇을 보여주려고 나팔꽃들은 저렇게 오므라들어 잠을 잘까. 아버지는 흙 속에서 천천히 걸어나오셨다. 봐라. 나는 이렇게 쉽게 뽑혀지는구나. 그러나, 아버지. 더 좋은 땅에 당신을 옮겨 심으시려고.
5
선생님. 가정 방문은 가지 마세요. 저희 집은 너무 멀어요. 그래도 너는 반장인데. 집에는 아무도 없고요. 아버지 혼자, 낮에는요. 방과 후 긴 방죽을 따라 걸어오면서 나는 몇 번이나 책가방 속의 월말고사 상장을 생각했다. 둑방에는 패랭이꽃이 무수히 피어 있었다. 모두 다 꽃씨들을 갖고 있다니. 작은 씨앗들이 어떻게 큰 꽃이 될까. 나는 풀밭에 꽂혀서 잠을 잤다. 그날 밤 늦게 작은누이가 돌아왔다. 아버진 좀 어떠시니. 누이의 몸에서 석유 냄새가 났다. 글쎄, 자전거도 타지 않구 책가방을 든 채 백 장을 돌리겠다는 말이냐? 창문을 열자 어둠 속에서 바람에 불려 몇 그루 미루나무가 거대한 빵처럼 부풀어오르는 게 보였다. 그리고 나는 그날, 상장을 접어 개천에 종이배로 띄운 일을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았다.
6
그해 겨울은 눈이 많이 내렸다. 아버지, 여전히 말씀도 못 하시고 굳은 혀. 어느 만큼 눈이 녹아야 흐르실는지. 털실 뭉치를 감으며 어머니가 말했다. 봄이 오면 아버지도 나으신다. 언제가 봄이에요. 우리가 모두 낫는 날이 봄이에요? 그러나 썰매를 타다 보면 빙판 밑으로는 푸른 물이 흐르는 게 보였다. 얼음장 위에서도 종이가 다 탈 때까지 네모반듯한 불들은 꺼지지 않았다. 아주 추운 밤이면 나는 이불 속에서 해바라기 씨앗처럼 동그랗게 잠을 잤다. 어머니 아주 큰 꽃을 보여드릴까요? 열매를 위해서 이파리 몇 개쯤은 스스로 부숴뜨리는 법을 배웠어요. 아버지의 꽃 모종을요. 보세요 어머니. 제일 긴 밤 뒤에 비로소 찾아오는 우리들의 환한 家系를. 봐요 용수철처럼 튀어오르는 저 冬至의 불빛 불빛 불빛.
─ 기형도, <위험한 家系 · 1969>
오리치를 놓으려 아배는 논으로 내려간 지 오래다
오리는 동비탈에 그림자를 떨어트리며 날어가고 나는 동말랭이에서 강아지처럼 아배를 부르며 울다가
시악이 나서는 등뒤 개울물에 아배의 신짝과 버선목과 대님오리를 모두 던져버린다
장날 아침에 앞 행길로 엄지 따라 지나가는 망아지를 내라고 나는 조르면
아배는 행길을 향해서 큰 소리로
─ 매지야 오나라
─ 매지야 오나라
새하려 가는 아배의 지게에 지워 나는 山으로 가며 토끼를 잡으리라고 생각한다
맞구멍난 토끼굴을 아배와 내가 막어서면 언제나 토끼새끼는 내 다리 아래로 달어났다
나는 서글퍼서 서글퍼서 울상을 한다
- 백석, <오리 망아지 토끼>
댓글 목록
90
관리 메뉴
본문
하하하하하하 이제 봤음 땡큐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