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사는 일

 

엊그제 만화가 김지은씨가 돌아가신 걸 알게 되었다.
웹질 중 여느때처럼 들어가본 그 사람의 블로그.
안그래도 최근 들어서는
'아.. 이 분, 이젠 힘든건가'란 느낌을 죄책감과 함께 갖게 했을 만큼
상태가 많이 안좋아 보였는데,
바로 6월 2일에 겨우 올린 듯한 짤막한 한 줄 남짓한 포스팅에
더 이상 약은 무용지물이며 부모님 계신 본가에 내려와 있다-고..
그 글을 보고도 맘이 덜컥 내려앉는 기분이었는데.
다음날 댓글이 엄청 달렸길래 그저 격려의 글들이려니 하고 펼쳤다가,
바로 전날 밤에 돌아가셨노라고 제자인 오은지씨가 소식을 전한 것을 본 것이었다.
 
허망하고 안타깝고 슬펐다.
엄청난 팬까진 아니었어도, 내 십대 시절 그분의 데뷔부터 늘 봐왔던 작가다.
그간 출간된 책들의 8할은 다 책장에 꽂혀 있을 정도로는.
 
게다가 그분 암 투병을 시작하면서부터는,
생을 향해, 작업을 향해, 저돌적일 정도로 포지티브하게
있는 힘을 다해 노력하던 터였다.
남의 불행을 상대적으로 이용하고 싶지 않다는 윤리적 차원의 미안함이 있었지만,
그래도 힘들 때 종종 그 작가의 블로그를 찾곤 했었다.
치열하리만치 열심히 사는 모습은 경외감을 지닐 만한 것이었고
난 '이렇게 힘든 사람도 이렇게 사력을 다해 사는데'라는 기분을 거기서 얻고 싶어 했었다.
 
그 투지도 그림도 생활도 자잘한 취향도 사념들도..
하루 사이에 사라진 것이다.
어제와 오늘이 그토록이나 돌이킬 수 없이 다른 것이다.
 
그 블로그에 아직도 고스란히 남아있는
장염이라고만 생각하고 고생하다가, 암 진단을 받고, 투병하고..하는
일련의 지난 글들을 다시 보았다.
진단 받은 것이 2009년 9월이더라.
재작년 늦여름만 해도
원고해야 되는데 왜 이렇게 장염이 안 나아~라 불평하고 있었을 뿐인데,
그 후 2년을 못 채우고 유명을 달리한 것이다.
인간이란 이런 것이다.
한 치 앞도 알 수가 없기에, 하물며 운명은 영영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육체는, 또 거기에 얽힌 정신은, 이렇게나 유약하고 불안하다.
'산다는 것'이.. 얼마나 있는 힘을 다해 부여잡아야 하는 것인지 다시금 느낀다.
갖춰지고 주어진 조건이란 게 과연 우리에게 있을까.
관성적으로 흘려버려도 될 것이 과연 존재는 하는 것일까.
그저 살아 존재하는 것조차 얼마나 힘이 드는 것인지
나 또한 고작 이 정도 병으로도 뼈저리게 겪었다.
 
고해의 생을 사는 인간이란 존재에게 예의와 도리를 다하기 위해선
정말로.. 살기 위해 사력을 다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슬픈 가운데 그런 생각이 들었다.
.
.
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