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연합뉴스 - 언론윤리 준수하는가?

거짓말보다 더 나쁜 게 있다. 반쪽도 안되는 진실을 보도하는 것이다.  

2012.3.18뷔르셀 발 연합뉴스 기사  <새 독일 대통령에 선출된 요아힘 가우크>가 이런 나쁜 짓을 하고 있다.

1.    „선원이었던 그의 아버지는 ….“

요아힘 가우크의 아버지가 배타는 사람(„선원“)이었다는 것은 맞다. 그러나 평범한 선원이 아니었다. 나치 상선대의 선장이었으며 예비역 중위였다. 요아힘 가우크의 부모는 각1934년, 1932년 나치당 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에 입당했다.  (참조: http://de.wikipedia.org/wiki/Joachim_Gauck#Herkunft_und_Nachkriegskindheit_in_der_DDR_.281940.E2.80.931951.29/  미주 1), 2)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43년 부활절: 나치 점령하의 폴란드 그디니아(독명:그딩엔)에 주둔한 아버지를 방문한 가우크, 여동생, 그리고 엄마. 참조: 독일 보수 일간지 디 벨트 .http://www.welt.de/politik/article13877996/Die-privaten-Bilder-des-Joachim-Gauck.html)


2.    „ 선원이었던 그의 아버지는 동독 정부에 의해 체포돼 러시아 군사법정에서 25년형을 선고받고 시베리아 강제수용소에 끌려갔다. 그 자신도 1950년대에 소련 강제노동수용소에서 3년여 생활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우크의 아버지가 시베리아에서 만들어 보낸 엽서. 디 벨트는 가우크의 아버지가 첩보행위를 했다는 빌미로  1951년 체포되어 25년 형을 받았으나 1955년 석방되었다고 한다. (참조: 디벨트 http://www.welt.de/politik/article13877996/Die-privaten-Bilder-des-Joachim-Gauck.html)


가우크 아버지는 1951년 6월 27일 체포되었다. 25년 형을 선고받았으나 1955년 석방되었다. 요아힘 가우크는 감옥생활을 한 적도 없고  강제노동수용소에서 생활한 적도 없다.



3.    „로슈토크시의 반체제 운동 단체인 `새 포럼'의 대변인을 맡아 활동한 그는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고 이듬해 통일될 때까지 동독 비밀경찰에 의해 철저한 감시를 당했다.“

가우크의 아들 크리스티안과 마르틴은 1987년 서독으로 이주했다. 근데 그들이 조부 금혼식 참여차 동독에 입국할 수 있었다. 당시 동독 출입을 슈타지가 통제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슈타지의 허락없이 불가능한 일이었다. 상당한 특혜다. 가우크가 슈타지 끄나풀이었다는 말은 아니다. [근거를 제시하는 그런 주장도 있지만]. 단지 가우크가 동독에서 상당한 특혜를 누렸던 사람이었다는 점을 상기하고자 한다. (참조: http://www.spiegel.de/spiegel/print/d-17269572.html)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87.2.2 마르틴 가우크의 동독 출국 허가장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반MB에 대한 단상

반제, 반전, 반핵은 설명이 필요없고
반듀링하면 뭔 말인지 알겠고
반자본주의하면 적이 보이는데
반MB하면 뭔가 헷갈린다.

자본주의는 그대로 두고 MB를 반반하자는 „야권연대“의  半MB인지
MB를 버리는 박근혜의 叛MB인지 …

하기야, 유통기한이 다 된 MB를 다들 얼른 먹고 싶겠지…

 

스스로 심고 가꿔 수확하지 않고

유통기한이 다 돼 쓰레기장에 버려지는 것만 찾아다니는

거러지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박근혜와 새누리당 꼼수들에게 꼭 권하고 싶은 책

 

책임을 지는 정치인이 되겠다는 저들의 말이 단지 간판에 불과하다는 걸 드러내는  "본의 아니게"라는 망언에

 

저들이 말이라도 제대로 하려면 공부를 더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아래 책 두 권을 권한다.

 

 

1. 정치인이 가져야 할 책임윤리을 말한 맑스 베버의 <직업으로서의 정치>

 

2. 프로이드의 <일상생활의 정신병리학>

 

 

암튼, 얻어 맞을 준비해라.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박근혜의 통

내가 갖고 있는 ‚대통령’의 이미지는 아마 초등학생에게나 어울리는 이미지일 거다.

통 큰 사람.

이런 이미지를 갖게 된 배경은 아마, 물가에서 무를 다듬는 아낙네들이 왜 저런당가 도체 이해할 수 없는, 마을공동체에 이르기까지 내전으로 점철된 한국사회의 모순을 몸으로 체험한 어른들의 말없는 바램일 거다. 아마 그런 바램이 나도 모르게 내 안에 자리잡은 결과일 거다. 통 큰 사람이 나타나 모두를 다 담는 화해자가 대통령이 되기를, 화해자가 아니면 최소한 그런 중재가가 대통령이 되기를 바란 결과일 거다.
   
박근혜가 이런 통 큰 사람?

지배자/승자가 베푸는 ‚망각’(Amnesty/사면, amnestein/망각되다)과 정의 실현에 전제되는 피지배자의 밝힘(진실) ‚추모, 그리고 평가 사이를 부동하는 화해에 대하여 해야 할 말은 많지만 여기선 박근혜의 통과 관련해서 두 가지를 지적해 보고자 한다.  

1. „본의아니게“ 망언 관련

갈라진 사회가 통합을 향하는 길목에는 „transitional justice“란게 있다. ‚과거를 청산하는 과도기적 정의’ 정도로 번역되는 용어인데, 뭔가 아닌 것 같다. 번역이 잘못되었다는 말이 아니라  „transitional justice“와 함께 „과도기적 정의“란게 뭔지 알쏭달쏭하다.

누가 무엇을 어떻게 넘어간다는(transire) 말인가? 시대흐름이 일정기간을 통과한다는 말인가? 그럼 달라지는 것이 뭔데?

시대연속성의 단절이 아닐까? 기존의 관행을 잠정적으로나마 유보하는 것이 아닐까? 기존의 관행이 자신을 넘어서, 자신이 같혀있는 틀에서 벗어나 지난 일을 밝히고 평하는 일이 아닌가? 그래서 물가에서 „무를 다듬고, 총기로 더렵혀진 땅을 빨래질 하는“ 아낙네들의 ‚그람 모써’가 평가의 기준이 되는 것이 아닐까?

이에 비해 „본의아니게“란 망언에는 – 프로이드적인 실수행위론에 입각한 분석은 차치하고 - 군사적, 정치적, 법적, 철학적 기존 관행과 참조체계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협소한 시각이 스며있다. 자기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이, 자신의 협소한 세계관에 같혀 과거를 좀 단장해서 현재로 넘어가겠다는 말이다. 아낙네들이 바라는 통 큰 사람이 하는 일이 아니다. 작전 수행 능력은 탁월하지만 조준선 한 치 옆을 보지 못하고, 그런 건 ‚콜래터럴 데미지’라고 하는 시야 좁은 마인드에서 나온 말이다.

2. 박상일•이영조 후보의 공천 전격 취소

„본의아니게“ 망언과 박상일.이영조 후보의 공천 전격 취소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진 건 우연이 아닌 것 같다. „본의아니게“ 망언과 박상일.이영조의 발언은 사실 같은 선상에 있다. 근데 왜 박상일.이영조만 쫒겨났지?

새누리당은 후보의 도덕성과 공천의 투명성, 원칙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건 내용이 공허한 강령에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좋게 말하면 절차에 충실하겠다는 말이다. 그럼 위 공천 전격 취소는 뭔가? 절차에 문제가 있었다는 말인가? 내용도 없고 절차도 개판이란 말인가?

내용없이 크게만 그려 놓은 원을 절차로 채우겠다는 새누리당의 뻥튀기가 제대로 될일이 없다. 충실한 내용을 축으로 하여 모순과 논쟁을 거쳐 통합으로 향하는 큰 통이 되는 작은 씨앗이 없기 때문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절로 터진 입이라고 아무렇게나 지껄일 수 있나

일몽님의 [니가 죽였다고 말해] 에 관련된 글.

 

"산업화 과정에서 본의아니게 피해 입은 분들께 저는 항상 마음으로부터 죄송한 마음을 가져 왔다. 그분들께 제가 사과를 드리고요"

 

이런 말을 하는 사람에게

 

이렇게

 

코소보전 참전을 주장하는 피셔가   "피 세례"를 받는 모습
 
 
 
 
하는 사람 없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유신독재 피해자는 산업화의 콜래터럴 데미지(collateral damage)?

"산업화 과정에서 본의아니게 피해 입은 분들께 저는 항상 마음으로부터 죄송한 마음을 가져 왔다. 그분들께 제가 사과를 드리고요"

본의아니게?

 

무슨 말이지? 이해가 안간다. 우리말이 서툴어서 그런가?

본의아니게? 어디서 많이 들어 본 말인데? 어디서 들어봤지?

맞어, 콜래터럴 데미지(collateral damage)였지.

0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 collateral damage : “Unintended damage, injuries, or deaths caused by an action, especially unintended civilian casualties caused by a military operation.”
 
0 Collins English Dictionary

- Collateral damage: “(Military) Military unintentional damage to civil property and civilian casualties, caused by military operations”



의도되지 않은 피해, 본의아닌 피해!!

지 애비가 처형한 민주인사가 콜래터럴 데미지라고?

썩을  -.



„본의아닌 피해“

유신독재의 만행을 덮어버리고 그 만행이 구체적으로 뭐였는지 말 못하게 하고 덮어버리려는 짓인가?

콜래터럴 데미지는 군사적인 용어임이 틀림없다. 주지하다시피 이 표현은 제2차 걸프전에서 미공군의 폭격에 의한 민간피해를 은폐하고 미화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코소보전시 나토 대변인이 자주 사용했던 말이다. 살인행위를 살인행위 같지 않게 들리게 할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코소보전을 전쟁이라 하지 않고, 죄없는 민간인을 수없이 죽이는 나토공격을 살인행위라 하지 않고 콜래터럴 데미지라고 했다.  별로 나쁜 일이 아니라고, 주목할 가치가 없는 일이라고, 콜래터럴 데미지라고 말했다. „본의아니게 피해를 입은“, 그다지 나쁜 일이 아니라고 말했다.

몹쓸말을 하는 몹쓸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국 주요 정당 강령에 대한 단상

새누리당, 통합민주당, 그리고 통합진보당 강령에 대한 단상
 

1.    아주 짧다.

-    정당활동이 전개되는19세기 말 정당들의 강령처럼 몇 장을 넘기지 못한다. 독일 사민당 2007. 함부르크 강령은 70쪽을 넘고, 기민당 2007. 하노버 강령은 120쪽을 넘는다.

-    한국 정당의 강령이 그저 선거용 강령이어서 그러나? 그래도 이해가 안간다. 독일 정당의 경우 기본강령(Grundsatzprogramm)과 선거강령(Wahlprogramm)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2009년 기민당 선거강령 „Wir haben die Kraft („[절대] 능력 가진자는 우리다.“)는 90쪽을 넘는다.

-    완전 슬로건 차원이다.
 

2.    정당강령을 보면 보통 세계에 대한 이해와 해석이 말머리에 있다.

-    새누리당, 통합민주당, 통합진보당 모두 이런 세계에 대한 이해와 해석이 없다. 단지 대한민국이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한 이해와 해석 밖에 없다.

-    통합진보당은 대한민국이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한 이해와 해석도 없다. 이쪽저쪽 구분이 확실해서 구구한 설명이 필요 없어서 그런가?


3.    다음 [선거공약이 되는] 요구사항이 보통 따른다.

-    새누리당은 요구사항을 따로 나열하지 않는다. 요구의 내용보다 행위자의 도덕성에 초점을 맞춘다 (윤리강령). "정책정당"이 되겠다는 간판만 허허한 공간에 걸어 놓았다. 사기성 투자업체가 하는 짓과 비슷하다.


-     통합진보당의 요구는 너절하다는 느낌을 준다. 이런 요구를 다 관통하는 힘이 뭔지 모르겠다.


내 상식으론 좀 이해가 안되는 강령들이다. 왜 그러지? 유통기한이 짧은 정체 불분명의 정당들이어서 그러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독일 일간지 빌트의 1면 여성누드게재폐지는 애플사의 압력?

자본주의하의 기업은 주기적으로 뭔가 획기적인 것을 도입했다고 자랑한다. 그때마다 혁신을 내세우고, 종종  - 여성누드사진을 더 이상  1면에 게재하지 않겠다는 빌트가 그러듯이 - 시민사회의 요구를 반영했다고 포장해서 선전한다. 고정관념이  헷갈리고 아타가 불분명해지는 순간이다.
 
이럴 땐 아주 진부한 차원에서 접근하는 게 약이 아닌가 한다. 돈 따먹기가 힘들어졌나? 자본의 본질이 자기가치증식(Selbstverwertung), 쉽게 말해서 - [잉여]가치를 생산하는 노동을 배제하고 - 돈 놓고 돈 따먹는 것이라면 혁신, 시민사회 요구 반영 등은 돈 따먹기가 힘들어졌다는 걸 이야기하지 않나 한다.

 
인쇄언론 사업모델이 붕괴되고, 머지 않아서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필립 마이어는 이미 2004년에  <소멸하는 신문/The Vanishing Newspaper >에서 2043년에 마지막 신문이 인쇄될 거라고 예언한바 있다.

 

그리고 대중매체가 변하고 잇다.


„우리가 우리 사회에 관하여 아는 것은, 아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관하여 아는 것은 대중매체를 통해서 아는 것이다.“1


페이스북을 모르고 트위터를 모르는 선사시대 이야기다. 뉴스의 전달과 함께 그 개념까지 새롭게 되고 있다. 새로운 참여모델과 „다성지성“이 웹 2.0이라는 플랫폼으로 재현되는 시대에 돌입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접한 대중매체는 업친데 겹친격으로 금융위기까지 닥쳐 인쇄언론을 더욱 곤경에 처하게 한다. 인쇄언론 사업모델을 인터넷시대에 부응하는 사업모델로 대체해서 얼른 돈을 따야 하는데 그게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언론자본은  발빠른 행보를 하는데 언론인들은 아직  자폐증에 빠져있거나 아니면 자기 가슴을 두드리면서 <내 죄 올시다> 자탄하고 있다. 대중매체가 이런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은 언론인의 잘못으로 언론의 질이 땅에 떨어진데 그 이유가 있다는 것. 지난 20여년간 대중매체가 „자기생산적인 유명인사만들기“(autopoietische Prominentenproduktion)에 급급했다는 것. 독일 문법의 기초인 격구분도 잘 못하는 <골빈 여성> 베로나 펠트부쉬가 떠들던 걸 포스트 모던적인 의미상실의 체현이라고 침이 마르게 극찬하던 좌우지성인들이 <내 죄 올시다>,<네 죄 올시다> 하면서 자기들이 다  <베로나 푸트 원리>에 마치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현혹되었던 것처럼 자타를 탓하고 있다.



„TV 엔터테이먼트의 가장 부실한 신용, 즉 유명인사세계의 위조화폐에게도 이젠 진실의 순간이 닥쳐왔다. 그 여성은 [베로나 펠트부쉬/현재 재혼해서 베로나 푸트] 근 15년 동안 배설물로 돈을 만들었다. 그러나 믿을 만한 가치를 놓고 씨름하는 시대에서는 이런 연금술이 각광을 받지 못한다.“ 2



전통을 자랑하는 신문들이 하루아침에 문을 닫거나 아니면 종이신문을 폐지한 미국의 사례를 보면서 독일 언론자본의 심금이 그리 편안하지는 않을 것이다. 모두 발행부수 저하, 이윤 저하, 독자 고령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저들은 물적토대를 갈아치우는 현실적인 행보를 한다.

빌트(Bild), 디 벨트(Die Welt) 등 수많은 인쇄매체를 발간하는 독일 깡보수 언론그룹 악셀 스프링어(Axel Springer AG) 총수 마티아스 되프너(Mathias Döpfner/이하 MD)는 최근 들어 온라인 우선 정책을 강화하고 신문의 미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에 있다고 강조하고, 악셀 스프링어 그룹 소속 편집부의 기기를 애플사의 것으로 까는 등 애플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3

근데 바로 여기에, 즉 애플사와의 협력에 걸림돌들이 있다.

2011.8.15 독일 매니저 매거진(manager magazin/이하 mm)과의 인터뷰에서 되프너는 애플사와의 협력을 „애증관계“라고 표현하고 애플사가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통한 매출의 30%와 고객 데이터를 혼자 챙긴다고 불평하고 이런 이야기를 주고받는다.4


(…)
mm:  높은 커미션만이 항의정신을 일깨우는 것이 아니지 않는가.
MD: 애플사는 우리 상품의 가격대를 규정하고 고객데이데에 직접 접근하는 걸 허용하지 않는다. 이런 것은 내용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경향과 함께 우리가 수락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mm: 지금까지 애플사가 성공적인 기업활동을 위해서 스프링어사의 오퍼가 필요하다고 보이지 않는다. 애플사에 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 수단이 도데체 있단 말인가?
MD: 전자페이퍼 정기구독과 관련해서 요청가격을 폐지함으로써 애플사가 우리의 요구사항 하나를 들어주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빌트“에서는 내용을 통제하려는 조건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mm: ... 여성의 유두를 흐리게 할 필요가 없겠네요.
MD: 에로틱한 것에서 시작한 게 어디까지 갈지 누가 알아요? 암튼, 나는 이 부분 낙관한다.
(…)  (강조는 ou)



빌트에서 여성의 유두를 흐리게 할 필요는 없었지만 1면에서 3면으로 숨겨야만 했었나 보다.
 

참고문헌

Krise der Printmedien: eine Krise des Journalismus? http://books.google.de/books?id=lZnjg_1s-_oC&pg=PA32&lpg=PA32&dq=krise+der+printmedien&source=bl&ots=HcC23BNutG&sig=bdfu877OziN_CPhy9EYXp9dbIS0&hl=de&sa=X&ei=lA9fT_0pi8yzBu-s8ZAG&sqi=2&ved=0CFUQ6AEwBg#v=onepage&q=krise%20der%20printmedien&f=false, S. 32 ff)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 „Was wir über unsere Gesellschaft, ja über die Welt, in der wir leben, wissen, wissen wir durch die Massenmedien.“, Niklas Luhmann, Die Realität der Massenmedien. Opladen 1996 (2. erw. Aufl., S. 9) http://www.scribd.com/doc/24857017/DIE-REALITAT-DER-MASSENMEDIEN-Niklas-Luhmann-2-Auflage-1995텍스트로 돌아가기
  2. „Auch für den faulsten Kredit der Fernsehunterhaltung, das Falschgeld der Prominentenwelt, ist nun der Augenblick der Wahrheit gekommen. Die Frau machte fast 15 Jahre lang aus Scheiße Geld, doch in einer Zeit, die um verlässliche Werte ringt, findet solche Alchemie keinen Zuspruch mehr.“ (SZ Magazin, Nr. 4 v. 2009.3.4 : 6, zit. nach: Krise der Printmedien: eine Krise des Journalismus? 텍스트로 돌아가기
  3. 서명준, 악셀 스프링거, 온라인 우선정책 강화, www.kpf.or.kr텍스트로 돌아가기
  4. http://www.manager-magazin.de/magazin/artikel/0,2828,775328,00.html텍스트로 돌아가기

엘자 트리올레 (Elsa Triolet)

« Ainsi, moi je suis bilingue. Je peux traduire ma pensée également en deux langues. Comme conséquence, j’ai un bi-destin. Ou un demi-destin … Être bilingue, c’est un peu comme d’être bigame : mais quel est celui que je trompe ? »


(Elsa Triolet, La mise en mots, 1969, zit. nach:http://www.florence-herve.com/page-daccueil.html)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빌트와 마초

뭐 이런게 있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섹스, 스캔들, 스포츠  ‚3ㅅ’으로 유럽에서 영국 ‚Sun’과 발생부수 1,2위를 다투는  독일 빌트지가 1면에 Girl  누드사진을 더 이상 게재하지 않겠단다.

 

한 클릭 뒤에 접할 수 있는 포르노에 비하면 선사시대의 벽화나 될 것 같은 여성누드사진을  아이캐쳐로 게제하는 걸 폐지했다고 떠들썩하다.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에 모든 여직원들에게 1일 휴가를 주고 남성 직원들이 이렇게 결의했다고 자랑이다.

 

말초신경을 건드리는 기사와 사진으로 구독률을 꾸준히 올려왔던 빌트가 왜 그러지? 언론윤리를 지키지 않아 독일언론위원회의 질타를 제일 많이 받은 빌트가, 피해자에 대하여 보도할 때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하고 피해자를 단지 도구로만 사용한다는 질타를 받기 일쑤인 빌트가 왜 이러지? 반성했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86이후 독일 언론위원회의 질타를 받은 언론 순위. 빌트가 109회로 압도적인 선두주자다.

(2008년 7월 현재) 출처: http://de.wikipedia.org/wiki/Bild_%28Zeitung%29

 

 

아니면, 독일 페미니즘 할머니 알리스 슈바르쩌(Alice Schwarzer)가 빌트의 컬럼니스트로 일하면서 물밑 작업을 했나? 아니면 한때, 그러니가 1990년대 2000년대에, 페미니스트들이 지리하다고 사납게 물고 늘어지면서 몸을 자랑스럽게 가꾸고 내놓고 의기양양하던  „Girlie Feminism“이 한 물 지나간 별 볼 일 없은 것이 되어 버리고  더 이상 재미가 없어서 그러나?
 

"Girlie-페미니즘"의 대명사 베로나 펠트부쉬(Verona Feldbusch)와 독일 페미니스트 기수 알리스 슈바르쩌(Alice Schwarzer) 간 2001.7 독일 제2공영방송 ZDF에서의 논전. 베로나 펠트부쉬는 미스 독일 출신으로 "모던 토킹/ Modern Talking" 프론트 맨 디터 볼렌이 키워 독일 TV 성 매거진 "Peep"의 진행자로 일하면서 부각된 Girlie. 이 논전이 배경은  "베로나는 [여성해방을 말하는] 여성의 뒤통수를 치는 여성"이라는 슈바르쩌의 발언에 펠트부쉬가 발끈한데 있음. 성을 상품화한다는 슈바르쩌의 비판에 "So what?"하는  펠트부쉬.

 

 

재미가 없는 것은 사실이다. 한때 발행부수 440만을 자랑하던 빌트가 2011년 말에 들어서는 270만부로 떨어지고 영국의  "Sun"을 밑도는 수준이라는 말까지 있다 (슈피겔: http://www.spiegel.de/kultur/gesellschaft/0,1518,820310,00.html).

 

 

암튼 얼른 이해가 안간다. 마초로 유명한 빌트 주필 카이 디크만(Kai Diekmann)이 마초의 기를 내린 것일까? 이런 마초의 기를?

 

사용자 삽입 이미지


 

페테 렌크(Peter Lenk)가 만든 빌트 주필 카이 디크만의 거시기. 독일 좌파 일간 taz 본사 벽에 있음. 빌트지 사무실이 있는 (주)악셀 스프링어 빌딩에서 아마 보일 거임. 디크만이 "이게 나라면 전승기념탑도 나라고 할 수 있겠다,"라고 했다는데 암튼 자기가 베를린 "x대'라는 생각은 조금 있나보다.

 

 

 

 

 

 

 

 

 

 

 

 

 

 

 

 

 

설마 그럴리는 없겠지.

 

빌트라는 상품 플랫폼을 다듬고 있겠지. 그건 다른 이야기고.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