끄적끄적

종이신문 준비하면서 교육을 하나 마련했다. 리우스 소개로 주간노동자신문 창간 멤버이기도 한 시사저널 안철흥 기자를 섭외했다. 교육은 7월 1일 있었는데 마침 다음날 집단사표를 낸 시사저널 기자들이 참언론 시사기자단을 출범, 새 매체 창간을 선포했다. 그냥 놔두면 기억에서 사라질 것 같아서 교육 내용을 여기 정리해둔다.

 

 

○ 기사란 무엇인가?

  - fact는 진실이 아니다. 그렇다고 fact의 반대말이 거짓은 아니다.

  - 모든 기사의 전형성과 도식성을 깨야 한다.

  - fact는 현실, 뉴스는 현실의 산물이고 이야기다.

 

○ 현실을 보는 힘, fact를 가려내는 힘이 취재기자의 능력이다.

  - 견습기자

  - 기사의 현실성+독립성

  - 자기가 궁금한 것을 비틀어서 쓰는 게 기사

  - 기자란 보는 사람이다. 일상성 속에서 다른 것을 찾는 것.

 

○ 기획-취재-기사쓰기-편집

  - 기획회의, 아이템 회의 : 현장에 밀착해서 다른 것을 찾아내는 과정

  - 취재+기사쓰기 : 그 다른 것을 독립된 사건으로 포장하는 것(육하원칙에 맞게 구성)

  - 편집 : 제목뽑기, 미술편집(레이아웃). 읽기 어렵다(편집이 엉망), 읽어도 뭔 말인지 모르겠다(기사가 현실을 장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

 

○ 기자는 질문하는 자(기자로서의 skill)

  - 모든 기사는 질문에서 시작해 질문으로 끝난다.

  - 취재하는 과정 자체가 질문이다.

  - 자기가 궁금한 것이 다른 사람도 궁금하다.

  - 자기 궁금증을 뽕이 빠지도록 해소해야 한다.

 

○ 기사화

  - 취재가 10할이면 기사는 1~3할

  - 다 쓰려고 욕심부리면 소화가 안돼서 횡설수설하게 된다.

  - 기사를 쓰는 과정은 취재한 것을 버리는 과정이고 자기 컨셉에 맞는 것을 구성하는 과정이다.

 

○ 기사의 종류

  - 스트레이트 기사

  - 기획기사

  - 인터뷰 : 왜 했는지가 살아 있어야 하는데 '아마'가 없는 경우가 있다.

 

○ 인터뷰

  - 기자가 아는 것을 묻는 것 : 사전준비가 인터뷰의 반. 사전취재를 해야 한다. 미리 조합해놓고 재구성하는 것이 인터뷰다.

  - 호흡에 맡겨라 : 질문서대로 인터뷰가 진행되지는 않는다. 흐름에 맡겨서 판소리 추임새처럼.

  - 골 지르기 : 기자들 말로 '빨아주는' 기사가 돼선 안된다.

  - 추상적이고 개방적인 질문 금지

 

○ 기사쓰기

  - 쓰고 베껴 쓰고 계속 써보는 수밖에 없다.

 

1) 기사는 다른 장르의 글과 다르다(정확성, 논리성, 공정성, 간결성, 참신성)

  - 정확성 : 가치판단을 배제한 fact에 충실

  - 중문, 복문 피하고 단문 중심으로

  - 한 줄 안넘어가는 훈련

  - 긴 글을 절대 쓰지 마라.

 

2) 제목을 먼저 생각하라

  - 쓰고 싶은 핵심을 생각하고 있어라.

  - 리드(기사 첫 문장)를 먼저 생각하라.

  - 첫 문장, 첫 문단에서 모든 게 결정된다.

 

3) 자기만 아는 말을 쓰지 마라

  - 은어, 약어, 전문용어 사용 금지

 

4) "소설을 써라. 소설을."

  - 취재가 부실하거나 기자가 먼저 결론을 구상하는 경우

  - 10개를 취재해서 3개를 쓰는 게 기사인데 3개를 취재해서 10개를 쓰려는 것

 

5) 중언부언하지 마라

 

6) "분노했다" "절규했다"는 말을 되도록 쓰지 마라

  - 기자는 최대한 쿨하게 써야 하고 기자가 먼저 흥분하면 안된다.

 

7) "장사치가 돼라"

  - 독자들에게 선택이 돼야 한다.

  - 자기가 재미가 없으면 다른 사람도 재미가 없다.

  - 소재도 풍부해야 하고 그 소재를 꾸미는 기술적 능력도 개발해야 한다.

  - 대부분이 옳은 소리. 매체가 옳은 소리만 보여서는 감동을 줄 수 없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07/14 12:57 2007/07/14 12:57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plus/trackback/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