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수장학회 처리 두고 朴-文-安 정면 격돌

새누리 남기춘 "정수장학회 팔아 안철수재단 기부하면…"

정수장학회 처리 두고 朴-文-安 정면 격돌

박세열 기자 필자의 다른 기사

기사입력 2012-10-14 오후 6:19:29

 

정수장학회의 MBC 지분 매각 문제가 대선 정국에 핵심 이슈로 부각했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가 정수장학회 사회 환원 요구에 신경질적으로 반응해 논란이 가열될 전망이다.

정수장학회 논란의 핵심은 첫째, "박정희 정권이 강탈한 것으로 법원이 인정한 정수장학회가, 보유 재산을 국가와 상의 없이 민간에 매각하는 게 과연 옳으냐"는 지점이다. 즉 정수장학회를 마치 개인 재산 처분하듯 한다는 것이다. 둘째, 이같은 논란을 제한다고 해도 대선을 앞두고 박근혜 후보의 부모 이름이 담긴 장학회의 기부 등이 선거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구민에게 널리 알려져있는 호(號)를 재단의 명칭으로 사용하여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를 선전하고 그 재단이 선거구민에개 장학금 등을 지급하는 경우에는 공직선거법 제 114조 또는 254조 위반(2011년 3월 4일 국회의원 정몽준 질의에 대한 3월 21일 중앙선관위원장 회답)"이라고 밝히고 있다.
MBC와 부산일보를 중심에 놓고 봐도 문제가 크다. 특히 공영 방송인 MBC를 상장시켜 지분을 민간에 매각하는 구상이 밀실에서 그려졌다는 사실은 언론계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몰고 올 수 있다.

새누리당은 이와 관련해 정수장학회를 '개인 재산'으로 취급하며 과거사 논란과 상관 없는 것처럼 몰아가고 있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과거사 사과'와 관련 "앞으로 실천이 문제"라고 말한 적이 있다. 박 후보의 '실천력'의 시험지인 정수장학회 문제는 현재 표류 중이다.

▲ 정수장학회가 부산일보 지분과 MBC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MBC 지분매각과 관련해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과 이진숙 MBC 기획홍보본부장이 최근 만나 협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통합당은 "박 후보를 돕기 위한 최필립 이사장과 김재철 MBC 사장의 검은 뒷거래가 드러났다"며 "아울러 정수장학회가 부산일보 지분 매각대금을 부산ㆍ경남 선심성 복지사업에 쓰겠다는 것은 강탈한 장물인 정수장학회를 대선에 이용하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박근혜 후보와 정수장학회는 관계가 없고, 이번 사건 역시 정수장학회와 MBC 사이에 불거진 문제이지 박 후보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사진은 14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의 굳게 잠긴 정수장학회 사무실 문의 모습. ⓒ연합뉴스

與, 정수장학회를 삼성에 비유 "'이건희 그만둬라' 할 수 있나"

<연합뉴스>에 따르면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측 클린정치위원장인 남기춘 위원장은 정수장학회의 사회환원 요구에 대해 기자들과 가진 오찬 자리에서 "논리적으로 남의 재산을 갖고 '그만둬라, 마라' 하는 것과 같다"면서 "(현대자동차나 삼성전자) 주식 한 주도 없는 사람이 '정몽구 회장, 이건희 회장 그만둬라'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고 불쾌감을 내비쳤다.

남 위원장은 "총이 있으면 옛날처럼 다시 빼앗아 오라고 하면 되는데…"라면서 "(박 후보도) 비슷한 취지 아니겠느냐. 총으로 빼앗겠다고 할 수는 없지 않나"라고 냉소적으로 반응했다.

남 위원장은 "정수장학회를 팔아서 '안철수 재단'에 기부하면 안 되나"라고 말하며 "그걸 팔아서 부산지역의 노인, 난치병 환자 등을 상대로 쓴다고 해서 선거운동이라고 뭐라고 하는데, 최필립이 부산만 빼고 준다고 하면 어떻게 되는거냐. 그러면 되는 것인가"라고 야당을 거듭 비난했다.

안대희 정치쇄신특위 위원장이 "(정수장학회의) 문제점은 최 이사장과 박 후보의 연관성으로 오해가 생기는 것이어서 최 이사장이 임기가 다소 남았다고 하더라도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객관적ㆍ중립적인 사람에게 이사장을 넘기고 그만두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 쇄신특위 위원들의 기대"라고 말했지만, 안 위원장 산하 위원장인 남 위원장이 야권의 요구에 냉소적으로 반응한 것이다.

MBC, 부산일보 지분 매각 문제와 별개로, 향후 정수장학회가 모종의 조치를 취하더라도 그 진정성에 의심이 갈 수 밖에 없게 됐다.

남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최근 조순형 전 선진당 의원이 박 후보의 올케인 서향희 변호사에 대해 "법률구조공단 봉사활동을 해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과 관련해 남 위원장은 "법률공단에 가면 거기 사건들이 엄청 늘어난다"며 "세상 사람들이 가만 안둔다. (서 변호사는) 그냥 집에 처박혀 있는 게 낫다"고 거칠게 말하기도 했다.

野 "최필립, 김재철 국정감사 증인 나와라"

여당이 이처럼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야당은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민주통합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문방위원-원내대표단 간담회에서 "정수장학회가 보유하고 있는 MBC주식 30%, 그리고 부산일보를 매각해서 특정지역에 사용하겠다고 하는 것은 사회적 통념상으로나 국민 정서로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이 문제를 포함한 정수장학회 제반 문제 관련 국정조사 및 청문회 요구 카드를 만지작거렸다.

박 원내대표는 "어떠한 경우에도 박근혜 후보와 관계있는, 박정희 대통령이 착취한 정수장학회의 재산은 사회에 환원하되 국민적 공감대가 이뤄지는 그런 환원이 돼야지, 박근혜 후보의 선거를 위한 그런 정략적 이용은 있을 수 없다"며 "만약 그렇게 이용될 경우에는 선거법에 위반되는 사항이다. 민주당은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방위 간사인 최재천 의원은 "정수장학회는 곧 '박근혜 장학회'이기 때문에 정수장학회 매각건을 둘러싼 그리고 정치화를 둘러싼 선거운동의 동원화를 둘러싼 모든 논란에 대한 근본적 책임은 박근혜 후보에게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해두고자 한다"며 "오는 국감에 최필립과 김재철의 증인신청을 새누리당에 강력히 촉구한다. 다음 단계로 청문회를 요청할 것이고 국정조사 단계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군사정권에 의한 재산권침해의 진상규명 등에 관한 특별법안'을 대표발의한 김경협 의원은 "이번 정수장학회의 언론사 지분 매각 의혹과 관련해 첫째 정수장학회가 박근혜 후보 사유물이자, 불법선거운동 도구임이 명확해졌고, 둘째, '버티기 달인'MBC 김재철 사장 뒷배경이 박근혜 후보라는 점이 뚜렷해졌다"고 비판했다. 그는 "따라서 이번 의혹사건은 유신정권 불법 강탈자산 정수장학회(MBC)를 매개로 한 불법선거운동과 자리보전욕심이 얽힌 '박근혜-최필립-김재철 커넥션'의 추악한 뒷거래가 그 본질임이 분명하다"며 법안 통과를 위한 서명 운동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안철수 후보도 가세했다. 안 후보 측 유민영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정수장학회의 MBC 지분 매각은 "정의롭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유 대변인은 "공영방송 민영화 논의는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진행돼야 하고 국민적 합의가 필수"라며 "민감한 선거 시기에 정수장학회 지분을 팔아 (사용처를) 특정해서 쓴다는 것도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박세열 기자 필자의 다른 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