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제4장 교육의 역할 : 의사소통과 경험의 성장

인간의 학습과정에 대한 성찰, 그리고 경험이 어떻게 구성되는가에 대한 논의를 했던 지난 3장의 맥락을 이어받아 4장에서는 경험을 “자신이 환경을 선택하고 구성하며 자신과의 구조접속을 이루어 낸 결과”라고 정의한다(p92). 학습자는 환경과의 조응과정 속에서 객관적인 대상을 나와 환경의 ‘인격적이고 총체적인 만남’속에서 나의 삶 속으로 통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경험 안에서 자기와 환경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선택한 환경이 곧 자기의 일부이며, 그러한 자신이 곧 환경이 된다.

교육과정이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의사소통과정으로 정의된다면, 이 사이에서의 의사소통은 두 사람 모두를 변화시킨다(p98). 이런 맥락에서 사회조직이 교육적 효능을 잃어버리는 때는 오직 틀에 부은 듯이 고정된 방식으로 학습자와 환경이 조응하는 경우이다. 의사소통은 누군가 누구에게 정보를 주고받고 하는 과정이 아니라 그 과정 자체에서 서로의 경험이 공동소유가 될 때까지 경험에 참여하고 경험을 변화시킴으로써 관계를 소통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의사소통 과정에서 교육이 일어났다면, 그것은 양자의 생각의 구조가 동일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결코 아니며, 오히려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서로의 경험과 가치관의 차이를 확인한 후, 서로 타협하고 협상하는 과정을 거쳐 공존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세상에 ‘완벽한’ 의사소통은 오로지 군대에서만 일어난다.

학습만을 놓고 보자면 이는 매우 사적인 과정이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인간 행동의 어떤 부분도 완전하게 사적인 것은 없으며 그 의미는 사회적 맥락과의 연장선 위에 놓여 있다(p104). “교육은 바로 사적인 과정으로서의 학습이 공적 과정과 연계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며, 개인의 사적 변화를 사회적 의미구조 안으로 인도함으로써 그가 사회적 맥락에서 숨쉬며 의미 있는 소통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자신을 성장시켜 가도록 지원하는 과정이다.”(p105) 이런 맥락에서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인 ‘교과’는, 총체적이면서 맥락적이며 또한 개인적이기도 한 아이들의 삶(학습)의 과정을 자신의 경험과 괴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편타당한 기준을 바탕으로 분절화되고 탈맥락화∙비일상화의 과정을 거친 ‘교과’라는 경험은 오히려 아이들의 학습력을 저해하는 존재가 되어버렸다.

“평생교육은 교육과 학습이 어떤 다른 목적을 위한 도구적 수단으로서 기능해야 한다는 이전의 외재적 가치를 넘어서서 인간의 한 가지 중요한 삶의 방식(way of life)으로서의 의사소통적 학습이 제자리를 잡게 하는 삶의 기초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p109) 평생교육론 역시 교육을 보는 나름의 ‘색안경’이라고 했을 때, 평생교육이라는 색안경을 쓰게 되면 지금까지 교육을 독점하던 학교의 모습이 새롭게 보이게 된다. 지금껏 교육이라고 믿어왔던 행위들이 교육이 아닌 것으로 보이기 시작했을 때 우리는 혼란과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새로운 ‘교육’을 구성하는 언어를 만들어 내는 것, 새로운 ‘교육’을 구성하는 실천을 만들어나가는 것은 어렵고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대안교육은 학교에서 삶의 활력을 잃어버린 아이들의 욕구를 다시 자극하고 풍성하게 만들어 주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하는,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이다. 정희진의 표현처럼,  “안다는 것은 상처받는 일”이며, 새로운 교육과정을 고민하고 교육을 규정하는 새로운 언어를 알게 되는 과정 역시 상처를 보듬어 안아나가는 과정일 것이다. 이 ‘상처’를 나의 경험으로 통합할 수 있는 ‘학습력’을 갖기를 소망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